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일본에 있어서 퍼지(Fuzzy)제어 용접기의 현상과 동향
박송춘,라규환 대한용접접합학회 1994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12 No.1
일본에서는 지금까지 제조공정에서의 생산성향상을 강력하게 추진해 왔으며 용접작업에 있어서도 인버터제어 용접기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용접을 하여왔다. 그러나 최근 일손의 부족에 의한 노동환경의 변화로 용접기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화되고 있다. 다시말해서 일손의 부족을 자동화로보트화로 대처하기 위하여 용접기의 새로운 고성능화를 요구함과 함께 종래 숙련작업자의 경험이나 기능에 의존해온 용접품질을 용접기의 새로운 기능으로 보상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최근 수년동안 용접기 제조업체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대응한 제품을 개발, 퍼지제어 용접기로서 생산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일본에 있어서 최근 화제로 되어 있는 퍼지제어 용접기의 현황을 중심으로 고성능화를 위한 새로운 용접기 제어방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최신 고능률 GMAW Process인 T.I.M.E용접법에 대하여
박송춘 대한용접접합학회 1993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11 No.1
TIME 용접법용 혼합 가스의 특성으로 인하여 기존의 GMAW 용접법과 비교하여 TIME 용접법 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용적 이행이 아크 플라즈마 기둥 내부에서만 일어난다. 2.용입이 깊고, 비드 단면현상도 뛰어나다. 3.용착량을 최대 450g/min까지 증가 시킬수 있다. 4.용접속도의 향상, pass수 감소, 결함발생이 적다. 5.저온 충격시험치를 향상시킨다. 6.비드외관이 미려하고, under cut 및 lack of fusion등의 결함발생 위험이 적다. 7.스패터 발생이 극히 적다. 8.자동 및 반자동 용접이 가능하다. 9.전체적인 용접비용이 대폭 절감된다.
통화안정증권이 환율·주가지수·물가지수에 미치는 파급 효과에 관한 연구
박송춘,조영석,조국일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통화안정증권이 환율, 주가지수, 물가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유는 통안증권이 서술한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금융정책을 결정하는데 많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E-Views통계프로그램에 의한 Granger인과관계를 검정한 결과, 통화안정증권과 환율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화안정증권은 주가지수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주가지수는 통화안정증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화안정증권과 물가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반응함수에서도 통화안정증권의 변동에 대한 다른 변수들의 충격반응보다는 주가지수와 환율의 변동에 따른 통화안정증권의 반응이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예측오차분산분해에 있어서도 통화안정증권의 단위당 변동에 따라 주가지수와 환율이 제일 설명력이 높았다. 결과적으로 통화안정증권과 주가지수가 제일 많은 인과관계를 갖고 있으며 특히 주가지수의 변동은 통화안정증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통화안정증권의 움직임을 알기 위해서는 주가지수의 움직임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onetary stabilization bond affect foreign exchange, stock index and prices index. It is because if we find out how much monetary stabilization bond affect foreign exchange, stock index and prices index, the analysis will become very useful in deciding future financial policies. According to analysis done by E-views statistics program, Granger Causality of monetary stabilization bond and foreign exchange did not affect each other. The Granger Causality Test of monetary stabilization bond and stock index showed that monetary stabilization bond did not affect stock index but not in vice versa. Also, the Granger Causality of monetary stabilization bond and prices index were not related to each other. Impulse response function showed that the impulse response of monetary stabilization bond depending on fluctuation of foreign exchange and stock index was greater than that of other variables depending on fluctuation of monetary stabilization bond. Also, in terms of Variance decomposition of prediction errors, foreign exchange and stock index were greatly changed according to per unit fluctuation of monetary stabilization bond. Consequently, monetary stabilization bond and stock index are very closely related. In particular, changes in stock index directly influenced monetary stabilization bo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bserve changes in stock index to find out how monetary stabilization bond moves.
콜금리 및 RP금리가 신용협동조합의 여·수신금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분석
박송춘,이상림,조영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신협의 금리결정에 대해 중앙은행의 기준금리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는 금융기관 경영에 중앙은행의 기준금리가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중앙은행이 2008년 3월부터 기준금리를 콜 금리에서 RP금리로 전환하였기 때문에 기준금리로서 기존에 적용했던 콜금리와 새롭게 적용한 RP금리 중 어떤 금리가 신협의 여·수신금리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 변수 간의 Pearson 상관계수에서 콜금리 및 RP금리는 DR, LR에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지만 양적인 변수인 DB와 LB와는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을 바탕으로 회귀 분석한 결과, 금리는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며 서로 수련되어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콜금리 및 RP금리가 비 은행금융기관인 신협의 여·수신금리에 미치는 영향은 p<.05 및 p<.01에서 매우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콜금리 및 기준금리인 RP금리는 유용한 금리조절 수단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in the Credit Union, members and close management with local society are regarded as import ant one. Also, to resolve asymmetric information problem, secured loan became a critical lending method. These changes mean that the original character of the Credit Union which emphasizes self-help, self-reliance and cooperation has changed. Small-sized banks, loc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financial institutions for ordinary people represent these trends. Also, loan and interest rates have been mostly decided by high interest rate, which is different from general banks. However, this thesis considered the Central Bank’s benchmark rate which can influence the decision process of interest rate in the Credit Union. Also, as the Central Bank switched its benchmark rate from the existing Call interest rate to new RP interest rate. I analyzed which rate between Call rate and RP interest rate has more impact on loan and interest rates of the Credit Union. According to the result. Call interest rate and RP interest rate were showing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i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owever, they did not show such relation in DB and LB. After I did regression analysis, rate became astringent, affecting each other. The impact which Call rat e and RP interest rate affect loan and interest rates of the Credit Union was very meaningful in p<.05 and p<.01. Therefore, call affect loan and RP interest rate, the benchmark rate were very useful means to control interest rate. However, it was not that meaningful in the loan balance. This means the market cannot be controlled by the self- control measure of the Credit Union which decides its interest rate based upon the loan balance.
박송춘,조국일 한국금융공학회 2007 한국금융공학회 학술발표회 Vol.2007 No.1
본 연구는 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우리나라에서 발행되는 ABS의 전체발행 이자율의 일별 발행 자료를 바탕으로 ABS의 발행이자율에 각 채권의 시장이자율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을 설정하기 위하여 확실한 현금흐름의 모형과 불확실한 현금흐름의 모형을 도출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하여 전체 ABS, BC, C-B, CR별 IiR과 TB(5Ys, 10Ys), MSBs(1Y), CD(3Ms)의 MIR의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발행이자율과 각 채권과의 분석에서는 TBs(5Ys)와 CD(3Ms)는 부(-)의 영향을, MSBs는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ABS는 초단기 채권과 장기 채권보다는 MSBs 같은 통화정책 수단의 채권의 발행이자율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산형태별 발행이자율의 분석에서는 C-B의 경우에는 TBs(5Ys) CD(3Ms)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Bs(5Ys)는 BC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두 가지의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첫째, C-B의 경우 M은 6.7%이며, BC의 경우 M은 5.1%로, 각각의 발행이자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경우 이자율의 차가 큰 C-B의 경우에 채권의 시장이자율 변수에 부(-)로 영향에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금흐름이 다를수록 채권의 시장이자율에 의해서 받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이 분석되었다. 즉 현금흐름이 불확실한 BC의 경우에는 그 영향력이 미미하지만, 현금흐름이 확실한 C-B의 경우에는 많은 변수에서 매우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용등급별로 분류한 증권들의 발행이자율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이자율 스프레드차가 큰 MSBs가정(+)의 유의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역으로 MSBs가 직접금융시장에서 유동성 조절에 효과적인 수단임을 예측할 수 있는 결과이다. 반대로 CD의 경우에는 모두 부(-)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실증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MSBs는 ABS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유의함을 알 수 있다. MSBs의 발행 시 ABS의 발행도 증가함을 예상할 수 있으며, CD의 경우에는 그와 반대의 경우임을 알 수 예상할 수 있다. 또한 ABS의 발행이자율은 10년 이상의 장기채보다는 단기, 중기의 채권시장이자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