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식민지기 유통액과 유통마진율 추계

        박이택 ( Yi Taek Park ) 경제사학회 2004 經濟史學 Vol.37 No.-

        본 논문은 유통액과 유통마진율을 정합적으로 추계할 수 있는 모식도 및 추계절차를 고안하고, 이 추계절차에 따라 획득가능한 자료를 이용하여 식민지기 유통액과 유통마진율을 추계하였다. 추계결과는 GDP추계에서는 도소매업 소득추계와 운수통신업 소득추계에 사용될 수 있으며, GDE추계에서는 소비나 투자추계에서 생산자가격을 중간수요가격과 최종수요가격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GDP추계와 GDE추계에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유통액과 유통마진율을 추계함으로써 GDP추계와 GDE추계의 정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유통액과 유통마진율 추계에 있어 다양한 교차검증체계를 도입함으로써 추계결과를 평가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다양한 상품의 유통마진율의 월별 추이를 제시하여, 유통마진율 변동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으며, 유통마진율의 시계열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유통마진율의 변동을 분석의 시야에 넣은 물가사적 분석틀의 개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 devise the estimating procedure of marketing volume and margin. Marketing volume and margin estimated according to this procedure will be exploited to estimate GDP and GDE and may contribute consistency of GDP and GDE estimate. Analysis results of the marketing margin throw light on the importance of its volatility and propose spatial price analysis incorporated with the volatility of marketing margin.

      • KCI등재

        식민지기 부역의 추이와 그 제도적 특질

        박이택 ( Yi Taek Park ) 경제사학회 2002 經濟史學 Vol.33 No.-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mobilized forced labor in accordance with written laws. The amount of compulsory labor mobilized amounted to ten million man-days in 1916 and fourteen million in 1927. In the late colonial period compulsory labor existed as a kind of tax. The colonial government set an upper limit on the number of compulsory laborers and regulated methods of mobilizing compulsory labor. Provincial governments set up systems of mobilizing compulsory labor. From 1934 on, provincial assemblies began to demand the repeal of labor mobilization without legal basis.

      • KCI등재

        20세기 언양지역에서의 노년인구의 가족형태-언양읍 제적부와 재제부의 분석

        박이택 ( Yi Taek Par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7 No.-

        20세기 한국의 역사적 변동은 가족형태의 변화를 동반한 것이었지만, 자료의 부족으로 가족형태의 변화에 대해서는 충분히 연구되지 못했다. 본 논문은 최근 정리된 언양지역의 호적자료를 이용하여 언양읍에 본적을 둔 노년인구의 가족형태의 역사적 변천을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것은 다음과 같다. (1) 1910년 언양읍에 본적을 둔 노년인구는 전체 인구의 6.57%였는데, 빠르게 증가하여 1975년에는 12%로 늘어났으며, 노년인구의 평균연령도 증가하였다. (2) 동일한 호적에 기재된 자신의 혈통을 이어받은 자식을 친자(親子)라 정의하였는데, 노년인구의 평균 친자수는 1940년대 초까지 추세적으로 증가하여, 1940년대 후반에 정점에 이르고,1960년대부터는 감소추세를 나타냈다. (3) 친자가 없는 노년인구를 고노(孤老)라 표현하였는데, 고노의 비율은 1910년대에는 20%였고, 1970년대 초에는 30%를 넘어서고있다. 20세기 후반에 진전된 孤老의 문제는 이제 미혼의 비율의 증대와 저출산의 시대를 거치며 점차 심각해 질 것이다. (4) 20세기에는 예상수명이 증가하면서 자신의 부모가 있는 노년인구라는 새로운 노년층이 출현하고 증가하고 있다. (5) 20세기에는 친자의 평균연령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그 추세는 1940년대 이후에 보다 뚜렷해졌다. (6) 가족 구성원의 연령 구성에 의거한 새로운 가족형태 분류를 제시하고, 그 구성비의 추이를 고찰하였는데, 직계가족 체계에서는 비정상적인 가족형태인, 노년인구만으로 구성된 가족의 비율, 노년 세대에 포함된 노년인구가 전체 노년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세기 후반에 빠르게 증가하였다. (7) 노년인구를 부양할 가족자원의 불평등도 분석에 의하면, 20세기의 역사는 자식을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 자식을 많이 가진 자와 그렇지 못한 자 간의 불평등도가 강화된 과정이었다. 21세기 초 한국의 고령화는 이와 같은 노년인구를 부양할 인적자원의 가족간불평등도의 심화라는 역사를 배경으로 하여 진행되고 있다. In Eonyang province,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ged 60 years or over was 6.57 per cent in 1910, and 12 per cent in 1975. This article trans forms the family com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Eonyang-eupfamily register(Hogeok: 戶籍) during 1911-1977 into database that allows us to analyze living arrangements of older persons and compiles the number of older population and family of the aged, the number of biological children of the aged, the composition ratio of older population by family type, and the number of producing population per the aged. This article has thrown new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and its historical meaning of the transformation of living arrangements of older persons in Eonyang province during 20 century.

      • KCI등재

        식민지기 인천에서의 회사 추이와 그 분포적 특질

        박이택(Park Yi Taek)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8 인천학연구 Vol.29 No.-

        본 논문은 조선은행회사조합요록 을 주 자료로 하여 인천의 회사 발전의 비교 도시적 특질과 인천 내 회사의 지리적 분포를 분석한 것이다. 제2절에서는 조선 전체 및 인천의 업종별 회사수와 납입자본금의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제3절에서는 조선 전체 및 17개 주요 도시의 회사수와 납입자본금의 추이를 분석한 후, 인천의 회사수와 납입자본금 추이에서 보이는 비교 도시적 특질을 고찰하였으며, 제4절에서는 조선 전체에서의 납입자본금 규모별 구성과 주요 도시에서의 1회사당 납입자본금의 추이를 분석한 후, 인천의 납입자본금 규모별 회사 구성 및 1회사당 납입자본금 추이에서 보이는 비교 도시적 특질을 고찰하였으며, 제5절에서는 인천에서 회사의 동별 분포를 동별 민족별 인구구성 및 인구규모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통상 식민지기 인천은 일본인 주도로 경제가 운영되었던 대표적인 일본인 도시로 이해되는 경향이 있지만, 본 연구에 의하면 인천의 도시적 성격은 식민지기 동안 크게 변모하였다. 인천의 일본인 인구 비중은 1914년38%에서 1938년 13%로 감소하였고, 조선인 인구 비중은 1914년 57%에서 1938년 86%로 증가하였으며, 이와 같은 민족별 인구 구성의 변화와 더불어, 조선인 회사와 조선인 공장도 증가하여, 인천 내 조선인 경제는 크게 강화되었다. 그러나 회사의 납입자본금 규모별 구성이나 지점이나 출장소를 가진 회사의 본점 소재지 구성으로 볼 때, 식민지기에 인천은 고차 도시로서의 성격이 매우 약한 저차 도시로 존재하였는데, 고차 도시인 경성이 인접해 있었던 점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인다. 회사 입지 상으로 볼 때, 인천이 가지는 이와 같은 비교 도시적 특질 때문에, 인천에서는 자본금이 적은 회사들이 광범하게 분포하는 형태로 회사가 발전하였다. 1938년에 인천의 동수는 35개였는데, 이중 주안정을 뺀 34개 동에는 회사가 설립된 경험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mparative urban characteristics of the growth and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company in Incheon, using Review on colonial Korea’s bank, firm and cooperative associations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 as the main data.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cheon tends to be understood as the representative Japanese city where the economy was run by the Japanese people. However, the urban character of Incheon changed greatly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of Koreans increased from 57% in 1914 to 86% in 1938. Depending on the ethnic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the number of Korean companies and Korean factories increased, and the economic activities of Koreans have been greatly enhanced. 2) Considering the company’s distribution by paid-in capital size or the regional composition of the main headquarters of a company with a branch or branch office, Incheon was a lower-order city with very weak characteristics as a higher-order city. 3) The company’s distribu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 in Incheon shows that companies with small paid-in capital were very widely distributed. In 1938, 34 administrative districts of Incheon’s 35 administrative districts had the experience of establishing companies.

      • KCI등재

        논문 : 19세기 종친부재정(宗親府財政)의 분석 - 재정위기의 원천과 전가(轉嫁)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

        박이택 ( Yi Taek Park ) 경제사학회 2005 經濟史學 Vol.39 No.-

        본 논문은 19세기 종친부 회계장부를 분석하여, 종친부의 재정수입, 재정자금의 금융적 운용, 재정지출의 특성을 구명하였다. 종친부의 재정수입은 19세기 전반에는 주요 재정관청으로부터의 이전수입이 중심이었는데, 19세기 후반에는 자체 재원이 보다 중요하게 되었으며, 원역 1인당 실질 경상수입은 추세적으로 감소하였다. 재정자금의 금융적 운용을 보면, 19세기 전반에는 지출이 수입을 구조적으로 초과하지는 않았지만, 단기적인 자금부족을 고금리 차입에 의존하여, 이자부담이 재정운영을 압박하였으며, 19세기 후반에는 만성적인 재정적자 구조였지만, 무이자 차입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재정지출을 보면, 급료성 경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재정위기는 임금 체불, 체불 임금의 청산, 화폐가치 하락을 상쇄하지는 못하는 명목 임금 조정 등으로 원역들에게 전가되고 있었다. This article analyzes accounts of the Royal Family Bureau. Main sources of revenue shifted from transfer from the government in the first half to rents in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Real revenue per employee fell in the nineteenth century. While temporary deficits occurred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Bureau was forced to borrow to make up chronic deficits in the second half of the century. While borrowing at high interest led to more borrowing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Bureau muddled through the chronic deficits in the nineteenth century by securing interest-free loans. Payments to employees accounting for the largest part of the Bureau’s expenditure, the adverse impact of the financial crisis was mainly felt by those working for the Bureau.

      • KCI등재

        20세기 언양지역에서의 집성촌의 추이와 인구동학

        박이택 ( Park Yi-tae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2 No.-

        한국은 20세기에 근대국가로의 대변환을 경험했다. 이와 같은 대변환의 과정은 통상적으로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으로 묘사되지만, 인간이 살아가면서 추구할 가치, 인간이 서로 관계 맺은 바람직한 방식 등과 같은 인문학적 정신과 사회 조직 형성의 규범 등은 20세기 한국의 대변화 속에서도 한국적 근대화의 독특성을 규정하는 기저적 요인으로 여전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집성촌은 이 문제를 분석할 수 있는 좋은 대상이지만, 별로 연구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사적 결여를 보충하기 위해 20세기 언양읍 호적자료를 활용하여, 집성촌의 추이와 그 변화요인을 고찰한다. 집성촌의 추이는 성관 군집에 대한 크루그만 특화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집성촌과 관련된 인구동학의 특성은 촌락형태별 자연증가율과 합계출산율을 작성하여 분석하였다. Korea experienced a great transformation into a modern nation in the 20th century. The process of such a transformation is usually described as a transition from a traditional society to a modern society. However, the humanistic spirit and the norms of social organization formation, such as the worthy pursuit of human life and the desirable ways in which human beings interact with each other, are still important factors that defin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ization. The cognate village is a good candidate for analyzing this historical phenomenon, but it has not been studied m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 cognate villages using the data of the Eonyang-eup family register(Hogeok: 戶籍) during 1910~1975. The trend of the cognate villag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Krugman specialization index on the family cluster. The population dynamics were analyzed by using the crude population growth rate and the total fertility rate by the types of village.

      • KCI등재

        식민지 조선에 있어 출산율과 교육 간의 상충관계

        박이택 ( Yi Taek Park ) 경제사학회 2020 經濟史學 Vol.44 No.2

        본 논문은 1930년 식민지 조선의 2,464개 면에 대해 출산율과 취학률에 관한 여러 지표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출산율과 취학률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출산율과 취학률은 양방향의 인과관계가 있기 때문에, 내생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구변수를 이용한 이단계 최소자승법을 사용하였다. 출산율을 분석할 때에는, 취학률의 외생적 변화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학교 설립 경과연수와 학교 수를 도구변수로 사용하였으며, 취학률을 분석할 때에는, 출산율의 외생적 변화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기혼여성 중 사별자의 비율을 도구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출산율 결정모형과 취학률 결정모형 모두에서 출산율과 취학률 간의 상충관계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음의 상관관계로부터 바로 동태적인 변화에 대한 함의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동태적인 변화에 대한 함의를 얻기 위해, 출산율 추계방정식과 취학률 추계방정식을 출산율과 취학률 간의 균형모형으로 보고, 비교동학적 해석을 추구하여 한국에서 출산율과 취학률의 균형 및 근대적 경제성장으로 이행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요인들과 그 효과를 식별하였다. 본 연구는 인구변천 이전 출산율과 교육 간의 상충관계가 식민지 조선에서도 있었음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그 결과를 비교동학적으로 해석하였으며, 동아시아 소농경제의 발전이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지표를 구축하고 분석에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독창적인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child quantity-quality trade-off before the demographic transition using a census-based dataset of 2,464 basic administration units in colonial Korea in 1930. Because fertility and education are causally related in the two directions, the issue of endogeneity had to be controlled. We therefore adopted the two-stage least square technique using instrument variables. To grasp the effect of an exogenous change in education on fertility, we used the number of years since the oldest primary school’s establishment and the number of primary schools as the instrument variables. To grasp the effect of an exogenous change in fertility on education, we used the percentage of widows among the married women as the instrument variabl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the child quantity-quality trade-off before the demographic transition in colonial Korea. By considering the estimated equations of fertility and education as the simultaneous equations of the two variables, we conducted a comparative dynamic analysis. This research interpreted the child quantity-quality equilibrium in colonial Korea in the historic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the labor-intensive peasant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광역권 인구이동

        박이택(Park, Yi Taek)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2 亞細亞硏究 Vol.5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change and current situation of inter-provincial migration in Korea with shift share analysis on inter-provincial migration data in Internal Migration Statistics and Population Census. Many previous studies on this issue have focused on net, but not gross, inter-provincial migration. Since 1970, net inter-provincial migration has been under decreasing trend, but gross inter-provincial migration has persisted on a large scale. Migration depends on the individual’s position in the life course. This paper proposes that Tiebout sorting integrates into a life-course framework and explains current inter-provincial migration in Tiebout sorting based on model searching optimal place subject to individual’s position in the life course. According to shift share analysis on inter-provincial migration data in Internal Migration Statistics and Population Census, this kind of Tiebout sorting transfers aging wave from capital to non-capital area and shifts high-quality human from non-capital to capital area.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is kind of Tiebout sorting on fiscal federation system related to social welfare service is remaining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