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일본의 기하학적 전통 문양의 디자인적인 고찰

        박성연,문희숙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14 No.10

        A Korean traditional pattern can be described as the cultural heritage that contains the identified emotions and history of our ancestors. They created beauty in life by decorating their surroundings with particular and distinct patterns. Now that the interests in culture has been the focus of a lot of research fields, and that is related to rediscovering the cultural identity of our past. One of the recent trends in the field is to apply these cultural aspects, such as historical patterns, into modern design in order to promote the Korean culture and the arts to the world. Therefore, creating designs that contain originality based on the traditional patterns can become the ompetitive advantage of the Korean design as a whole. For example, Japan has already been promoting their traditional patterns as various design products to the world. Similar to what Japan has been doing, Korea needs to emphasis on the traditional patterns in order to create synergy in modern designs by implementing the old into new. Indee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raditional patterns of the two countries is critical in developing a superb conceptual guideline for Korea’s path in design. This study focuses on comparing and analyzing geometric patterns of Korea and Japan.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field by providing in depth intellectual means of patterns as cultural and traditional heritage. Furthermore, it will be a foundational work to spread distinct Korean designs to the world.

      • KCI등재
      • KCI등재

        미디어 퍼포먼스에서 주체가 되는 관객성 연구 - 김환기 화백의 미디어아트 전시 <UNIVERSE>를 중심으로 -

        박성연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2 No.2

        공연에서 관객을 연극의 역사, 공연의 특성 그리고 연출가의 컨셉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세분화하 면 크게 수동적 소비자, 능동적 소비자, 그리고 창조적 소비자 나눌 수 있다. 연극의 기원부터 20세기 이 전까지 관객은 주로 수동적인 소비자의 역할을 했다. 그러다가 20세기 초 텍스트를 거부하는 아방가르드 연극 운동이 맹위를 떨치기 시작하면서부터 관객의 위치와 역할은 조금씩 변화했다. 오랜 시간 동안 객 석에서 수동적인 소비자로 존재했던 관객이 20세기에 이르러 능동적 소비자로, 1960년 이후 네오 아방가 르드 연극 운동 시기부터는 점차 공연의 주체가 되는 창조적인 소비자로 변화의 양상을 보였다. 네오 아 방가르드 연극의 관심사는 자연스럽게 관객과의 관계에서 수행성과 그에 따른 지각 방식에 주어졌다. 관 객에 대한 이러한 관점의 변화는 관객의 위치와 역할의 제고에 큰 영향을 끼쳤고 현대공연예술의 수행적 공연에서 관객은 어떤 요소보다 작품의 중심에 있는 공연의 주체자가 되었다. 특히 동시대 공연예술에서 는 비약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미디어의 확산으로 인해 미디어에 기반을 둔 퍼포먼스가 각광 받고 있다. 미디어와 수행적 퍼포먼스의 급진적인 발달은 타장르와의 융합과 더해져 기존 연극 형태의 경계를 허물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공연의 무대 공간은 극장에서 벗어나 곳곳으로 확장되었으며 특히 전시공간 에서 미디어를 주체로 라이브 퍼포먼스를 선보이는 예술형태가 크게 확대되었다. 그중에서도 단순히 수 동적인 관객에서 벗어나 관객이 작품의 생산자나 주체로 탈바꿈되는 인터렉티브 미디어아트(interactive media art)는 동시대 공연예술에서 특히 주목하고 있는 예술형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시대 공연 예술에서 미디어 퍼포먼스의 의미를 고찰하고 그러한 환경에서 변화를 맞이한 관객성을 연구하였다. 이 때 미디어 퍼포먼스에서 창조적 소비자 성격의 주체적 관객으로 변화한 관객성에 대하여 김환기 화백의 미디어 전시 퍼포먼스 <UNIVERSE>를 예로 들어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연구자는 작품을 감상하는 관 객의 입장이 되어 롤랑 바르트가 설명한 푼크툼(punctum) 개념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In a performance, if the spectator is segmented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it can be further divided into passive consumers, active consumers, and creative consumers. From the origins of theatre to twentieth-century theatre, the spectator mainly played the role of passive consumers. Following the origins, the spectator’s position and roles changed little by little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hen the Avant-garde theatre movement, which rejected texts, began to rise. Since the period of the Neo-avantgarde theatre movement in 1960s, the spectator has gradually changed into creative consumers who are the main players in performances. The interest of the Neo-avantgarde performance artists was naturally performative in relation to the spectator and the way of perception accordingly. Changes in the perspective on the spectat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spectator’s positions and roles. In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 media-based performance is in the spotlight due to the spread of media that continues to develop rapidly. The radical development of media and performative performances, combined with other genres, began to break the boundaries of the existing theatrical form. In particular, the art form of showing live performances with the media as the key player in the exhibition space has been greatly expanded. Among them, interactive media art is where the spectator is transformed into the key player of works. It is a form of art that i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 Therefore,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meaning of media performance in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 and studied the spectatorship in such an environment. For the changes to the spectatorship as the key player with creative consumer personality in media performance, I examined Kim Whanki’s media art exhibition “UNIVERSE” as an example. During the process, I took the position of the spectator who appreciates works of art and studied the situation by applying the concept of punctum as described by Roland Barth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공공미술 연계 교육프로그램과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살기 좋은 공동체’ 벽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박성연 한국영상학회 2018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6 No.1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A Good Living Community," in which the art students of K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project entitled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ty Environment in 2017." This project lasted from October to December of 2017 in involved basic coding-decoding applications and finishing phases in the classroom. The project was carried out in an area between the old Gwana Park in Chungju-si and a youth mall where youth businesses are started. The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by developing programs related to the majors of the students, aiming to develop programs through their major classes and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m. A mural project was conducted in Chungju-si, with residents attempting to transform their areas into more youthful areas in order to find local vitality. One educational effect was not only to realize the project in a step-by-step manner in the sixteen-week program but also to apply theories learned in the classroom on site and to contribute to the local area. There are many studies of mural paintings in the existing research on public arts, but mainly focus on analyzing mural projects and on case studies involving resident participation. It is true that the former type of research collects objective data and undertakes theoretical analyses, but it is limited because regional studies are not applied equally. In this respect, the present study presents an education methodology and offers significance given the combination of a major education program and a local connection. I also introduced the concept of state discrimination when applying the content to the class. Henc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come a practical educational model for professors, teachers, students, and local community members who carry out community-related projects in connection with college class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017 지역사회 환경개선 방안 도출 교육프로그램 사업에 지역과 K대학교 예술전공 학생들이 참여한 ‘살기 좋은 공동체’에 대한 교육프로그램개발 연구이다. 이 프로젝트는 2017년 10월~12월 중 프로젝트를 위한 기초-심화-응용 및 현장실습-마무리 단계를 수업에 적용하여 충주시 옛 관아가 있는 관아공원 일대와 청년사업이 시작하는 일대를 잇는 지역에서 실행되었다. ‘살기 좋은 공동체’ 프로젝트의 목적은 지역과 연계된 전공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환경을 개선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살기 좋은 공동체’의 진행과정과 그 결과를 소개하고 교육적‧사회적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 프로젝트는 16주 동안 주차별 과정을 통해 단계별로 진행되었을 뿐 아니라 학생들에게는 수업에서 배운 이론을 현장에서 적용하고 또한 지역에 기여한다는 교육적 효과를 갖고 있다. 기존 공공미술 연구에 있어서 이미 많은 벽화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가 있었지만 대체로 기존 벽화 프로젝트에 대한 분석과 주민 참여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미 실행된 벽화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는 객관적인 자료 수집이 용이하고 이론적인 분석이 가능하지만, 지역 분석 연구가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으므로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이론과 실제가 적용된 교육방법안을 제시하여, 전공 수업 교육 프로그램과 지역 연계라는 의의를 가질 수 있었다. 그리고 수업에 그 내용을 적용할 수 있도록 주차별 내용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이 점에 비추어 이 연구는 앞으로 대학 수업과 연계하여 지역연계 프로젝트를 수행할 교수자와 학생들 그리고 공공단체 지역주민들에게 실질적인 교육적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