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교기반의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사회성증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심서연,박시하,이미현,이명수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5 정신건강연구집 Vol.6 No.-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학교기반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인 서울시 마음건강학교의 14개의 프로그램 중 사회성증진프로그램(이하 ‘Mind Class’)에 참여한 학생들의 또래관계기술 향상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 연구방법 : ‘Mind Class’에서는 또래관계기술척도의 향상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3년 3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서울시 마음건강학교를 운영한 서울시 소재 36개교(초등학교 22개교, 중학교 14개교) 3,87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양윤란 & 오경자(2005)가 개발한 또래관계기술척도를 활용하였으며, 평가도구의 하위변인은 주도성(9문항)과 협동, 공감(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래관계기술척도의 사전사후 변화 및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검증하기 위해 SPSS 18.0을 통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 서울시정신건강증진센터의 아동청소년지원팀에서 개발한 ‘Mind Class’의 참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P<.001). 이는 ‘Mind Class’가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생들의 또래관계를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또한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 프로그램 참여 후 남자청소년과 여자청소년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4 school-based mental health improvement programs of the ‘Seoul Mental Health School’, and to verify how the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ity (hereafter ‘Mind Clas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eer relational skill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 Method : From March, 2013 to July, 2015, this study asked 3,870 students from 36 schools(22 elementary schools, 14 middle schools) which located in Seoul and ran the ‘Seoul Mental Health School’ to verify how much the ‘Mind Class’ could improve the peer relational skills of the participants. This study used the peer relational skills scale developed by Yang, Yoon-Lan & Oh, Gyeong-Ja in 2005 for evaluations, and the sub-variables of the evaluation tool included 9 independence-related questions and 10 cooperation-and-sympathy-related questions. Also, this study used SPSS 18.0, and performed a paired t-test to verify gender differences in the peer relational skill changes before and after experiencing the program. ■ Result : The participation in the ‘Mind Class’, a program developed by the Child & Adolescent Support Team of Seoul Mental Health Center showed a meaningful result(P<.001). This proved the positive effect of the ‘Mind Class’ on improving the peer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also prove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the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o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statistically meaningful(P<.001).

      • 학교기반 자살사후중재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희망의 토닥임을 중심으로

        김은희,박시하,손지훈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7 정신건강연구집 Vol.7 No.-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고등학생의 자살사건 경험 후, 서울시 마음건강학교의 14개 프로그램 중 학교기반 자살사후중 재프로그램(이하 ‘희망의 토닥임’)에 참여한 학생들의 외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 연구방법 : 2016년 1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자살사건 발생 이후, ‘희망임 토닥임’ 개입에 동의한 학교는 9개교(초등학교 2 개교, 중학교 1개교, 고등학교 6개교)였으며 17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중 사전사후 평가를 진행하 여 외상적 스트레스의 변화 정도를 측정한 2개의 고등학교, 총 36명의 학생들을 통해 결과 값이 도출되었다. 평가도구는 은헌 정 외(2005)가 개발한 한국판 사건충격척도(IES-R-K)를 활용하였으며, 평가도구의 하위변인은 회피(8문항), 침습(7문항), 과 도각성(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판 사건충격척도의 사전사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SPSS 18.0을 통해 대응표본 t검정 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 자살사건을 경험한 고등학생들의 ‘희망의 토닥임’ 참여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p<.001). 이는 ‘희망의 토닥임’이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자살사건 이후 경험한 외상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 이다. 또한 하위변인을 세분화하여 살펴보았을 때 프로그램 참여 후 회피(p<.001), 침습(p<.001), 과도각성(p<.001)의 모든 영 역에서 청소년들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결론 :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개발한 [서울시 마음건강학교] 중 학교기반 자살사후중재 프로그램 ‘희망의 토닥임’은 청 소년들이 자살 경험 후 주관적으로 느끼는 외상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하여 자 살의 모방과 전염을 예방하고 자살 고위험군 학생을 찾아내어 개입하며 학교사회의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chool-based post-intervention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be as ‘Comforting with Hope’) in relieving traumatic stresses for the high-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suicide attempts, among 14 Seoul Mental Health School Programs. • Methods : For students’ suicide attempts, which had occurred from January of 2016 to November of 2016, 9 schools (2 elementary schools, 1 middle school, and 6 high schools) applied for the program called ‘Comforting with Hope’ for proper intervention, and the program had been applied on 175 students in total. Among those, this study results were obtained from 36 students at 2 high schools by measuring the degrees of changes in their traumatic stress levels through the preliminary evaluation and the post evaluation. The Korean-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 Scale, which was developed and revised by Eun Heonjeong et al. (IES-revised-K in 2005), was used as the evaluation tool. The lower factors of the evaluation tool consist of 8 avoidance-related questions, 7 intrusion-related questions, and 7 hyperarousal- related questions. A paired sample T test was conducted through SPSS 18.0 in order to verify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Korean-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 Scale. • Results :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called ‘Comforting with Hope’ among the high-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suicide attempts, are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It implies that the program called ‘Comforting with Hope’ has positive effects on high-school students in reducing their traumatic stresses after suicide attempts. Not only that, across all the lower factor areas, such as avoidance (p<.001), intrusion (p<.001), and hyper-arousal (p<.001), the program is prov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students. • Conclusion : Among the Seoul Mental Health School Programs developed by the Seoul Mental Health Center, the school-based post-intervention program, which is called ‘Comforting with Hope’, is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itigating the traumatic stress levels, which are subjectively felt by students after suicide attempts. In addition, it is especially meaningful, as it prevents any suicide imitation or copycat, properly intervenes by finding out any students in the high-risk group, and normalizes the functions of the school community.

      • 학교기반 자살사후중재 프로그램 '희망의 토닥임' 효과성 및 경험연구 : 상실과 함께 살아가기 위한 함께하는 애도

        장성진,김은희,박시하,손지훈,조성준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18 정신건강연구집 Vol.8 No.-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chool-based suicide intervention program, "Comforting with Hope", and the mourning process through the acceptance and intervention of the school. . Methods : First of all, data were collected via the administration of IES-R-K, CES-D, and SIQ on 771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ho participated in a group counseling program called "Comforting with Hope" between 2011 and 2017 with the consent of their parents and guardians. Following that, a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by using SPSS 24.0.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 school staff members who participated in "Comforting with Hope" intervention in 2017 to investigate the mourning process through the acceptance and intervention of the schoo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defined by Colaizzi (1978). . Results : As a result of the pre-post comparison o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it was found that self-reported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decreased,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 mourning process through acceptance and intervention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experience of trauma, trial and error in problem solving, beginning to mourn together, and recovery. . Conclusion : The school-based post-suicide intervention program, "Comforting with Hope,"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elf-reported stress, depression, and the suicidal ideation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school-based suicide, and the study suggests that "Comforting with Hope" provides not only 'recovery from the trauma' but also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growth'. . Keywords : School-based post-suicide intervention, Post-traumatic stress, Acceptance, Mourning, Comforting with hope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학교기반 자살사후중재 프로그램 「희망의 토닥임」의 효과성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교 측의 수용과정 및 개입을 통한 애도과정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연구방법 : 먼저 「희망의 토닥임」효과성 확인을 위해 2011년~2017년 본인 및 보호자 동의하에 「희망의 토닥임」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서울지역 초중고생 771명을 대상으로 사건충격척도(IES-R-K), 우울척도(CES-D), 자살사고척도(SIQ)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4.0을 통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희망의 토닥임」에 대한 학교 측의 수용과정 및 개입을 통한 애도과정 탐색을 위해 2017년 「희망의 토닥임」개입이 이루어진 학교의 교직원 3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내용은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 「희망의 토닥임」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 전후를 비교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주관적 스트레스, 우울감, 자살사고가 감소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희망의 토닥임」수용과정 및 개입을 통한 애도과정은 ‘외상사건의 경험’, ‘문제해결의 시행착오’, ‘함께하는 애도의 시작’, ‘회복으로 나아가기’의 4가지 범주로 분석되었다. . 결론 : 학교기반 자살사후중재 프로그램 「희망의 토닥임」은 학교기반 자살을 경험한 초중고생의 주관적 스트레스, 우울감, 자살사고 완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희망의 토닥임」을 통해 ‘외상에서의 회복’ 뿐 아니라 ‘성장’의 계기가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