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최근 국내 해양환경법제도의 변화에 관한 고찰

        박수진,Park, Su-Ji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3 No.4

        최근 해양환경법제도에 관한 정비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바, 이는 "지속가능한 개발원칙"과 "사전예방주의 윈칙"을 "법(law)"의 형태로 내재화하고 "정책(policy)"으로 실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연안침식 방지, 기후변화 대책마련과 같이 해양환경에 관한 입법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에는 해양환경 관련 법률의 법체계를 합리적으로 정비함으로써 법률간 연계성 및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해양환경을 효율적으로 보전하기 위해서는 법률과 정책의 정비와 함께 체계적인 연구와 조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Korea actively endeavors to improve the national marine environmental laws and regulations. Along with the growing global concern on the importance of marine environment, the concern is also increasing nationwide in Korea. These institutional changes in Korea have implications in that it has started to internaliz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rinciple and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n the form of 'law' and 'policy.' The enactment efforts for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marine environment will continue as the legal demand of public for coastal erosion prevention and climate change mitigation increases. This calls for robust revision for more logical framework and coherence of marine environment laws and regulations as well as efficient implementation of policies. In addition, it is strongly required that the systematical research and survey as well as the robust reversion of laws and policies should be taken accordingly for the effective conservation of marine environment.

      • 화제의 컨설턴트 소개-차상란 가람감정평가법인 이사

        박수진,Park, Su-Jin 한국경영기술컨설턴트협회 2004 컨설턴트 Vol.21 No.-

        한국경제신문에서 매주 1회 발행하는 비즈니스 전문지“한경비지니스”에서는 2004년 9월 20일자(제459호) “피플:프로의 세계”코너를 통해 차상란 경영지도사 프로필을 특집으로 소개했다.차상란 지도사는 본회 대외협력분과위원과 APEC CBC 평가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여성지도사회 부회장과 개인지도사 사무소“아트경영자문”도 운영하고 있다. 한경비지니스 459호에 게재된 차상란지도사 특집기사 전문은 다음과 같다.

      • KCI등재

        우리나라 해양관광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박수진,홍장원,Park, Su-Jin,Hong, Jang-Wo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8 No.2

        관광산업은 단일산업으로는 세계 최대의 산업이며, 동시에 높은 고용효과를 가져오는 산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해양레저스포츠, 크루즈관광 등 해양관광산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3천여 개의 도서와 약 12,000 km의 해안선, 드넓은 갯벌, 수려한 해양경관 등 천혜의 해양관광자원을 갖추고 있으며, 주 5일 근무제 정착, 교통수단의 발달로 해양관광에 대한 국민의 정책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해양관광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정책적 제도적 기반이 미흡하고, 관광자원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해양관광산업의 현황과 제약요인을 고찰하고, 현행 국내 해양관광 관련 법제도의 한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해양관광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적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tourism industry is considered as the world largest industry and it is assessed as the most effective way to create employment. In particular, the marine tourism industry such as marine leisure sports, cruise can create high added value so that its significance has been more emphasized. Korea has natural tourist attractions such as more than 3,000 islands, about 12,000km lengths coastline, wide wetlands and beautiful seascape.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five-day workweek and the development of means of transportation make the policy demand of the public for marine tourism increase continuously. However, Korea currently lacks policy and system for revitalizing marine tourism industry as the new growth engine and has not made good use of its retained tourist resource.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s of Korean marine tourism industry and further analyses the limits of the national legal systems for marine tourism. Lastly, it suggests policy recommendation for promoting marine tourism industry.

      • KCI등재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의 쿼럼 센싱 수용체인 QscR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산 잔기 분석

        박수진,김수경,이준희,Park, Su-Jin,Kim, Soo-Kyoung,Lee, Joon-Hee 한국미생물학회 2012 미생물학회지 Vol.48 No.3

        그람 음성균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다양한 환경에 존재하는 기회감염성 병원균으로, 병원성의 발현에 쿼럼센싱(QS) 기전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녹농균의 여러 QS 신호물질 수용체들 중 하나인 QscR은 다른 QS 수용체들과는 구분되는 특별한 특성들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들 중 특히 넓은 신호물질 특이성을 QscR에 부여해 주는 아미노산 잔기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QscR의 72번째 threonine, 132번째 arginine, 140번째 threonine 잔기가 각각 isoleucine, methionine, isoleucine 잔기로 치환된 돌연변이 QscR들($QscR_{T72I}$, $QscR_{R132M}$, $QscR_{T140I}$)을 제조하였다. 이들의 활성을 측정해 보았을 때 $QscR_{R132M}$은 N-3-oxododecanoyl homoserine lactone (3OC12-HSL)에 대한 반응성이 사라졌고, $QscR_{T72I}$와 $QscR_{T140I}$는 민감성이 많이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3OC12-HSL에 대한 반응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돌연변이 QscR들에 다양한 구조의 acyl-HSL을 처리해 보았을 때, $QscR_{T72I}$와 $QscR_{T140I}$는 야생형 QscR처럼 자기 자신의 신호물질인 3OC12-HSL 보다 N-decanoyl HSL (C10-HSL)이나 N-dodecanoyl HSL (C12-HSL)처럼 10개 혹은 12개의 탄소 사슬을 가지면서 3번째 탄소에 oxo-moiety가 없는 acyl-HSL에 대해 더 높은 반응성을 보였으며, $QscR_{R132M}$은 3OC12-HSL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 사용된 어떤 acyl-HSL에도 반응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QscR_{T72I}$와 $QscR_{T140I}$는 QscR 억제제인 5f에 의해 야생형 QscR과 비슷한 수준으로 활성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130번째 arginine의 경우 QscR의 활성과 acyl-HSL들과의 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72번째와 140번째 threonine들의 경우 QscR의 활성에는 중요하지만, 다른 구조의 acyl-HSL들에 대한 선택적 결합이나, 경쟁적 억제자들의 결합 간섭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Pseudomonas aeruginosa, a Gram-negative bacterium, is an ubiquitous and opportunistic human pathogen, which expresses many virulence factors through quorum sensing (QS) regulation. QscR, one of the QS signal receptors of P. aeruginosa, has unique features that make it possible to distinguish QscR from other QS receptors. In the present study, we focused on amino acid residues responsible for such a broad signal specificity of QscR. Thus we constructed mutant QscRs: $QscR_{T72I}$, $QscR_{R132M}$, and $QscR_{T140I}$ by substituting $72^{nd}$ threonine, $132^{nd}$ arginine, and $140^{th}$ threonine residues with isoleucine, methionine, and isoleucine, respectively by site-directed mutagenesis. When we examined the activity of these mutant QscRs, $QscR_{R132M}$ failed to respond to N-3-oxododecanoyl homoserine lactone (3OC12-HSL), but $QscR_{T72I}$ and $QscR_{T140I}$ remained the ability to respond to 3OC12-HSL despite much reduction of the sensitivity. When we treated a variety of acyl-HSLs with different structure, $QscR_{T72I}$ and $QscR_{T140I}$ showed better responsiveness to N-decanoyl HSL (C10-HSL) or N-dodecanoyl HSL (C12-HSL) that has no oxo-moiety at $3^{rd}$ carbon of acyl group than to 3OC12-HSL, and $QscR_{R132M}$ showed no responsiveness to any acyl-HSLs tested here. In addition, $QscR_{T72I}$ and $QscR_{T140I}$ were inhibited by 5f, a QscR inhibitor as similarly as wild type QscR w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the $130^{th}$ arginine is crucial in both activity and acyl-HSL binding of QscR, the $72^{nd}$ and $140^{th}$ threonines are important in the activity, but they are little responsible for the discrimination of acyl-HSLs or competitive inhibitor.

      • KCI등재

        신생아 폐출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 및 예후에 관한 고찰

        박수진,윤기태,김원덕,이상길,Park, Su-Jin,Yun, Ki-Tae,Kim, Won-Duck,Lee, Sang-Geel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3 No.4

        목 적: 신생아 폐출혈은 드물긴 하나, 일단 발생한 환아는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급성 좌심실 부전, 호흡 곤란 증후군, 동맥관 개존증, 패혈증, 혈소판 감소증 등이 폐출혈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저자는 출생 체중에 따라 신생아의 폐출혈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 인자를 규명하고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 기간 37주 미만의 미숙아 117명을 대상으로 출생 체중에 따라 두 군으로 구분하였다. 폐출혈의 정의는 임상적인 정의를 적용하였고, 각 군에서 폐출혈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고자 병력지를 기초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 총 117례 중 폐출혈은 39례(33.3%)에서 발생하였으며, 출생 체중에 따라 극소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대상환아 총 48례 중 17례(35.4%)에서 폐출혈이 있었고 산전 산모의 스테로이드 치료 여부는 환아의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01).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 혈소판 감소증도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5).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대상 환아 총 69례 중 22례(31.9%)에서 폐출혈이 있었고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는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25). 저혈압, 산혈증, 혈소판 감소증도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5). 다변수 분석에서 극소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산전의 산모 스테로이드 치료가 환아의 폐출혈 발생을 의미있게 감소시켰으며(OR=0.203, 95% CI=0.044-0.934),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OR=5.992, 95% CI=1.145-31.351)와 산혈증(OR=4.434, 95% CI=1.279-15.376)이 환아의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결 론: 출생 체중이 적은 군에서 비교적 폐출혈이 늦게 발생하나, 일단 발생하면 사망률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극소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산전의 산모 스테로이드 치료가 환아의 폐출혈 발생을 의미있게 감소시켰으며,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와 산혈증이 환아의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Purpose : Although neonatal pulmonary hemorrhage is rare, it is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We aime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ulmonary hemorrhage in preterm infants and to describe the clinical course, including neonatal morbidity, of infants who developed pulmonary hemorrhage. 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of 117 newborn infants aged less than 37 gestational week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Daegu Fatima Hospital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8. Control group infants without pulmonary hemorrhage were matched according to the gestational age,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birth weight range (${\leq}100g$). Pulmonary hemorrhage was defined as the presence of hemorrhagic fluid in the trachea and severe respiratory decompensation. Results : Pulmonary hemorrhage occurred in 17 case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 birth weight < 1,500 g; median age, 3 days) and 22 case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LBW; $1,500g{\leq}$ birth weight < 2,500 g; median age, 1 day). Antenatal maternal glucocorticoid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incidence of pulmonary hemorrhage in VLBW infants. Low APGAR score (${\leq}3$ at 1 min) and acidosis at birth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 incidence of pulmonary hemorrhage in LBW infants. Conclusion : Antecedent factors and timing of pulmonary hemorrhage of LBW infan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VLBW infants. The mortality rates of VLBW and LBW infants were 88.2% and 45.5%, respectively. Pulmonary hemorrhage was the principal cause of death in 66.6% VLBW infants and 40.0% LBW infants.

      • KCI등재
      • A Case of Kabuki Syndrome Confirmed by Genetic Analysis: A Novel Frameshift Mutation in the KMT2D Gene

        박수진,안문배,장우리,조원경,채효진,김명신,서병규,Park, Su Jin,Ahn, Moon Bae,Jang, Woori,Cho, Won Kyung,Chae, Hyo Jin,Kim, Myung Shin,Suh, Byung Kyu The Korean Society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2017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7 No.3

        가부키 증후군(Kabuki syndrome)은 특징적인 얼굴(아치형의 넓은 눈썹, 낮은 코끝, 큰 귓바퀴, 아래 외측 안검 외전), 골격계 이상, 출생 후 성장 지연, 그리고 경도의 정신 지체를 특징으로 나타내는 선천성 이상 질환이다. 또한, 선천성 심장기형, 비뇨생식기 기형, 구개구순열을 포함한 위장관 기형, 안검 하수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감염과 면역질환, 경련, 내분비 문제, 청력 손실이 나타날 수 있다. 가부키 증후군의 대부분은 12번 염색체의 장완에 위치한 KMT2D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병된다. KMT2D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생성된 비정상적인 KMT2D 단백질로 인해 신체의 여러 장기와 조직의 특정 유전자의 활성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가부키 증후군의 특징적인 외형과 기능장애가 나타난다. 출생시 선천성 심장 기형, 갑상선 기능 저하 및 일과성 저혈당 과거력이 있던 환아가 만 4세경 성장 지연, 아치형 눈썹, 낮은 코끝, 아래 외측 안검 외전, 큰 귓바퀴 등의 얼굴 생김새를 보여 시행한 분자유전학적 검사에서 KMT2D의 exon 15에서 새로운 frameshift mutation이 발견되어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가부키 증후군은 성장 지연 뿐 아니라, 발달 장애 및 행동 장애, 사춘기 여아의 경우 조기 가슴 발육을 포함한 내분비적 문제, 사시, 안검하수 등의 안과적 문제, 만성 중이염, 청력 손실, 감염, 경련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질환을 진단하고, 임상증상에 따라 적절한 중재를 할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신장, 몸무게, 머리둘레, 발달상태, 청각과 시각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여러 장기의 선천 기형을 보이는 환아의 경우, 임상의는 출생 당시에는 두드러지지 않을 수 있는 특징적인 얼굴 생김새, 성장 지연, 정신 지체 등의 이상에 대해 유의하여야 한다. 분자유전학적 검사는 임상적으로 가부키 증후군이 의심되는 환아를 조기에 진단할 수 유용한 방법이며, 앞으로도 가부키 증후군과 연관된 유전자 변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abuki syndrome is a rare congenital disorder that causes multiple birth defects and mental retardation. Mutation of the lysine methyltransferase 2D (KMT2D) gene is the primary cause of Kabuki syndrome. We report a 4-year-old Korean girl diagnosed with Kabuki syndrome based on distinctive facial features (eversion of the lower lateral eyelid, arched eyebrows, depressed nasal tip, prominent ears), skeletal anomalies, short stature, and molecular analysis, which revealed a novel frameshift mutation in the KMT2D gene. A 4-year-old patient had a past history of congenital cardiac malformations (coarctation of the aorta, ventricular septal defect, atrial septal defect, patent ductus arteriosus), subclinical hypothyroidism and dysmorphic features at birth including webbed neck, short fingers, high arched palate, micrognathia and horseshoe kidney. She showed unique facial features such as a long palpebral fissure, long eyelashes, arched eyebrows with sparseness of the lateral third, broad nasal root, anteverted ears, and small mouth. Her facial features suggested Kabuki syndrome, and genetic analysis discovered a novel heterozygous frameshift mutation (c.4379dup, p.Leu1461Thrfs*30) in exon 15 of the KMT2D gene. The diagnosis of our 4-year-old patient was made through thorough physical examination and history taking, and genetic testing. It is challenging to diagnose patients with Kabuki syndrome at birth, since the characteristic facial features are expressed gradually during growth. Clinical suspicion aroused by regular follow-ups may lead to earlier diagnosis and interventions.

      • KCI등재

        최소 효과 용량을 정하는 축차 검정법

        박수진,김동재,Park, Su-Jin,Kim, Dong-Jae 한국통계학회 2009 응용통계연구 Vol.22 No.5

        신약 개발 연구 또는 임상시험에서 개발된 약이 0용량 대조군과 비교해 유의한 효과 차이가 있어 신체에 반응할 수 있는 최소 복용량을 결정하는데, 이 최소 복용량을 최소 효과 용량(Minimum Effective Dose; MED)이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최소 효과 용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업데이티드 대조군을 이용한 모수적 축차 검정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모의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검정법과 제안한 검정법의 실험유의수준(experimental significance level)과 검정력(power)을 비교하였다. In new drug development studies or clinical trials, zero-dose control is needed in general to determine the lowest dose level for a new drug which can act with our bodies. When the lowest dose level compared with zero-dose control h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it is referred as minimum effective dose(MED). We propose, in this paper, parametric sequential test using updated control to identify the minimum effective dose(MED) level. Monte Carlo Simulation is adapted to examine the power and experimental significance levels of the proposed method with other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