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염산/에탄올로 유도된 급성 위염 동물모델에서 십자화과 생즙 발효물의 위점막 보호 효과

        박양규,조정휘,최진영,김영필,이상엽,박주헌,오홍근,Park, Yang-Gyu,Cho, Jeong-Hwi,Choi, Jinyoung,Kim, Youngpil,Lee, Sang-yeob,Park, Ju-Hun,Oh, Hong-Geun 한국식품영양학회 2021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4 No.5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morbidity of gastritis in Korea due to lifestyle factors mostly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stress. Gastritis is more likely to progress to gastric cancer,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and manage gastritis through lifestyle adjustment and treatment at an early stage. In this study, cabbage, which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gastritis, was mixed and fermented with other crucifer plants such as kale and broccoli to evaluate the overall efficacy of fermented brassica puree on alcoholic acute gastritis. Based on our results, fermented brassica puree alleviated gastric injury induced by 150 mM HCl/60% ethano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PGE<sub>2</sub>, a gastric mucosal protective factor, was increased, and other positive effects such as an increase of MUC1 and regulation of PKC were obser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ermented brassica puree can relieve acute alcoholic gastritis by regulating PGE and the expression of MUC1, a gene related to mucus secretion, and activating PKC, which is related to mucosal cell activity.

      • KCI등재

        개인-조직가치 부합수준과 성과관계 검증

        박양규,여성칠,Park, Yang-Kyu,Yeo, Sung-Chil 한국통계학회 2011 응용통계연구 Vol.24 No.2

        조직연구에서 개인 직무, 개인-조직, 개인-환경 사이의 부합수준은 성과에 대한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다루어져 왔다. 개인-조직이 추구하는 가치부합수준은 조직의 구성원으로 하여금 동기유발의 주요한 요인으로 조명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부합수준 성과관련 연구에서 부합수준별 성과, 혹은 성과의 극대화률 설명하는 만족적 부합수준을 경정하기 위해 적용가능한 방법론의 개발관련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다. 기존 연구에서 이런 부합수준-성과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활용되는 지표들은 두 프로파일의 요인별 차이값, 차이제곱값, 차이 절대값, 측정 도구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Q 값, 두 프로파일 사이의 순위상관을 나타내는 $Q_r$이다 그러나 이런 지표들은 두 프로파일의 부합수준 성과간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많은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Edwards의 단일 설명변수에 대한 다항회귀분석과 반응표면분석을 활용한 방법론은 두 프로파일의 개별 설명변수 차이 값의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만을 개별적으로 보여주고 설명변수를 모두 고려할 경우 차이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개별요소별 성과를 극대화하는 값이나 수준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해답을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다변량 이차다항회귀 모형을 적용하여 다중반응표면분석을 통해 개인-조직, 부합수준-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The studies of congruence in organizational research have explored the concepts such as person-job fit person-organization fit, or person-environment fit. The relevant studies dealt with the fit level as an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on the performance. In particular, researchers have agreed that employees can be motivated by the high level fit of person-organization. However, few research developing an alternative methodological approach has been done. For the purpose mentioned above the statistics like D, |D| or $D^2$ and the Q values such as Q(the correlation between two sets of interval measures) or $Q_r$(the correlation between two rankings) have been conventionally adopted in spite of numerous methodological problems. In general, these traditional indices such as difference scores, or Q values, are nondirectional and add an extra weight to differences of lager magnitude. Therefore, Edwards (1993) introduced the polynomial regression and the response surface analysis to overcome flaws with conventional approaches. However, the method-ological approaches did not reflect the profile characteristics of person-organizational value fit and wouldn't be a proper solution for the fit level of person-organization value maximizing performance. Hence, this paper investigates alternative methodological approaches, the multivariate polynomial regression and the multiple response surface analysis, to avoid the problems issued from conventional ways.

      • KCI등재

        유산균제제(Lactobacillus helveticus HY7801)의 경구 투여가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의 면역 반응 및 피부 개선에 미치는 효과

        박양규,조정휘,최진영,김영필,유선정,김옥진,오홍근,Park, Yang-Gyu,Cho, Jeong-Hwi,Choi, Jinyoung,Kim, Youngpil,Yu, Seon-Jeong,Kim, Okjin,Oh, Hong-Geun 한국식품영양학회 202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3 No.2

        Probiotics improve the immune system. However, the effects of its lactic acid bacteria on atopic dermatitis relief and inflammation improvement is not fully understood. Recently, one of the probiotics, Lactobacillus helveticus HY7801 (HY7801), was found to have an anti-inflammatory effe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Y7801 on atopic dermatitis-induced animal models. After four weeks of oral administration, the group treated with HY7801 showed amelioration of the atopic dermatitis compared to the group receiving placebo. In the HY7801 treated group, the epidermal hyper-proliferation and collagen deposition were inhibited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and the secretion amount of the inflammatory factors, such as TNF-α, IL-4 were reduced.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Y7801 acts as a functional probiotic via amelioration of the atopic dermatitis such as a decrease of epidermal hyper-proliferation, and collagen deposi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 KCI등재

        기업 간 관계에서 윤리부조화의 성과에 대한 영향

        박양규 ( Yang-kyu Park ),하병천 ( Byoung-chun Ha ),조성빈 ( Sungbin Cho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7 질서경제저널 Vol.20 No.1

        기업 간 거래에서 거래당사자들은 서로에 대해 윤리적 수준을 높게 지각하면 할수록 서로에게 공정성을 지각하게 될 것이고 결과적으로 해당 거래관계의 지속과 거래를 통한 성과향상에 몰입하게 될 수 있다. 이런 믿음의 관계 속에서 거래쌍방은 조직 간 거래를 통한 성과향상을 위해 문제해결과정에서 높은 몰입행동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윤리적 측면을 윤리부조화라는 개념을 도출하여 기업 간 거래관계에서 상생을 위한 모델의 주요한 설명요인으로 개념화하고 윤리부조화-신뢰-협력-성과로 구성된 Structural Equation Model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모델의 검증을 위해 2011년 10월부터 7개월 간 1,016명의 대기업 구매담당자에게 설문지가 송부되었고 총 262개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는 구매자가 지각하는 윤리부조화정도가 커질수록 정서적 신뢰와 역량에 입각한 신뢰는 감소하고 이런 신뢰는 과업몰입행동, 정보공유와 좋은 관계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과업몰입행동과 좋은 관계형성도 협력관계의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윤리부조화-역량에 입각한 신뢰라는 맥락에서 거래 기업 간 좋은 관계형성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윤리부조화가 개별 기업 간 핵심 역량의 연계를 통해 협력관계를 구축하는데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defines ethical dissonance as the gap between the encoded ethical values of a firm and its managers’ perception of the firm’s actual ethical level, and investigates its impact on trust,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logistics efficiency in inter-firm relationships. The main research survey included 1,016 questionnaires distributed between October 2011 and April 2012. Managers of large purchasing firm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urvey with specific consideration to tasks and relationships held with all of their subcontractor partners. In total, 262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ethical dissonance negatively affects two trust factors: affective trust and competencybased trust. When managers from supplier firms detect ethical dissonance in buyer firms, they might feel uncertainty in business transactions, which situation erodes mutual trust. Both trust 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two collaboration factors: task-solving involvement and information sharing. On the other hand, competency-based trust does not affect collaboration in terms of rapport building. Collaboration through task-solving involvement contributes to logistics-efficiency improvement, whereas collaboration through information sharing and rapport building does not.

      • KCI등재

        국내 및 중국 기업에서의 Person-Organization Fit-태도 간 관계 비교

        박양규 ( Yang Kyu Park ) 한독경상학회 2014 經商論叢 Vol.32 No.1

        P-O Fit 관련 연구에서 P-O Fit는 개인과 조직사이의 가치의 일치성으로 정의되며 이는 태도에 정의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세계화된 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상이한 문화를 보이는 국가에서 활동하고 있어 교차 문화적 관점에서 P-O Fit 관련 연구가 다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Q-sort, univariate polynominal regression and response surface analysis와 같은 P-O Fit을 측정하기 위해 활용되어온 방법론들은 P-O Fit의 프러파일적 특성과 성과를 극대화하는 가치 Fit의 수준을 보여주지 못하는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적 맥락을 고려할 때 P-O Fit과 태도 간 관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두 개의 연구 과제를 설정하여 탐색하였다. 또한 기존 관련연구의 방법론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변량 이차다항회귀모형을 적용한 다중 반응표면분석을 통해 태도를 극대화하는 개별 가치별 P-O Fit 수준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개인과 조직가치가 일치할 경우와 그렇지 않을 경우 모두에서 긍정적인 태도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권에 따라 상이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국내 기업 종업원의 경우는 주로 개인과 조직추구가치의 일치성이 높은 경우에 최고수준의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국기업 종업원들의 경우에는 개인가치가 강조되는 패턴에서 최고수준의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Person-Organization Fit in the relevant literature is defined as the value congruence or compatibility betwee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t has been used to predict attitude variables,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Firms facing uncertain environment are extending their business to diverse local sites. Therefore, the P-O Fit researchers are involved with national culture as an important factor. Nevertheless, little empirical research with respect to the P-O Fit dealt with the cross cultural issues. In particular, methods such as Q-sort, the polynominal regression and the response surface analysis to measure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values are matched have their limitations. That is, they did not mention the profile characteristics of the Fit and the Fit level of P-O value maximizing performance. Hence,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 Fit and attitudes in the cross cultural context with two research questions. Alternative methodological approaches, the multivariate polynominal regression and the multiple response surface analysis, are also discussed. Findings indicate that both, whether the profile is matched or not, influence positively to attitud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congruence and attitudes is moderated by cross cultural factors. The profile of P-O Fit with High congruence for employees in korean firms maximizes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reas employees in chinese firms in the profile that personal value is bigger than organizational one, show the highest scores of the attitudes.

      • 고령자 복지정책과 노동시장정책에 관한 연구: Therborn의 복지국가 유형화를 중심으로

        박양규(YangKyu Park),안지혜(Jihye An)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0 商經硏究 Vol.35 No.1

        고령화 현상은 전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과제이며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고령인구의 추세에 비추어 21세기를 고령화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구의 복지국가들에게 있어 고령자의 낮은 노동시장 참여는 복지국가체제 유지에 많은 부담을 안겨주었고, 안정적인 인구성장을 기초로 설계되었던 복지제도의 틀이 변화되는 주요 요인으로 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주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Therborn이 제시한 복지정책의 확대정도와 노동시장정책이라는 기준을 토대로 시장중심 복지국가의 대표적인 미국, 완전고용을 지향하는 복지국가로서는 일본, 보상적 복지국가에는 독일, 정부가 강력하게 개입하는 복지국가는 스웨덴을 대표적으로 선정하여 살펴보았다. 대상의 모든 복지국가에서 보편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공통적인 지향점에 방향을 맞출 수 있도록 한국의 고령자 노동시장정책에 대한 현황과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how welfare states have changed in the period of population ageing. The welfare nations had developed with expansional economy and spent substantial amount of money. The cope with population ageing, we need a variety of responses to later retirement aimed at improving the job possibilities for older people. Consequently, this paper search about welfare system and employment policy in standard Therborn’s typology of welfare states. The old labor’s policy must be considered the welfare and macroeconomic factors. This study focused on improvement of policies about older workers stay for a long time in labor market. In the context of increased life expectancy and need for long-term infrastructure for health care maintenance, the aged people employment is needed not only for their welfare but also increasing the overall productivity of these old people.

      • KCI등재

        감정부조화-긴장 및 스트레스 관계에서 성격의 조절효과

        박양규 ( Yang Kyu Park ),임알비나 ( Albina Lim ) 한독경상학회 2013 經商論叢 Vol.31 No.1

        본 연구는 감정부조화수준-긴장/스트레스관계에서 성격이 중간변수로서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탐색한다. 감정부조화는 조직구성원이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감정과 실제 감정과의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두 감정사이의 불일치를 의미하는데 그 정도에 따라 조직구성원은 긴장과 스트레스를 지각하게 되고 이는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있다. 따라서 감정부조화-성과 간 관계에 대한 적극적인 탐색이 필요함에도 실증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다. 특히, 두 요인 간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설명요인을 정체화 하는 연구도 활성화되고 있지 않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는 인사조직 관련 연구에서 개인특성변수로서 주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성격이 두 요인 사이에서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검증하려고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감정부조화 수준의 증가는 스트레스 및 긴장을 높일 것이다. 가설 2: 감정부조화 수준-긴장 및 스트레스사이에서 성격은 조절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에 대한 검증을 위해 2012년 1월부터 2개월 간 기업에서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13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해 감정부조화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고 긴장과 스트레스에 대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Spss ver. 19의 MANOVA를 활용한 통계분석결과 두 결과변수에 대한 감정부조화집단 간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의 검증을 위해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성격유형의 프러파일을 4가지로 구분하고 감정부조화수준-긴장/ 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성격유형이감정부조화수준과 두 결과변수에 대해 유의적인 상호작용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마노바를 활용한 통계검증결과 성격은 감정부조화 수준과 긴장과 스트레스에 대해 유의적인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This study explores empirically that personality can work as a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tension/stress. ED(Emotional dissonance) occurs when an employee perceives an incongruence between the displayed emotions required in performing job and the felt emotion as actual emotions. Few relevant studies showed that ED had significant relations to the psychological tension and stress and consequently reduced job performance. Particularly,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the issue identifying moderators that can be worked in the relation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test the effect of personality as a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 and psychological variables. Thus, the hypotheses exam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H1: ED level has a positive effect to tension/stress. H2: Personality will be a moderator between the two variables. Questionnaires were applied in employees in corporate organizations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January 2012 and February 2012. 157 usable data were analyzed with MANOVA and K-cluster analysis in SPSS ver. 18, Findings showed that ED had no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job tension/stress and personality had no interaction effect with the ED on the job tension/job stress. In this study there are some limitations such as not enough samples applied and limited attempt to explore relevant intervening variables. In spite of the issue of generalization, it is meaningful to b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D and job tension/stress and to be 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ity.

      • 직무 및 조직몰입-성과 간 관계

        박양규(Park Yang Kyu)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5 商經硏究 Vol.40 No.2

        경영학 관련 연구에서 실제 성과에 대한 측정의 어려움은 연구모델의 일반화 가능성을 제약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고려된다. 특히, 기업 조직에서 성과평가 결과는 비밀주의 관행에 의해 종업원 개인에게 만 일부 공개될 뿐 좀처럼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남아있다. 이런 이유로 연구자들이 실제 성과를 연구모델에 포함시켜 실증 검증을 시도하는 연구는 해당 연구모델의 이론적 실무적 가치를 논하는데 있어 긍정적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 성과평가결과를 다루는 연구들은 편의샘플을 활용하거나 제한된 샘플 수로 인해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실제 성과를 예측할 수 있는 대체재로서 태도를 활용해 오고 있다. 그러나 기존 관련 연구에서 태도-성과간의 관계는 여전히 일관된 인과적 맥락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5년 봄학기부터 2015년 봄학기까지 K대 경영학과에 개설된 인사조직관련 과목 중 연구자의 수업을 수강한 366명으로부터 데이터를 확보하여 두 개의 연구 과제를 통해 그 인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 및 조직몰입은 학생들의 성적을 거의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효한 직무태도관련 개념의 지속적인 탐색, 발굴 및 검증이 향 후 연구에서도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 Researchers in management are facing one of the major sticking points, an actual performance measure that does work as a roadblock generalizing theories related. In particular, no performance data in corporate organizations are accessible because of the secrecy policy. Therefore papers including actual performance data are often appreciated in review processes in journals. However, it’s hard for researchers in the studies to get a valid and reliable research finding on account of the use of a convenient sample or a limited number of samples. Hence it has been studied whether attitudinal variables can explain the actual personal performance. Unfortunately previous relevant studies didn’t show that there was a consistant causality between them. 366 data are collected from students who attended in my classes from spring semester 2005 to spring semester 2015 to explore two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dn’t explain grades. Exploring an effective attitudinal variable is still left as an assignment for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공급망에서의 윤리적 가치특성과 거래공정성 -구매담당자의 비윤리적 의사결정이 거래공정성과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양규 ( Yang Kyu Park ),하병천 ( Byoung Chun Ha ),김민경 ( Min Gyeong Kim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6 해운물류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공급망 상의 협력 기업 간 거래에서 공급자의 공정성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매담당자의 비윤리적 의사결정 요인들이 조직의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한다. 연구의 결과, 구매담당자 개인이 거래의 절차적 차원을 설명하는 당위성 요인에 근거해서 비윤리적 판단을 하는 경우, 거래공정성과 관련 없이 기업의 물류성과에 직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거래의 결과적 차원을 설명하는 현실성 요인에 근거하여 비윤리적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 경우에는 거래공정성에 부(-)의 영향을 보이나, 거래공정성은 기업의 물류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매담당자가 거래 상대에 대하여 윤리적인 의무감, 상대에 대한 배려 그리고 사회적 계약의 이행을 근거로 비윤리적 의사결정을 하게 되면 물류성과와 같은 조직성과는 저해될 수 있으나, 현실성에 입각한 비윤리적 의사결정은 거래의 공정성을 저해하더라도 결과적으로 기업의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ccording to the theory of justice, ethical decision-making by business organizations is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inter-organizational transactional justice. Several studies have proved that transactional justice affects supply chain management because it creates inter-firm trust and long-term collaborative relationships between supply chain partners. Consequently, ethics and transactional justice probab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supply chains as well as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component firm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empirical study is to discover the meaningful causes of purchasing managers` unethical decision-making in supply-chain transactions. These are identified from a few philosophical concepts: ethics, morality, and virtue. Managers` unethical decision-making might ruin transactional justice between supply chain partner companies as well, and as such, the study uses a theoretical structural model to investigate the causal impact of purchasing managers` unethical supply-chain decision-making behaviors on both transactional justice and logistics performance. Moreover, the study attempts to prov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action justice and logistics performance, which might represent the overall operational performance of both the component firms and the supply-chain as a whole. That is,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managers` ethical levels, transactional justice, and logistics performance are tested in this research. In doing so, the study attempts to prove that purchasing managers` ethical approaches to their business partners and the consequential transactional justice affect supply chain management as firms seek continued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business partners. In this study, the factors explaining the reasons for managers` unethical business decisions include the justifiability factor (i.e., oughtness or philosophical Sollen) and the pragmatism factor (i.e., practicalness or practicality). The justifiability factor includes the ethical dimensions of justice, deontology, and egoism. The pragmatism factor includes the ethical dimensions of utilitarianism and relativism. The study reveals that the justifiability factor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firm logistics performance but has no impact on transactional justice. Meanwhile, the pragmatism facto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ransactional justice but has no impact on logistics performance. This implies that a manager`s unethical decision-making behaviors stemming from disregard for fairness, consideration for business partners, or fulfillment of social contract, might ruin firm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a manager`s unethical decision-making caused by overweight preference for the consequential effect, efficiency improvements, or profit maximization, might worsen transactional justice with business partners. Therefore, firms need to balance the justifiability factor and the practicality factor when making ethical decisions. Such an approach is likely to improve transactional justice, the firms`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suppli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