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ZrO<sub>2</sub>(m)-Al<sub>2</sub>O<sub>3</sub>ZrO<sub>2</sub>(t)-Al<sub>2</sub>O<sub>3</sub> 세라믹스의 제조와 물리적 특성

        박재성,박주태,박정량,Park, Jae-Sung,Park, Ju-Tae,Park, Jung-Rang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0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4 No.4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either monoclinic $ZrO_2(ZrO_2(m))$ or tetragonal $ZrO_2(ZrO_2(t))$ containing 5.35[wt%] $Y_2O_3$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Al_2O_3$ were investigated. The addition of $ZrO_2$(m) and $ZrO_2$(t) increased sintered density of $Al_2O_3$. The Vickers hardness also increased as addition of $ZrO_2$(t) increased going through a maximum at 20[wt%] and the hardness of the specimens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sintered density. The addition of $ZrO_2$(t) improved the hardness of $Al_2O_3-ZrO_2$ systems and the $ZrO_2$(m) addition showed the better effect on the thermal shock property of $Al_2O_3-ZrO_2$ systems than that of the $ZrO_2$(t) addition. Above 15[wt%] addition of $ZrO_2$(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gradu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pplied voltage but not effects by addition of $ZrO_2$(m). 단사정 $ZrO_2(ZrO_2(m))$ 또는 $Y_2O_3$를 5.35[wt%] 첨가한 정방정 $ZrO_2(ZrO_2(t))$를 $Al_2O_3$에 첨가하여 물리적 및 전기전도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ZrO_2$(m)과 $ZrO_2$(t)의 첨가는 $Al_2O_3$의 소결밀도를 증가시켰다. $ZrO_2$(t)의 첨가함에 따라 비커스 경도 또한 증가했으며, 그 량이 20[wt%]에서 최대가 되었다. 시편의 경도는 소결 밀도에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Al_2O_3-ZrO_2$계의 경도는 $ZrO_2$(t)의 첨가에 의해 개선되었고, $ZrO_2$(m)의 첨가가 $ZrO_2$(t)의 첨가보다 $Al_2O_3-ZrO_2$계의 열충격 특성에는 더 많은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15[wt%] 이상의 $ZrO_2$(t) 첨가에서 인가전압이 증가 함에 따라 점차로 전기전도도가 증가 하였으나, $ZrO_2$(m)의 첨가에서는 영향이 없었다.

      • 침입 방지를 위한 능동형 통합 보안 관리 시스템

        박재성,박재표,김원,전문석,Park, Jae-Sung,Park, Jae-Pyo,Kim, Won,Jeon, Moon-Seok 한국컴퓨터산업학회 2004 컴퓨터産業敎育學會論文誌 Vol.5 No.4

        최근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위협하는 해킹, 바이러스 등의 공격이 증간하고 있다. 기존의 시스템 보안이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만 가지고는 다양하고 강력한 위협들에 대해서 안전하지 못하다. 따라서 Firewall, IDS, VPN, LAS(Log Analysis System) 등의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위협으로부터 방어해 왔다. 하지만 보안 시스템간의 상호 연계성이 부족하여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마련하지 못하고 중복 보안으로 인한 비효율성이 지적되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통합 보안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고 위협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동형 보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통합 보안 관리(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침입자 추적(Intrusion Tracking), 침입자 유인(Intrusion Induction) 등으로 좀 더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보안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시스템들 또한 업체별 보안 시스템간의 상호 연통이 어려운 실정이고 대응 조치 또한 체계적이지 못하며 위협을 사전에 방지하지 못하고 사후 대처에 급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원격에서 안전하게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는 능동형 통합관리 모듈을 제안한다. Attacks such as hacking, a virus intimidating a system and a network are increasing recently. However, the existing system security or network management system(NMS) cannot be safe on various threats. Therefore, Firewall, IDS, VPN, LAS(Log Analysis System) establishes security system and has defended a system and a network against a threat. But mutual linkage between security systems was short and cannot prepare an effective correspondence system, and inefficiency was indicated with duplication of security. Therefore, an active security and an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came to need. An effective security network was established recently by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Intrusion Tracking, Intrustion Induction. But an internetworking is hard for an enterprise security systems, and a correspondence method cannot be systematic, and it is responded later. Therefore, we proposes the active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module that can manage a network safely in this paper.

      • 고온고압용 단조밸브의 용접후열처리 조건 선정

        박재성,허기무,윤성훈,문윤재,이재헌,Park, Jae-Seong,Heo, Ki-Moo,Yoon, Sung-Hoon,Moon, Yoon-Jae,Lee, Jae-Heon 한국플랜트학회 2014 플랜트 저널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고온 고압 배관용 단조밸브 용접부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단조밸브 제작현장에서 활용할 용접후열처리의 유지시간 및 유지온도를 연구했다. ASTM A182 F92 재료를 단조밸브의 용접부에 해당되는 밸브 끝단부 및 누설방지용접부와 동일한 형상의 두께 1 inch 쿠폰으로 가공하고, 쿠폰을 가스 텅스텐 아크용접(GTAW: Gas Tungsten Arc Welding) 방법으로 완전용입 용접하여 시편을 제작했다. 용접부 호칭두께가 1 inch인 시편을 $705^{\circ}C$, $735^{\circ}C$, $750^{\circ}C$, $765^{\circ}C$, $795^{\circ}C$ 및 $825^{\circ}C$에서 1시간 유지하여 용접후열처리를 실시(Group 1)하였다. 그리고 용접부 호칭두께가 1 inch인 시편 3개를 $735^{\circ}C$에서 30분, 1시간 및 2시간으로 달리 유지(Group 2)하여 용접후열처리를 실시하였다. 다른 유지시간과 유지온도에 따른 경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모재부, 열영향부 및 용착금속부에서 경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에 따라, 1 inch당 1시간 온도를 유지할 경우는 용접후열처리가 $750^{\circ}C{\sim}765^{\circ}C$에서 수행되어야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조밸브 제작규격에서 요구하는 최소 유지온도 보다 $5^{\circ}C$가 높은 $735^{\circ}C$에서 1 inch당 1시간 유지할 경우에 요구된 경도 값을 만족하지 못하여, 요건보다 긴 시간인 1 inch당 2시간 용접후열처리 시 경도 값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용착금속부의 조직은 템퍼드-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확인되었다. Coupons which have same figure as weld joint of the forged steel valves and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were manufactured using ASTM A182 F92 material. After welding with GTAW method, the welded specimens have been post-weld heat treated at $705^{\circ}C$, $735^{\circ}C$, $750^{\circ}C$, $765^{\circ}C$, $795^{\circ}C$ and $825^{\circ}C$ for 1 hour per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each (Group 1)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welds based on various holding temperature. Indeed, 3 welded specimens were post-weld heat treated for 30 minutes, 1 hour and 2 hour (Group 2) at $735^{\circ}C$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welds based on various holding time. Hardness values were measured at the weld metal, heat affected zone and base metal to observe hardness change depending on the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appropriate holding temperature for PWHT is proved as $750^{\circ}C$ and $765^{\circ}C$ for 1hour per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Indeed, holding for 1 hour per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was insufficient for PWHT effect when the holding temperature was at $735^{\circ}C$. The microstructure of post-weld heat treated weld metal was determined as tempered-martensite structure.

      • KCI등재

        무선 LAN 시스템에서 계층 2 트리거 발생기 설계를 위한 적응성 있는 수신 신호 강도 예측 모델

        박재성,임유진,김범준,Park, Jae-Sung,Lim, Yu-Jin,Kim, Beom-J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4 No.3

        무선 LAN 시스템에서 고속 핸드오프를 위한 계층 2 트리거는 정확한 핸드오프 예측 모델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계층 2 트리거 발생기 설계를 위한 단말의 이동성 모델로 수신 신호 강도 (received signal strength: RSS)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짧은 시간 동안 사용자 단말과 억세스 포인트 (AP) 사이의 거리 변화양은 물리적으로 제한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된 RSS 값들에 대해 적응성 있게 동작한다. 제안 모델 설계를 위해 우선 ns 2 모의 실험을 통해 측정된 RSS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일정 시간 측정된 RSS 데이터는 차수 1인 자기 회기 (autoregressive: AR(1)) 프로세스로 모델링 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후 AR(1)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향후 RSS 값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예측 오류를 확률적으로 정량화 하였으며 모의 실험을 통해 현재까지 측정된 RSS 값들을 이용하여 적어도 1-step 이후의 RSS 값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received signal strength (RSS) prediction model to timely Initiate link layer triggers for fast handoff in a wireless LAN system. Noting that the distance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n access point is not changed abruptly in a short time interval, an adaptive RSS predictor based on a stationary time series model is proposed. RSS data obtained from ns-2 simulations are used to identity the time series model and verify the predictability of the RSS data. The results suggest that an autoregressive process of order 1 (AR(1)) can be used to represent the measured RSSs in a short time interval and predict at least 1-step ahead RSS with a high confidence level.

      • KCI등재

        무선 메쉬 망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확률적 부하 분담 기법

        박재성,임유진,안상현,Park, Jae-Sung,Lim, Yu-Jin,Ahn, Sang-Hy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5 No.5

        무선 메쉬망 (Wireless Mesh Network: WMN)에서 트래픽은 IGW (Internet Gateway)를 통해 유선망과 교환되므로 트래픽은 IGW로 집중되어 병목지점이 된다. 따라서 다수의 채널과 다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증대된 WMN의 전체 용량을 다수의 IGW를 통해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것은 WMN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무선 메쉬 망의 부하를 다수의 IGW에 분산시켜 망의 안정성과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확률적 부하 분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혼잡한 IGW의 부하를 망 내 IGW들의 혼잡 정도에 따라 다수의 IGW에 분산시킨다. 또한 IGW와 거리가 가까울수록 집중되는 트래픽 양은 증가하므로 급격하게 과도한 트래픽이 새로운 IGW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안기법은 혼잡한 IGW와 인터넷 접속을 위해 이를 사용하고 있는 MR (Mesh Router) 사이의 거리 정보에 따라 접속 IGW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NS-2를 이용한 모의 실험을 통해 제안기법은 최소 혼잡 IGW를 이용한 기법에 비해 IGW의 혼잡 발생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망 안정화 시간과 망 내 패킷 손실율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As the use of Internet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s being generalized, the SSL protocol is essential in Internet because the important data should be transferred securely. While the SSL protocol is designed to defend from active attack such as message forgery and message alteration, the cipher suite setting can be easily modified. If the attacker draw on a malfunction of the client system and modify the cipher suite setting to the symmetric key algorithm which has short key length, he should eavesdrop and cryptanalysis the encrypt data.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domestic web site whether they generate the security session in the symmetric key algorithm which has short key length and propose the solution of the cipher suite setting problem.

      • KCI등재

        간헐외사시에서 수술 당일 편위각과 수술 결과의 관계

        박재성,전종배,최희영,Jae Sung Park,Jong Bae Jeon,Hee Young Choi,Ph,D 대한안과학회 2007 대한안과학회지 Vol.48 No.8

        Purpose: W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gical outcome of intermittent exotropia and initial postoperative alignment by checking it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or the day of strabismus surgery. Methods: Seventy-three patients with intermittent exotropia underwent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or unilateral medial rectus resection and lateral rectus recession. Thirty-two patients had their postoperative alignment checked on the day of surgery, and forty-one patients were checked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Success was defined as sustained alignment six months postoperatively from esotropia 10PD to exotropia 10PD. Overcorrection was defined as esotropia greater than 11PD, and undercorrection was exotropia greater than 11PD. W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ignment on the day of surgery or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and also at six months postoperatively, as well as the success rate according to the initial postoperative alignment.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lignments on the day of surgery or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and those at six months postoperatively (p<0.001, p<0.001). The deviation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had a greater correlation coefficient compared to the deviation on the day of the oper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0.704, and 0.593, respectively). The alignment of overcorrection ranged from 11~20PD on the day of surgery, and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it produced a relatively high success rate (p=0.016, p=0.03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ccess rate between the two types of surgery (p=0.832). Conclusions: The alignment on the day of surgery showed a high correlation to the outcome on the sixth postoperative month in intermittent exotropia patients. The initial postoperative overcorrection of 11 to 20PD on the day of surgery and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resulted in the best long-term outcomes.

      • KCI등재

        IEEE 802.16e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전력 소모 최소화를 위한 취적 휴면 기법

        박재성,김범준,Park, Jae-Sung,Kim, Beom-Joon 한국통신학회 2007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2 No.3A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6e 기반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WMAN) 이동 단말의 전력 소모 최소화를 위한 최적 휴면 기법 (sleep mode)을 제안한다. 802.16e 표준에 정의된 sleep 모드 단말은 항상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 (BS)과 상태 정보를 유지해야 하므로, 단말이 기지국을 이동할 때마다 새로운 기지국과 sleep 상태를 재 협상해야 한다. 따라서 sleep 모드는 단말의 이동성이 클수록 헨드오버 (handover)에 의해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단말의 이동성은 사용자의 호 사용 패턴과 무관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헨드오버에 따른 불필요한 베터리 소모를 제거할 수 있는 최적 휴면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 기법의 성능을 전력 소모량과 착신 호의 초기 응답 시간 측면에서 수학적으로 분석하였고 모의 실험을 통해 제안한 분석 모델을 검증하였다. 또한 기존 sleep 모드와 제안 기법의 성능을 모의 실험을 통해 비교하여 제안 기법은 기존 sleep 모드에 비해 수용 가능할 만큼의 초기 응답 시간을 증가시키지만 전력 소모량을 보다 많이 줄일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analyze the optimized sleep mode for a mobile node (MN) in IEEE 802.16e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s. Because a MN in a sleep mode specified in 802.16e specification should maintain state information with the base station currently attached, it must renew sleep state with a new base station after handover which leads to unnecessary waste of battery power. Noting that the mobility pattern of a MN is independent of call arrival patterns, we propose an optimized sleep mode to eliminate unnecessary standby period of a MN in sleep state after handover. We also propose an analytical model for the proposed scheme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and the initial call response time. Simulation studies that compare the performance between the sleep mode and the optimized sleep mode show that our scheme marginally increases initial call response delay with the huge reduction in power consumption.

      • 병원 및 개인의 특성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 만족도의 차이

        박재성,김혜숙,Park, Jae-Sung,Kim, Hye-Sook 보건의료산업학회 2009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3 No.1

        This study was trying to find the differences of the levels of e-commerce system satisfaction and a relationship between system satisfac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e-commerce system continuously.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e identified the factors of system satisfaction that were consist of system readiness, accuracy, content, ease of use, timeliness and IT Support. The system satisfaction levels of martial status and the training status of hospital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tial status, un-married managers had higher levels of ease of use and timeliness than the married. In this result, we might consider an age effect for younger persons are more likely to use IT and have more satisfaction perceptions. Rather than training hospitals, non-training hospitals had higher level of ease of use and IT support,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e-commerce systems of training hospitals might not match their own managerial purposes and need an improvement of their system functionalities.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at the factors of system satisfaction has a relationship with behavioral intentions. Except accuracy and IT support of all six system satisfaction factors, four facto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ystem usage intentions in their e - commerce works.

      • WLAN Mesh 망을 위한 라우팅 기법의 성능 분석

        박재성,임유진,안상현,Park, Jae-Sung,Lim, Yu-Jin,Ahn, Sang-Hy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4 No.5

        무선 LAN(WLAN) 기반 mesh 망은 유선 엑세스 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나 성공적인 상업화를 위해서는 성능, 보안, 관리 등 기술적인 이슈들을 해결해야 한다. 특히 단말과 유선망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효율적인 경로 선정 문제는 WLAN mesh 망의 신뢰성과 안전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효과적인 라우팅 기법의 개발은 선결해야 될 중요한 문제이다. WLAN mesh 망은 포설되는 환경과 단말의 이동성 등에 의해 다양한 특징을 가지므로 reactive 라우팅 기법 혹은 proactive 라우팅 기법 하나만을 이용하는 것은 모든 mesh 망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망 환경 변화에 따른 동적인 라우팅 기법 개발이 필요하며 이론 위해서는 망과 단말의 특성이 각 라우팅 기법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종합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라우팅 기법들의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는 제한된 환경에서 모의 실험을 통한 정량적 평가에 머물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망의 크기, 송신 단말의 밀도, 단말의 이동성, 망 형상 변화 주기론 모두 고려하여 reactive 기법인 AODV와 proactive 기법인 DSDV의 수학적 성능 분석 모델을 제시한다. 제안된 분석 모델은 변화하는 mesh 망 환경에 적응성 있는 라우팅 기법 개발에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Mesh networks using WLAN technology have been paid attention as a key wireless access technology. However, many technical issues still exist for its successful deployment. One of those issues is the routing problem that addresses the path setup through a WLAN mesh network for the data exchanges between a station and a wired network.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a WLAN mesh network can be very dynamic, the use of single routing protocol would not fit for all environments whether it is reactive or proactiv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adaptive routing protocol that modifies itself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network parameters. As a logical first step for the development, an analytical model considering all the dynamic features of a WLAN mesh network is requir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reactive and a proactive routing schem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nalytical model that makes us scrutinize the impact of the network and station parameters on the performance of each routing protocol. Our model includes the size of a mesh network, the density of stations, mobility of stations. and the duration of network topology change. We applied our model to the AODV that is a representative reactive routing protocol and DSDV that is a representative proactive routing protocol to analyze the tradeoff between AODV and DSDV in dynamic network environments. Our model is expected to help developing an adaptive routing protocol for a WLAN mesh network.

      • KCI등재

        임신 중 발생한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 병에 합병된 긴장성 동공 1예

        박재성,박준모,이지은,엄부섭,Jae Sung Park,Jun Mo Park,Ji Eun Lee,Boo Sup Oum 대한안과학회 2007 대한안과학회지 Vol.48 No.11

        Purpose: We report a case of bilateral tonic pupils and decreased corneal sensitivity in a patient with Vogt-Koyanagi-Harada (VKH) disease during pregnancy. Case summary: A 33-year-old Korean woman in the sixth month of pregnancy presented with visual impairment in both eyes. Her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2 in the right eye and 0.125 in the left. Slit-lamp examination revealed cells in the anterior chamber and serous retinal detachments in both eye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topical corticosteroid in both eyes and posterior subtenon injection of triamcinolone acetonide in the left eye. The serous retinal detachment resolved completely at 2 months in the left eye and at 3 months in the right. As pigmentation of the retina developed, VKH disease was confirmed. The patient complained of photophobia, and both pupils were found to be enlarged to 8 mm without dilation. Light reflex was absent and near reflex was suppressed and slow. After instillation of 0.125% pilocarpine, the pupils were constricted to 3.5 mm and were diagnosed as tonic pupils. Though the patient`s corrected visual acuity improved to 0.8 in the right eye and 1.0 in the left at 6 months, her pupils remained unchanged. Corneal sensitivity was decreased. Conclusions: Tonic pupils may be complicated with VKH disease even during pregnancy. We recommend examinations of the pupils and corneal sensitivity in patients with VKH disease, especially those complaining of photophob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