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슈정당의 가능성과 한계

        박설아(Seol Ah Park),류석진(Seok Jin Lew) 한국정당학회 2013 한국정당학회보 Vol.12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독일 해적당의 등장과 발전과정을 통해 이슈정당의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는 것이다. 현존하는 민주주의 정치체제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정당들의 가장 큰 특징은 특정이슈에 초점을 맞추고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점이다. 여러 이슈정당 중에서도 독일 해적당은 탈물질주의적 가치 변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정보사회 이슈를 제기하면서 적극적인 정치 참여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최근 지방의회선거에서 잇달아 성공을 거두었고 독일 정당 체계 내에서 강력한 정치세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독일 해적당이 다른 국가의 해적당에 비해, 그리고 독일 내 다른 군소정당에 비해 단기간에 성공한 요인을 분석하여 이슈정당의 발전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 운동에서 출발한 독일의 해적당은 의회 진출 이후 이데올로기적 모호성과 유동적인 지지층, 그리고 검증되지 않은 새로운 기제의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 등 앞으로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독일 해적당이 전통적인 거대정당이 간과하는 특정 이슈에 초점을 맞추어 선거제도를 적절하게 활용하고 특정 이슈에 정당 프로그램을 집중하며 수평적인 네트워크와 소셜 거버넌스를 시도하여 이슈정당으로서 새로운 정치세력화에 커다란 성공을 거두었음은 주목할 만하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how the pirate party emerged as a new force in German politics and to examine what kind of implications the success of German Pirate Party has for the rise of single issue parties and the change of political process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newly established parties concentrate often their politics on specific single issues in order to mobilize support of voters and to have strong political influence. The German Pirate Party, which conduct campaigns against copyright and internet censorship, have polled particularly well in recent state elections.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German Pirate Party owes its unprecedented success to the election system, party programs focusing on platform of political transparency and internet freedom, and horizontal networks. It, however, face challenges such as resolving ideological ambiguity or problems of liquid democracy voting system and crew model, or mobilizing loyal supporters.

      • KCI우수등재

        단말기 약정보조금의 부가가치세법상 매출에누리 인정 여부

        박설아 ( Seol Ah Park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5

        Mobile communications business operators have been giving handset contract subsidies to consumers who agree to continue mandatory use of thei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order to secure more stable customers. In this situation, arguments is still progressing on whether handset contract subsidies should be excluded from the tax base of the value-added tax as discount amount of sales. In this connection, two remarkable judgments have been recently rendered.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3Du19615 (Dec. 23, 2015) deems that the handset contract subsidies given by KT in a closed distribution system, since being discount amounts of sales related to the supply transaction between KT and its agencies, should be deducted from the value of supplied handsets. In addition, the Seoul Administrative Court Decision Guhap64759 (Jan. 28, 2014) views that the handset contract subsidies given by SKT in an open distribution system, since being discount amounts of sales related to the supply transaction, should not be deducted from the value of supplied handsets. Both Decisions above, though having something in common in viewing handset contract subsidies as discount amounts of sales relating to the supply transaction, suggest quite different conclusions. Consumers, though being given the same amount of handset contract subsidies while buying the same model of a handset, bear a different amount of value-added tax, depending on whether they subscribe for KT mobile service or SKT mobile service. This is because SKT, not directly being involved in the supply of handset transactions differently from KT, cannot have the subsidies deducted from the value of supplied handsets in the calculation of tax base of the value-added tax. This is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neutral taxation. Looking into the payment scheme of handset contract subsidies, the subsidies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 transactions between mobile communications business operators and their consumers, irrespective of the type of handset distribution system. In addition, when co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 contract with a consumer, if the mobile communications business operator gives the whole amount of handset contract subsidy to the consumer at a time, such a subsidy cannot be accepted as a discount amount of sales, since it does not meet the requirement for direct deduction. On the contrary, if the operator gives the subsidy to the consumer in such a way of deducting a certain amount from the monthly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 fees paid by the consum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ubsidy, being accepted as a discount amount of sal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 transaction, may be deducted from the tax base of the value-added tax. The writer cannot agree with any conclusion of the two Decisions.

      • KCI등재

        정당의 소셜미디어 활용 현황과 과제

        조희정(Cho, Hee Jung),박설아(Park, Seol Ah)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1

        이 글의 목적은 정당의 핵심 역할을 중심으로 외국 정당의 소셜미디어 전략을 평가·비교하여, 소통을 지향하는 소셜미디어가 정당 위기를 극복 할 수 있는 매개가 될 수 있음을 논증하고, 국내 정당에도 적용할 수 있는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환경 영향만큼 중요한 정당의 의지와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외국 정당들이 수행하는 소셜미디어 전략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정당 위기 극복방안을 모색한다. 동시에 가치, 제도, 기술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정당의 가치정향 변화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미국, 벨기에, 스웨덴, 스위스, 영국, 인도네시아, 일본, 태국, 프랑스, 한국, 호주 등 15개국 63개 정당을 연구조사 대상으로 설정하여, 온라인 채널인 홈페이지, 블로그, 소셜미디어, 유투브, 모바일 채널을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먼저, 정당 위기론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탈물질적 가치의 등장, 시민의 관여도 증가, 소셜미디어 발전을 논의한다. 이후 외국 정당의 소셜미디어 전략을 의제설정 및 집약, 동원, 인적·물적 지지기반의 확장, 기술활용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가치·제도·기술에 대한 효과적 대응을 위해 정당이 수평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온라인 채널을 오픈 플랫폼으로 제시하며, 매시퍼블릭콘텐츠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강조한다. This study aims to argue that social media would be an intermediation to overcome the crisis of party politics and to suggest that the strategic alternatives would be applicable to the Korean parties. It also reviews and compares the agenda, resource, and spread strategies for using social media by foreign parties, particularly focusing on roles and functions of political parties. This study researches on-line channels such as Homepage, Blog, Social Media, YouTube, and Mobile channels in 63 parties of 15 countries, including Netherlands, Norway, Denmark, Germany, U.S., Belgium, Sweden, Switzerland, UK, Indonesia, Japan, Thailand, France, Korea, and Australia. As the main factors, which cause the crisis of political parties, there are the appearance of post materialism values, increasing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development of social media. By these corresponding change of‘ value’‘, institution’ and ‘technology’, political parties will endeavor to organize horizontal networks, on-line channel as open plat-form, and mash public contents.

      • KCI등재

        온라인 신민족주의의 정치화 가능성: 한,중,일 온라인 갈등 유형과 확산 사례를 중심으로

        류석진 ( Seok Jin Lew ),조희정 ( Hee Jung Cho ),박설아 ( Seol Ah Park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3 韓國 政治 硏究 Vol.22 No.3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 일본의 온라인 민족 갈등의 유형과 확산을 중심으로 온라인 신민족주의의 정치화 과정으로 연구한다. 특히 한시적이고 단절적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삼국 간 온라인 갈등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과정에서 누가, 무엇을, 어떻게 보호하고 배척하는가를 분석한다. 연구 결과, 한국의 자주, 중국의 중화주의, 일본의 신국가주의적 특성은 영토, 역사, 사회?문화, 국제행사 영역에서 온라인 갈등으로 재현되어, 구민족주의와 다른 의미의 신민족주의를 형성한다. 또한 신민족주의의 정치화 과정에서 기억의 정치 의제, 극단주의?배외주의적 성향, 그리고 개별화에 의한 국가성의 전환이 문화와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정치화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문화적소통과 공동의 공간을 마련하여 열린 민족주의 혹은 소통적 민족주의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kinds of nationalistic issues are politicized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to explore how they develop into online neo-nationalism.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online conflicts that arose temporarily but repeatedly in the three countries. According to the .ndings of the study, the online conflicts were related to territorial,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issues and international event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process of conflict diffusion, the politics of memory, the tendencies of extreme and chauvinistic nationalism, and the particular transformation of stateness in each country were strengthened;thus, neonationalism began to emerge. The .ndings also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promote cultural communication for open nat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