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바우하우스 여성 직조가들의 업적과 사회적 역할에 관한 연구

        박성림(Park, Sung-Rim)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3

        바우하우스는 현대 건축과 디자인 제반에 걸쳐 그 양식과 미학을 구축하고 종합 조형 예술 학교를 위한 새로운 교수법을 전 세계 대부분의 미술 대학에 전파한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미술 교육기관 중 하나이다. 하지만 현대 조형 예술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력을 끼친 바우하우스의 평가에서 그 역사의 주체는 대부분 남성들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역사는 주요 인물과 사건을 바탕으로 사실의 내용을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여 평가하는 것인데 여기에는 전통 적으로 남성 중심적 견해가 대부분이다. 바우하우스의 전반적인 운영과 활동은 남성이 주축이 되어 진행되었지만 내부에는 수많은 여성들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존재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한 바우하우스의 흐름을 여성 예술가들의 활동과 업적을 중심으로 살펴보 고자 한다. 학생으로서, 교육자로서, 그리고 교수의 부인으로서 그 역할과 활동들은 지금의 바우하우스를 있게 한 또 하나의 이유라 사료되기 때문이다. 바우하우스 여성 예술가들의 역할과 활동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직조 공방의 중점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직조 공방은 여성의 참여가 가장 많았고 그 활동이 활발했던 곳으로 여성 예술가 들의 삶과 예술 세계의 고찰을 통해 그들이 끼친 사회적 영향력과 업적들을 평가해 볼 수 있는 최적의 장소라 판단된다. 특히, 애니 알버스(Anni Albers), 오티 베르거(Otti Berger) , 레나 버그너 (Léna Bergner), 그리고 군타 스?p츠(Gunta Stölzl)의 전반적인 활동과 업적을 통해 그들이 끼친 사회적 영향력과 함께 실제보다 평가 절하되었던 바우하우스 여성 직조가들의 위상을 재정립할 수있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해 본다. Bauhaus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rt academies in the 20th century that established the style and aesthetics of the overall modern architecture and design, and spread the new pedagogics for the comprehensive formative art schools to most of the art colleges around the world. Upon establishment, Bauhaus advocated educational reform and gender equality to become an anti-academism institution. Bauhaus freely crossed the borders of art, industry, and life to develop various designs and products. It also contributed to the birth of several artists and designers. However, in the evaluation of Bauhaus, which has brough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verall modern formative arts, it is easily found that the males were the main subjects in most of the historical events. History should include the interpretation of the facts and the relevant evaluation based on important characters and events, but in this case, they posed mainly the male-oriented opinions. Thus,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flow of Bauhaus in perspective centered at female activities and achievements, based on historical facts. Even though the overall operation and social activities of Bauhaus from the establishment to the closure were performed focused on males, and that a few male artists and designers were known to the world, there existed many females who have an important role inside Bauhaus. It is considered that the roles and activities of females, who were a student, educator, or a wife of a professor, gave another reason for the existence of Bauhaus today. In this study, it is focused on the research of the weaving workshop to identify the various roles and activities of females. The weaving workshop was one of the workshops began with the establishment of Bauhaus, where many female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were marked. Thus, it was the optimal place for exploring the life and art of the female artists. It will give us a chance to review the effects of Bauhaus on the progress of the modern fiber art through the contemplation of the female artists in Bauhaus, who have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until now, as well as to identify their social role in Weimar. Especially, through the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women weavers such as Anni Albers, Otti Berger , Léna Bergner, and Gunta Stölzl, it will become a chance to reestablish the status of female artists in Bauhaus, who were devaluated compared to their actual activities and achievements.

      • KCI등재

        공공미술에서의 섬유 매체 활용 연구

        박성림 ( Park Sung R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섬유 매체를 활용한 공공미술의 현재를 살펴본 것이다. 섬유 매체는 인류의 삶과 밀착되어 오늘날까지 함께 해 온 시간만큼 문화적· 심리적· 경제적· 정치적· 예술적 관점이 축적된 예술표현의 재료 중 하나이다. 다층적 특성을 내재한 섬유 매체가 현대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공미술의 행보에 있어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파악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 환경을 위한 현대 공공미술의 역할과 기능 파악을 위해 공공미술의 개념과 흐름을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다음으로, 공공미술의 핵심 개념을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섬유의 특성을 물리적· 심리적· 예술적 관점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현대 공공장소에서 섬유를 표현의 재료로 활용한 공공조형물의 사례를 탐구하여 도시 환경 개선 및 참여와 소통을 위한 현대 공공미술의 현황을 탐색해 본다. 이 분석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공공미술은 섬유 매체에 내재한 다층적 특성을 활용하여 설치된 공공장소의 정체성을 재구축하면서 공공성이 더욱 강조된 영역으로 설정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으로 긍정적인 파급 효과가 발생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공공미술은 섬유의 물성으로 관람객의 개입을 수용하여 시각적 호응과 함께 청각, 촉각 등 오감으로 감상할 수 있는 예술의 형태를 제시하고 있었다. 이는 곧 공공미술과 섬유예술의 잠재적 가능성을 재고할 수 있는 부분으로 후속 연구에서 공공미술의 관점으로 살펴본 현대 섬유예술의 유형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공공미술과 섬유 매체의 체계를 연계적 관점에서 살펴본 것에 이 연구의 의의를 두며, 이 연구는 그에 기반하여 분석한 초기 단계의 논문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탐색적인 연구의 특징을 가진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is a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fiber material usage in public arts. Fiber material is closely related to human lives and is meaningful in cultural, psychological, economical, political and aesthetical terms up to this da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fluence fiber material has on public arts. The method of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examine the concept of public art in theoretical perspective to address the role and function it plays on the enhancement of urban environment. Secondly, analyze fiber material’s physical, psychological and aesthetical aspects. Finally, examine examples of public sculptures that use fiber material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e of public art for urban environment enhancement and public participation. With these following analys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Primarily, by using the multi-layered aspects of fiber material public art promoted the identity of public places and emphasized the public aspect. During this process we have found out that it has a positive influence both socially, economically, culturally and politically. Furthermore, public art introduces art in forms that stimulate the five senses by accepting user interventions. This calls for a reconsideration on the potential of public art and fiber art and will be noted on a subsequent research.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integrates public art with the system of fiber material. Furthermore, this analysis is based on the perspective mentioned above and will be focusing on analyses so that it could lead to other subsequent researches.

      • KCI등재

        자넷 에힐만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적 특성 연구

        박성림(Park, Sung-rim)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4

        이 논문은 첨단 디지털 시대에 자넷 에힐만(Janet Echelman)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의 확장적 가치를 분석한 것이다. 아날로그 감성이 가득한 공예가 첨단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으로 나타나는 특징과 이것이 미치는 사회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시대의 화두인 첨단 디지털 기술과 융합한 공예는 다양한 사회적 역할 제안과 미학적 담론들을 제시하며 공예의 부흥기를 이끌고 있다. 첨단 과학이 제공한 인류의 감성 상실 현상이 가증(加增)된 현시대에, 여러 분야와의 다양한 융합의 시도를 통해 우리의 감성을 치유하고 견고했던 전통성의 경계를 무너뜨리며 공예의 대중화·보편화에 기여했기 때문이다. 이와 연관하여 미국의 기류 조각가 자넷 에힐만이 시도한 전통공예 기법과 첨단 디지털 기술의 융합 과정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스튜디오 에힐만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성과 혁신성의 융합 그리고 이 과정에서 요구되는 협업의 중요성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첨단 디지털 기술의 메커니즘(Mechanism)적인 효율성을 적극 활용하여 창작자의 예술 철학을 전통공예의 기법으로 구현한 새로운 시각 예술의 형태를 살펴본 것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이 창작자들에게 융합공예를 통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살펴봄에 있어 포괄적인 개관(槪觀)이 되길 바라본다. This study analyzes the expansive values of convergence craft in the stream sculptures of Janet Echelman in the advanced digital generation. The main objective is to emphasize social impacts brought by the convergence of analog craftswork and digital technology. The convergence of sophisticated digital technology and craftswork has become a generational controversy and suggests various social roles and artistic debates, leading to its period of revival. In the current era where people’s emotional lack has been increased due to science, such convergence succeeded to break between the lines of tradition which healed human’s emotions and led to its popularization and generalization. In this connection,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convergence between traditional craft techniques and advanced digital technologies that America’s stream sculptor Janet Echelman tried. This is expected to discover new traits of convergence craft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tradition and innovation, which happened in Studio Echelm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 of new visual art which embodies the artistic philosophy of the creator as a technique of traditional craft by making full use of the mechanism efficiency of advanced digital technology. Finally, it hopes to becom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how creators can contribute to society through convergence craft.

      • SCOPUSKCI등재

        횡방향 주사를 이용한 광위상 간섭계의 페이즈 언래핑 향상에 대한 연구

        박도민,박성림,권대갑,Park, Do-Min,Park, Sung-Lim,Gweon, Dae-Gab 대한기계학회 1998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2 No.3

        The biggest problem common on to all forms of Phase Shift Interferometer is unwrapping the phase. Simple phase unwrapping algorithms assume that every pixel is within radians of its neighbors. If this is true, any reasonable algorithm will return the correct unwrapped phase. If not, correct unwrapped phase will not be obtained. In rough surface, frequently, neighboring pixels have phase steps greater than. This paper proposes the new method which makes phase steps smaller than by sub-pixel movement.

      • KCI등재

        도로터널 내/외부의 영상휘도 측정기 연구개발

        장순철,박성림,고석용,이미애,Jang, Soon-Chul,Park, Sung-Lim,Ko, Seok-Yong,Lee, Mi-Ae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5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7 No.1

        본 논문은 터널 조명 시스템을 적절하게 운영하기 위하여, 터널 내부/외부의 휘도를 측정하는 영상휘도계의 개발 내용을 소개한다. 터널을 측정하는 국제규격 CIE88의 L20법 및 광막법이 구현 가능하도록 개발하였으나 현재 주로 적용되는 L20법을 위주로 실험하였다. 독립적 운영을 위하여 컴퓨터가 내장되었으며 외부와는 이더넷 통신으로 연결된다. 내부에 자동 온도조절 기능과 앞면유리의 열선과 와이퍼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정확한 휘도 측정을 위하여 노출시간과 휘도량에 따른 비선형 특성을 보정하는 수식이 적용되었다. 개발된 휘도계의 공인기관 교정결과는 1%미만의 오차를 보여주었다. 개발된 휘도계를 이용하여 실제 터널에서 실험을 하였고, 실험결과 기준 휘도계측기들과 유사한 특성을 보였으며, 매우 안정적으로 작동함을 볼 수 있었다. 다만, 부분적 고휘도로 인한 센서 포화에 의한 측정오차를 해결하는 과제는 남아 있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development of imaging luminance meter which measures the luminances of external/internal road tunnel. The developed imaging luminance meter complies with both L20 method and Veiling luminance method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s, CIE88. In this paper the L20 method is mainly presented because most of tunnels currently adapt L20 method. The developed system has an embedded computer to operate at stand-alone. The system has a ethernet port, a heater, a fan, a defroster, a wiper and sun shielder. Compensation algorithm is applied for correcting non-linear responses to the luminance and integration time. The accuracy of measurement is less than 1% when it calibrated at the public certification institute. The developed system was also tested at the real field, road tunnel. The test results were very similar with the reference luminance meter and showed that the developed system operates well at the real field. Partial sensor saturations were happened to show the less luminance, because there were the high reflecting objects in the real field. Further study should be followed for high luminance measurement.

      • KCI등재

        16 세기 이집트, 터키, 페르시아 카펫의 역사적 고찰

        차영순(Cha Young Soon),박성림(Park Sung Rim)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1

        카펫은 원시 시대로부터 오랜 세월동안 인류의 주거생활에서 실용적, 장식적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해 주는 필수품 가운데 하나이다. 카펫은 각 나라와 지방, 마을과 가족단위로 다양한 제조 기술과 디자인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바 그 다양성은 오랜 세월을 거치며 전승되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산업화를 통해 그러한 다양한 전통들이 계승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요와 공급에 있어서 경쟁력 있는 섬유 문화산업의 한 축으로 굳건히 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카펫은 주로 중앙아시아, 스칸디나비아 반도 및 근동지방에서 사회, 경제, 문화, 역사, 종교, 예술 등의 제반 분야에서 그 가치와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 역사적 문화유산의 산물로서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발전해 왔다. 기계에 의한 대량 생산 방식이 지배적인 오늘날에도 숙련된 장인의 정성과 솜씨가 깃든 카펫은 여전히 카펫 문화권에서는 최고의 가치를 지닌 수공예품(手工藝品) 중 하나이며, 중앙아시아 제국은 물론 구미에 이르기까지 현대 주거 문화에 있어 주요한 인테리어 제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오늘날 수직(手織) 카펫은 각국에서 전통과 문화의 맥을 계승하려는 노력과 함께 홈 인테리어의 관심과 수요의 급증으로 다시금 부흥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음을 국제적인 카펫 전시회나 박람회(ex. DOMO Tex, Heim Tex 등)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6세기 이전의 사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아 다양한 연구와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추정되는 카펫의 기원, 그리고 발전과정에 관한 사료가 풍성한 시점인 16세기 이집트, 터키, 페르시아 삼국의 화려하고 융성했던 카펫에 초점을 맞추어 역사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그 특성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아울러 카펫에 내재된 상징과 의미, 디자인적 특징과 역사적 고찰을 통해 서유럽으로의 전파 및 발전과정이 현대 카펫 산업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국내외적으로 관련분야의 섬유 산업에 관한 비전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Since the primitive times, carpets have been used for decorative and practical purposes in residential areas for a long time, enriching human life. Carpets have a variety of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design characteristics by country, region, or village and family. Carpet production skills have been handed down through several generations. These days,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it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settled in the textile and cultural industry. In Central Asia, Scandinavia or the Near East, carpets have been developed with a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 life as a historical product with various symbolic meanings in the fields of society, economy, culture, history, religion and art of each age. Even today, although the mass production by the machines is prevalent, carpets with skilled craftsmanship and technology are still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valuable handicrafts, which are one of the indispensable factors of modern human life. In particular, with the current efforts to succeed tradition and culture, and with the increased interest and demand of home interiors, handcrafted carpets are seeking for the next Renaissance through a variety of international carpet fairs (ex. DOMO Tex, Heim Tex).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origins and development process of carpets in many different aspects, where various researches and investigations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because o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records.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carpets of Egypt, Turkey, and Persia in the 16th century, which boasted a splendid and brilliant culture, and examined their influence on the design, color, and pattern of the modern carpets.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o present the clues for developing various textile materials and for the future textile industry.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