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NA Barcode를 이용한 수산가공품 원재료 진위판별

        박은지,강주영,이한철,박민지,양지영,신지영,김군도,김종오,서용배,김중범,Park, Eun-Ji,Kang, Ju-Yeong,Lee, Han-Cheol,Park, Min-Ji,Yang, Ji-Young,Shin, Ji-Young,Kim, Gun-Do,Kim, Jong-Oh,Seo, Yong-Bae,Kim, Jung-Beom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에서는 DNA barcode 시험법을 이용하여 시중 유통 중인 도미와 옥돔 수산가공식품의 위변조현황을 분석하였다. 참돔 12건, 돌돔 4건, 황돔 7건, 감성돔 2건, 나일틸라피아 7건, 옥돔 6건, 옥두어 8건 총 46건의 시료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생물 종 판별에 주로 이용되는 mitochondrial DNA의 COX I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유전자 영역을 분석하여 원재료의 종을 판정하였다. NCBI에서 제공하는 BLAST Search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된 염기서열과 NCBI에 등록된 각각 어류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염기서열 상동성(identity)이 97% 이상인 종을 원재료 종으로 판별하였다. DNA barcode 시험법을 이용해 시중 유통되는 참돔, 돌돔, 황돔, 감성돔, 나일틸라피아, 옥돔, 옥두 수산가공품 46건에 대해 조사한 결과 위변조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시장에서 통용되는 일반명칭과 식품공전에 기술된 표준명칭이 상이하여 소비자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수산물 가공식품 표기에 일반명칭과 더불어 표준명칭 또는 학명을 같이 기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DNA barcode sequences of commercial seafood products, which are difficult to morphologically discriminate, were analyzed to determine cases of food fraud. The gene sequences were analyzed by amplifying the COX I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region of mitochondrial DNA, which is mainly used for species identification. The DNA barcode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the gene sequence of each fish registered in the US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A total of 46 processed seafood products (12 Pagrus majo, 4 Oplegnathus fasciatus, 7 Dentex tumifrons, 2 Acanthopagrus schlegelii, 7 Oreochromis niloticus, 6 Branchiostegus japonicus, 8 Branchiostegus albus) were investigated. Having DNA sequence identity of more than 97% was judged as the same spec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no cases of forgery and alteration were detected. However, some disparities in the commercial names used in local markets and the standard names given in the Korea Food Code were found, which may cause confusion for consumers.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the standard name or scientific name be displayed on seafood product labels.

      • GIS기법을 이용한 하천 교란 실태의 분석(II)

        박은지,김계현,장창래,Park, Eun-Ji,Kim, Kye-Hyun,Jang, Chang-Lae 한국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0 No.4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하천의 정비는 하천 고유의 특성을 간과한 채 이용적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하천의 인공화 및 생태계의 악영향이 심화되고 있다. 친환경적인 하천 복원의 개념이 국내에 도입되었고 이를 위한 기술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현재 인위적인 하천교란의 요인과 하천교란에 따른 영향 등의 정량적 평가 기술의 수립은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러한 정량적 평가 기술의 수립을 위해서는 하천 교란의 요인 및 그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하천의 변화 양상 분석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항공사진 및 GIS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주요 하천의 교란에 따른 하천의 평면 변화 양상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하천교란 조사기술 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가 선행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교란이 발생한 댐 하류의 지역을 추가로 선정하여 선행 연구와 같은 방법으로 하천 교란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GIS를 이용한 하천 교란 실태 분석 방법의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하천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대상 하천의 사행도 및 저수의 구체적인 제반 수치를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하천의 정비 및 복원 사업이 하천의 흐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예측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GIS기반의 하천 교란 평가 기법 정립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하도 안정문제에 관한 대책 수립 및 친환경적 하천 복원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Current re-arrangement of rivers and waterways have been made uniformly ignor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rivers thereby aggravating artificial river restructuring. On the contrary, quantitative techniques to evaluate the aftermath of artificial river disturbance such as uprising of river bed, intrusion of foreign fisheries, and changes of ecological habitats are not available. To establish such quantitative techniques, analysis of the river changes to evaluate the major causes of the river disturbance and its impacts is essential. Therefore, research for proposing a method which can be applied for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to investigate river disturbance according to the major factors for the domestic rivers using airphotos and GIS techniques was preceded. In this study, the study area on the downstream of the river was selected and analysis of river disturbance using preceding method was done to confirm the benefit of analyzing river disturbance using GIS techniques. Trend analysis of the waterway sinuosity and changes of the flow path leaded to detailed verification of the river disturbance for specific location or time period, and this enabled to generate relatively accurate numbers representing sinuosity of the waterway and relevant changes. Also,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effect on the current re-arrangement of the river and waterway to river flow using the analysis of past river chan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IS based proper measures for environmental river restoration us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nd future works.

      • GIS기법을 이용한 하천 교란 실태의 분석(I)

        박은지,김계현,이온길,Park, Eun-Ji,Kim, Kye-Hyun,Lee, On-Kil 한국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0 No.2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하천정비와 하도정비는 하천 흐름의 특성을 간과한 채 일방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그 결과로 하천의 인공화는 계속적으로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 및 하도의 물리, 화학, 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하며, 그 동안 인위적인 하천교란의 요인과 하천교란에 따른 영향, 즉 하상변동, 외래종 식생 침입, 생태서식처 변화 등의 정량적 평가 기술의 수립은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이러한 정량적 평가 기술의 수립을 위해서는 하천 교란의 요인 및 그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하천의 변화 양상 분석이 우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 및 GIS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주요 하천의 원인별 교란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하천교란 조사기술 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댐 하류의 하천교란 및 적응현장 시범지역을 선정한 후 대상 지역의 항공사진을 GIS화하여 하천교란 실태를 분석하는 데에 필요한 저수로와 제방 및 기타 자료를 shape 파일 형태로 생성하였다. 생성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천의 사행도 및 유로 변동 현황 분석을 실시함에 따라 특정 지점이나 시점을 기준으로 일어난 변화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하천의 변화 양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상 하천의 사행도 및 저수의 구체적인 제반 수치를 제시할 수 있었다. 주요 결과로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대상 하천의 사행화 현황과 저수로의 이동 및 변화 양상을 규명해 낼 수 있었다. 그 결과 댐 하류지역에서 하도안정문제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인 하도안정문제에 관한 대책 수립이 가능하리라 보며, 이를 위해서는 하천 교란 조사기술 개발에 대한 추가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Current re-arrangement of river and waterway has been made uniformly ignor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rivers thereby aggravating artificial river restructuring. Subsequently this severely affects the rivers'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henomenon. On the contrary, quantitative techniques to evaluate the aftermath of artificial river disturbance such as uprising of river bed, intrusion of foreign fisheries, and changes of ecological habitats are not available. To establish such quantitative techniques, analysis of river changes to evaluate the major causes of the river disturbance and its impacts is essential. Therefore,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proposing a method which can be applied for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to investigate river disturbance according to the major factors for the domestic rivers using airphotos and GIS techniques. For the analysis, the study area on the downstream of the river was selected and airphotos of the area were converted into GIS format to generate 'shape' files to secure waterways, river banks, and auxiliary data required for analyzing river disturbance. Trend analysis of the waterway sinuosity and changes of the flow path leaded to detailed verification of the river disturbance for specific location or time period, and this enabled to relatively accurate numbers representing sinuosity of the waterway and relevant changes. As the major results from the analysis, the relocation of waterways and the level of river sinuosity were quantified and used to verify the impacts on the stability of the waterways especially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The results from this study enabled effective establishing proper measures against waterways' unstability, and emphasized subsequent researches for identifying better alternatives against river disturbances.

      • KCI등재

        LC-MS/MS를 이용한 축산물 중 살충제 메토프렌의 잔류분석법 개선

        박은지,김남영,박소라,이정미,정용현,윤혜정,Park, Eun-Ji,Kim, Nam Young,Park, So-Ra,Lee, Jung Mi,Jung, Yong Hyun,Yoon, Hae Jung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2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7 No.3

        The research aims to develop a rapid and easy analytical method for methoprene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A simple, highly sensitive, and specific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methoprene in livestock products (beef, pork, chicken, milk, eggs, and fat) was developed. Methoprene was effectively extracted with 1% acetic acid in acetonitrile and acetone (1:1), followed by the addition of anhydrous magnesium sulfate (MgSO<sub>4</sub>) and anhydrous sodium acetate. Subsequently, the lipids in the livestock sample were extracted by freezing them at -20℃. The extracts were cleaned using MgSO<sub>4</sub>, primary secondary amine (PSA), and octadecyl (C<sub>18</sub>), which were then centrifuged to separate the supernatant. Nitrogen gas was used to evaporate the supernatant, which was then dissolved in methanol. The matrix-matched calibration curves were constructed using 8 levels (1, 2.5, 5, 10, 25, 50, 100, 150 ng/mL)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sup>2</sup>) was above 0.9964. Average recoveries spiked at three levels (0.01, 0.1, and 0.5 mg/kg), and ranged from 79.5-105.1%,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SDs) smaller than 14.2%, as required by the Codex guideline (CODEX CAC/GL 40).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residue safety management in livestock products.

      • KCI등재

        GC-MS/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잔류농약 5종 동시시험법 개발 및 검증

        박은지,김남영,심재한,이정미,정용현,오재호,Park, Eun-Ji,Kim, Nam Young,Shim, Jae-Han,Lee, Jung Mi,Jung, Yong Hyun,Oh, Jae-Ho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6 No.3

        PLS 제도가 모든 농산물을 대상으로 확대됨에 따라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지 않거나 허가되지 않은 농약에 대해서 일률적으로 0.01 mg/kg의 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하기 때문에 농약 시험법의 정량한계 수준은 0.01 mg/kg 이하를 만족시켜야 한다. 현재 식품공전에 존재하는 7.1.4.12 디메티핀 시험법은 정량한계가 0.05 mg/kg이며 7.1.3.2 디클로르보스 등 19종 시험법은 정량한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두 시험법 모두 전처리 과정 중 벤젠을 사용하여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할 뿐 아니라 충전칼럼을 사용하여 노후화되고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전처리 과정에 벤젠을 사용하는 성분 중 대체 시험법이 존재하지 않는 5종을 선별하여 다른 용매로 대체하고 QuEChERS법을 적용하여 0.01 mg/kg의 정량한계를 만족하는 동시시험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대상성분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QuEChERS법을 이용한 최적 추출·정제법을 선정하여 LC-MS/MS를 이용한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수용성 유기용매인 1% 아세트산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추출용매로 사용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 및 아세트산나트륨을 첨가하여 추출법을 최적화하고 d-SPE 흡착제를 통해 추출물 중 간섭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최적 정제조건을 확립하였다. 결정계수(R<sup>2</sup>)는 0.99 이상으로 높은 직선성을 보여주었고,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003, 0.01 mg/kg으로 높은 감도를 나타내었다. 대표 농산물 5종(현미, 감자, 대두, 감귤, 고추)에 대하여 정량한계, 정량한계 10배 및 정량한계 50배 수준으로 처리한 다음 회수율 실험을 한 결과 평균 회수율이 디메티핀은 90.8-114.1%, 디클로르보스는 96.0-113.5%, 오메토에이트는 79.8-119.3%, 클로르펜빈포스는 97.3-107.6% 그리고 아진포스메틸은 74.2-117.7%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모두 14.6% 이하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실간 검증 결과 두 실험실간 회수율 평균값이 디메티핀은 94.5-108.7%, 디클로르보스는 92.6-112.8%, 오메토에이트는 74.7-116.1%, 클로르펜빈포스는 98.7-110.7% 그리고 아진포스메틸은 80.9-117.7%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모두 18.4% 이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가이드라인(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GL40)의 잔류농약 분석 기준 및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식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2016)'에 적합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험법은 농산물 중 잔류할 수 있는 디메티핀 등 5종의 안전관리를 위한 공정시험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rapid and easy multi-residue method for determining dimethipin, omethoate, dimethipin, chlorfenvinphos and azinphos-methyl in agricultural products (hulled rice, potato, soybean, mandarin and green pepper). Samples were prepared using QuEChERS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 and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GC-MS/MS). Residual pesticides were extracted with 1% acetic acid in acetonitrile followed by addition of anhydrous magnesium sulfate (MgSO<sub>4</sub>) and anhydrous sodium acetate. The extracts were cleaned up using MgSO<sub>4</sub>, primary secondary amine (PSA) and octadecyl (C<sub>18</sub>). The linearity of the calibration curves, which waas excellent by matrix-matched standards, ranged from 0.005 mg/kg to 0.3 mg/kg and yielded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sup>2</sup>) ≥ 0.9934 for all analytes. Average recoveries spiked at three levels (0.01, 0.1, 0.5 mg/kg) and were in the range of 74.2-119.3%, while standard deviation values were less than 14.6%, which is below the Codex guideline (CODEX CAC/GL 40).

      • KCI등재

        메타버스 콘텐츠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수립 전략 연구 -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박은지(Eun Ji Park),김익수(Ik Su Kim),김재현(Jae Hyun Kim) 한국문화경제학회 2022 문화경제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콘텐츠 플랫폼으로써 활용 시 수립 가능한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수립 전략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최근 메타버스 플랫폼이 활성화되며 미디어 크리에이터들이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메타버스 플랫폼이 유저 중심의 플랫폼의 모습을 보이고 있고, 크리에이터들이 활용하기에는 비즈니스 모델이 명확하지 않아 기업들이 이를 콘텐츠 시장에 적용하기에 적합한형태로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1인미디어크리에이터 212명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이 활용 가능한 비즈니스모델 수립 전략을 제언했다.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전략을 제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콘텐츠 플랫폼으로 사용되고 있는 메타버스 콘텐츠 플랫폼의 4가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해당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선호도는 채널 이용자 수에 비례한 보상 모델>광고를 활용한 선호도 영향 요인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은 연령과 메타버스 이용 경험 유무로분석되었다. 이는 연령이 낮은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일수록 기존 유튜브의 비즈니스모델을 선호하고, 메타버스 이용 경험이 있는 크리에이터들은 블록체인 기반 P2E 수익모델에 친숙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유튜브 방식의 수익 모델을접목한 수익 모델 구상,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전략 마련, 연령이 높은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기업과 협업할 수 있는 구조 마련, 연령 맞춤형 크리에이터 수익 모델 구상 등의 전략을 제언했다. This study is fucused on the strategies for establishing a business model of metaverse platform companies by building a content platform. Recently, media creator’s use of the metaverse platform as contents platform is increasing. However, the metaverse platform is not still creator-centered platform, and the business model is not clear for creators to utilize, so companies are not operating the platform in a form suitable for applying it to the content market. Accordingly, in this study, a survey of 212 one person media creators in Seoul was conducted on the preferred metaverse platform business model, and based on this, a business model establishment strategy that metaverse platform companies can utilize was suggested. In order to suggest a strategy for the business model, this study conducted a preference survey on the four business models of the metaverse content platform, which is currently used as a content platform, for media creators, and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preferen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ference was in the order of ‘compensation model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channel users’ > ‘profit model using advertisement’ > ‘blockchain-based P2E profit model’ > ‘collaboration model with platform companie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mong preference influencing factors were analyzed by age and metaverse experience. This is interpreted as younger single media creators prefer the existing YouTube business model, and creators with experience using the metaverse are familiar with the blockchain-based P2E profit model. Based on this results, we suggest the business models for metavers platform companies as ‘grafting the YouTube revenue model to the metaverse revenue model’, ‘making it easy for media creators to use the metaverse platform’, ‘creating a business that can collaborate with older creators’, ‘building an age-appropriate creator revenue model’.

      • 17C 종교개혁 이후 『제네바 시편가』의 <시편 134편>에 대한 적용과 발전

        박은지 ( Eun Ji Park ) (사)음악사연구회 2017 음악사연구 Vol.6 No.-

        프랑코 스위스(Franco-Swiss)의 종교개혁자 쟝 칼뱅(John Calvin, 1509-1564)은 1562년에 제네바에서 『제네바 시편가』(Le Psautier de Geneve, 1562)를 출간하였다. 칼뱅의 예배음악 철학이 담긴 『제네바 시편가』는 스트라스부르 버전과 제네바 버전(1539-1562) 등 여러 에디션 과정을 거치며 발전하였고, 출간 이후 여러 나라에 널리 퍼져 세계 각국의 교회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네바 시편가』의 시편 찬양이 현재까지 이어져 활발히 불리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가 <시편 134편>(Psaume 134) 이다. 이 찬양은 『제네바 시편가』의 1551년 에디션부터 떼오도르 베즈(Theodore de Beze, 1519~1605)의 텍스트와 루이 부르주아(Loys Bourgeois, c. 1510-1559)의 선율로 작곡되어 소개되었다. <시편 134편>선율은 프랑스를 비롯해 영국과 미국에서 특히 잘 알려졌고, 기독교 개혁 찬양으로 선호되어 전 세계에 널리 전파되었다. 본 논문은 『제네바 시편가』의 <시편134편>을 중심으로 이 찬양의 근원을 비롯하여 프랑스와 영국, 그리고 독일에서 나타난 찬양의 적용과 발전의 발자취를 따라 각국의 교류 정황과 역사적 변천사를 분석한다. In 1562, Geneva, Franco-Swedish Christian Reformer John Calvin(1509-1564) published "The Genevan Psalter" (1562). Calvin continued to develop "The Genevan Psalter", which reflects his views on music and worship, through many installments after its publication, including the Strasbourg and Genevan versions(1539-1562), and it has greatly influenced liturgical music worldwide. < Psalm 134 >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hymns from "The Genevan Psalter", and is frequently sung to this day. Written and composed by Theodore de Beze(1519-1605) based on a melody by Louis Bourgeois(c. 1510-1559), this psalm first appeared in the 1551 edition of "The Genevan Psalter" . Its melody is particularly well-known in France,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and has been distributed among and used by reform congregations around the world. This thesis focuses on < Psalm 134 > from "The Genevan Psalter" and traces its origin, application, and development in France, the United Kingdom, and Germany, analyzing the historical changes in each country and their relationships to one an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