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다양성 관련 교과목이 대학생의 문화다양성 역량에 미치는 효과 연구

        박선옥(Park, Sun Ok),박혜숙(Park, Hye Sook)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4 교양학연구 Vol.- No.27

        이 연구는 H대학교 <다문화 여행과 세계시민성> 과목 수강생의 문화다양성 역량의 변화도를 점검하여 수업의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2-2학기와 2023-2학기 수강생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문화다양성 역량은 두 개 학기 사전-사후 모두 인지>실천>감수성의 순서를 보였으며, 관련 지표인 창의융합 역량은 인지 다음으로 높은 역량으로 조사되었다. 하위 역량별 향상 정도 역시 인지>창의융합>실천>감수성 순으로 향상도를 보였다. 다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감수성은 감소한 경우도 있었다. 수강생 변별 요소인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문화다양성 역량과 관련 지표인 창의융합 역량의 전반적인 향상을 보였으므로 교과목이 목표하고 있는 바의 효과를 달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향후 학습자의 역량을 더 높이기 위하여 문화다양성 요소를 중심으로 한 그룹 활동을 모색하고, 관련 서비스 러닝 교과목의 증설,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확대 및 활성화를 제안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the Multicultural Travel and Global Citizenship course on college students’ cultural diversity competency. Additionally, it examines whether gender difference exists in the students’ cultural diversity competency. For this purpose, a pre-and post-online Cultural Diversity Competency Scale, validated by Park et al. (2023), was administered to H University students taking the “Multicultural Travel and Global Citizenship” course in the fall semester of 2022 and 2023. The analyses showed that cognitive competency show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Practical competency and then Sensitivity Competency both before and after the course over the two semesters. Additionally,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a related indicator, was the highest competency after cognitive competency. After one semester of course experience, learners improved competency in the following order: cognitive > creative convergence > practice > sensitivity. In addition, there was an overall improvement in cultural diversity and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a related indicator, irrespective of students’ gender. However, there were cases where affective competency, “sensitivity” decreased,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As cultural diversity competency and its related indicator of convergent competence have improved overall, it can be said that the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have been achieved. In this sense,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urse met the course objectives. The researchers conjectured that to further enhance college students’ diversity competency specifically in affective dimension, it is important to expand and revitalize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along with the regular course activities.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 수기(手記)에 나타난 문화 변용 양상 연구

        박선옥(Sun-ok Park)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1

        한국 사회는 다문화사회가 되었다. 다문화가정, 다문화사회의 주요 구성원인 여성결혼이민자가 겪는 문화 변용 양상을 조사?분석하여 한국인들이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프로그램에 활용하는 것은 한국 사회가 건강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가의 수기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문화 변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여성결혼이민자 수기는 여성결혼이민자가 자기를 표현 대상으로 하여 여성결혼이민자로서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느낌과의견을 자유로운 형식으로 표현한 글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문화 변용은 ‘문화 변용 과정’(1~3단계)과 ‘문화 변용 결과’(4단계)로 나눈다. 문화 변용 과정 1단계는 한국 문화에 대한 호기심, 흥미, 신비감을 느끼는 단계이다. 수기에 나타난 1단계 양상은 한국이 경제적으로 발달한 나라라는 데 호기심을 느끼고, 한국에서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거나 경제적으로 잘 살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보인다. 2단계는 자신의 문화와 차이로 인한 불안과 위기를 느끼고 고통을 겪는 단계이다. 수기에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시집살이에 대한 고충, 생활 문화나 음식 문화 차이로 인한 고통, 관혼상제 문화차이에 따른 불편함, 기후의 차이에 따른 고통,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고난과 갈등, 주변 사람들의 곱지 않은 시선과 사생활을 침해받는다는 고통 등으로 나타났다. 3단계는 불안과 위기, 고통이 완화되고 문화 차이를 이해하게 되는 단계이다. 수기에는 남편과 시댁가족의 사랑과 배려, 다문화가정지원센터의 도움이 있었지만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려는 자신의 의지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나타나있다. 마지막 4단계는 자신의 문화와 새로운 문화에 대한 태도가 ‘통합(intergration)’, ‘동화(assimilation)’ 또는 ‘분리(separation)’, ‘주변화(marginalization)’로 귀결되는 것이다. 대부분의 수기에 나타나는 문화 변용 결과는 ‘통합’과 ‘동화’이다. 여성결혼이민자 수기에는 이민자인 자신이 한국에 이주하여 다문화가족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며 겪은 경험과 사연, 애환 및 느낀점이 잘 나타나 있다. 여성결혼이민자가 그들의 입장에서 사실적으로 진술한 수기를 통해 한국 문화 변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Korea became a multi-cultural society.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the main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re suffering the difficulties from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trying to get over them for living as Korean society members. In order to develop Korean society in the desired direction, we should study about married immigrant women’s acculturation. Also,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used for making Korean people understand about married immigrant women well and used for making the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 women. Although interview or speaking can be used for studying about married immigrant women’s acculturation, this study looked at their handwriting. At first, we defined married immigrant women’s handwriting and looked at the features. Married immigrant women’s handwriting can be defined the writing which expresses their feelings and opinions and shows their experiences. Acculturation is divided to four steps. The first step to third step is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and the fourth step is the result of acculturation. The first step is that they feel interested, become curious. In their handwriting, it seems that they become curious about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nd expect they can make a dream in Korea. The second step is the suffering step. They feel anxiety and feel sense of crisis because of the cultual differences. In handwriting, there are many difficulties such as communication problem, cultural shock, nostalgia, uncomfortable feeling, different weather, different living life, different food, financial hardship, feeling hollow and other people’s prejudice. The third step is understanding step about the anxiousness, the crisis, and the cultural differenc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husband and his family member’s carrying and love to married immigrant women, Korean people’s consideration about them, the help from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their willingness to overcome their problems. The last 4th step is that their attitude between their own culture and the new culture become integrations, assimilation, or separation, marginalization. The conclusion of acculturation is the integrations and the assimilation in their handwriting. Married immigrant women’s handwriting well shows their experience, story, sadness, and feeling through their living life in Korea. This study looks at the aspects of acculturation through married immigrant women’s handwriting which has their truth of their hearts.

      • KCI등재

        PBL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운영의 실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박선옥(Park, Sun-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50

        이 연구의 목적은 PBL(Problem-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운영의 실제를 분석 및 점검하며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한성대 교양 필수 과목인 ‘사고와 표현1’ 강의 중 PBL을 활용한 6주간의 글쓰기 수업 운영의 실제를 자세히 제시하고 몇 가지 특징적인 보완점에 대하여 논의를 하였다. 각 주차별 강의 요목은 다음과 같다. 1주차 수업에서는 PBL과 PBL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에 대하여 설명하고 연습 활동을 한다. 2주차에는 그룹 구성, 문제 제시, 문제 확인 단계 활동을 하고 3주차까지 활동 계획(Action Plans)에 따라 자료 조사 활동을 한다. 3주차에는 문제 재확인 및 해결안 도출을 위한 그룹 활동을 하고 4주차에 문제 해결안 발표와 학습 결과 정리 및 강평의 시간을 갖는다. 5주차에는 개인별 최종 보고서 작성을 하고 6주차에 동료의 보고서 읽기 활동을 한다. 수업 운영을 하며 나타난 몇 가지 보완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구성은 교수자가 학습자 성향 및 특성을 조사하여 편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둘째, 과제 수행 계획서의 ‘활동 계획’을 세밀하게 작성하도록 샘플 양식을 제시한다. 셋째, 자료 수집과 정리 방식을 분명하게 알려 준다. 넷째, 최종보고서 작성 방법을 좀 더 자세히 안내해 준다. 이 연구는 PBL 방식을 대학 글쓰기 교육에 처음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교수자라도 어려움 없이 강좌를 운영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xamine the management of university writing classes utilizing PBL (Problem-based learning) and to present improvement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6 week class management of writing classes utilizing PBL, which were a part of ‘Thinking and Expression 1’, a required liberal arts subject of Hansung University. The lecture syllabi for each week were as follows. During the first week, explanations are given about PBL and university writing classes utilizing PBL and practice activities are conducted. During the second week, phase activities such as group composition, problem presentation, and problem identification are conducted and research activities are conducted according to action plans up to the third week. During the third week, group activities for problem reconfirmation and solution deduction are conducted and during the fourth week, problem solutions are presented, learning results are put into order, and time is allotted for comments. During the fifth week, final individual reports are written up and during the sixth week, peer report reading activities are conducted. Several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during class management were as follows. First, it is appropriate for the teacher to research the propens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and to form group compositions. Second, sample forms are presented so that the ‘activity plans’ of task performance plans can be written in detail. Third, data collection and organization methods are clearly taught. Fourth, final report writing methods are shown in more detai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id even teachers who are utilizing PBL-typ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for the first time so that they may manage lectures without difficulty.

      • KCI등재
      • KCI등재

        〈비정상회담〉의 다문화 이해 양상 분석

        박선옥(Sun-Ok Park),이윤정(Yuon-Jung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5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9

        현재 한국 사회는 본격적인 다문화 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이에 우리 사회는 한국인의 단일문화주의와 민족주의, 순혈주의 등을 극복하고 다문화주의를 받아들여야 한다. 그리고 사회 구성원의 다문화 인식 개선과 다문화 수용성 증진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비정상회담>(종합편성방송사 JTBC)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비정상회담>에 나타나는 다문화 이해 양상을 분석하고 이 프로그램이 대중의 다문화 수용성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정상회담>은 기존의 외국인이 출연하는 예능프로그램과 달리 외국인 출연자에 대한 접근이 차별화가 되었다. 외국인 출연자들에 대해 환상을 갖게 한다거나 출연자들의 출신국가에 따라 우리가 기존에 갖고 있던 기준으로 순위를 매기고, 선진국과 후진국 출신 출연자들을 가르는 선입견을 만들지 않는다. 둘째, <비정상회담>의 주제는 글로벌 시대에 세계인으로서 고민해볼 만한 것들이다. 셋째, 다문화 요소인 ‘인종 차별, 이민자에 대한 차별, 국가간 감정, 민족주의 감정, 성차별과 가부장적 사고, 사회계층 및 종교의 갈등’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출연진들은 자신의 국가의 상황이나 예제를 솔직하게 말하여 다른 출연자들과 내용을 공유하고 공감하며, 부적절한 다문화 인식을 개선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보인다. 넷째, <비정상회담>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과 출연진의 다문화에 대한 자세는 다문화주의에 입각하여 있어 긍정적 평가를 할 수 있다. 다섯째, <비정상회담>은 사회 구성원의 다문화 인식 개선과 수용성 증진에 긍정적 역할을 하는 미디어 프로그램이다.

      • KCI등재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한국어 교재의 등장인물 분포 연구

        박선옥(Park, Sun-ok)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s ranges in Korean textbook in view of multiple cultures. Multiculturalism is the ideology and the goal that multi-cultural society should posses. The purpos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fulfil the multiculturalism. It is multiculturalism that people have their each cultures and enjoy it without prejudice and bigotry about races, nationality, culture, gender, ages, classes. Also people should understand each others’ culture and know all of the people have the universal right. It hard to find the Korean text book based on multiculturalism. But the characters in the Korean text book is chosen by national, gender, age, job so I analyzed the multi-cultural factors with the characters’ ranges. Korean text books that I studied is for international students, marrige immigrant women and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The text book should have various characters in order to improv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This study is going to have good effects on the further studies about setting direction and developing Korean text book.

      • KCI등재

        PBL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문제 개발 사례 분석 연구

        박선옥(Park, Sun-ok)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7 No.-

        이 연구의 목적은 PBL(Problem-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사용한 문제의 개발 과정을 살피고, 문제에 대한 학습자 평가 등을 종합, 분석하여 PBL 활용 글쓰기 문제를 개발할 때 유의할 사항을 살펴보는 데 있다. PBL을 대학 글쓰기 교육에 활용하여 얻을 수 있는 교육적 가치는 충분하다. 그런데 대학 글쓰기 교재에는 PBL 활용 글쓰기 문제가 없고, 연구 논저에서도 문제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는 PBL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 분야에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PBL을 활용한 글쓰기 문제의 개발 과정은 ‘교과목 학습 목표와 내용 선택→학습자 특성 파악→학습 내용과 관련된 실제적 맥락의 주제 선정→문제 초안 작성→(필요시) 학습 지원 자료 준비→문제 작성→문제 타당성 점검’이다. 그리고 PBL을 활용한 글쓰기 문제는 ‘비구조성, 실제성, 복잡성, 학습자 관련성, 교육과정에 근간을 둠, 활동의 명확성’ 등의 특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해서 얻은 의견을 종합하고 분석하여 문제 개발을 위해 유의할 사항을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blems used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us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to analyze learners’ assessments of these problems, and to determine what to pay attention to when developing writing problems using PBL. The educational value that can be gained through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using PBL is tremendous. However, there are no writing problems that use PBL in university writing textbooks, and so it is difficult to find problem development processes in statement writing research. The development process of writing problems using PBL is as follows: choosing subject learning goals and contents → understanding learner characteristics → choosing a topic of practical context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 writing a problem draft → (when needed) preparing study support material → problem making → examining problem validity. Additionally, writing problems using PBL mus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non-structural, practical, complex, related to the learner, based on educational courses, and clear in activity.” Surveys were conducted with learners to obtain their assessments of problems. The collected opinions were analyzed, and matters that need attention for problem development were highlighted.

      • KCI등재

        H대학교 교양교육과정 수강생의 핵심역량 효능감 조사 연구

        박선옥(Park, Sun-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68

        이 연구는 H대학교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교과목 수강생의 핵심역량 효능감에 대한 자기점검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현 상황을 진단하는 것이기도 하며,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의 체계화 및 질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H대학교는 공동체역량((자기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글로벌역량(글로벌소통능력, 글로벌시민의식), 창의융합역량(창의력, 융합능력)을 3대 핵심역량(하위 대표요소)으로 한다. H대학 학생의 핵심역량 측정도구인 H대학-CESA 문항을 준용하되, 교과목 수강에 따른 핵심역량 효능감을 자기보고식으로 점검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여 2020년 1학기와 2학기, 총 2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1,681명의 응답 자료를 취합하였다.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의 긍정적 향상을 보인 답변이 90% 이상으로 교양과목 수강생의 핵심역량 효능감은 우수하였다. 3대 핵심역량의 전체 종합평균은 3.90점이며, 1학기에는 3.92점, 2학기에는 3.88점으로 1학기의 효능감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핵심역량별 전체 종합평균은 공동체역량(3.98점)>창의융합역량(3.94점)>글로벌역량(3.74점)으로 조사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질 관리 구축 자료로 활용되어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학습자 맞춤형 교양교육 고도화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ults of a self-check questionnaire on the sense of Efficacy of core competencies of H university core competencies-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subjects. The core competencies of H University are community competencies, global competencies, and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The questions were composed based on the H University-CESA, which is a tool for measuring the core competencies of H University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total of two times,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0. A total of 1,681 responses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estionnaire, more than 90% of the respondents showed positive improvement in ‘very yes, yes, normal’, and the core competency efficacy of liberal arts subjects was excellent. The overall overall average of the three core competencies was 3.90 points, 3.92 points in the first semester and 3.88 points in the second semester, showing a somewhat high sense of efficacy in the first semester. The overall overall average for each core competency was surveyed as community competency (3.98 points)> creative fusion competency (3.94 points)> global competency (3.74 poi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materials for establishing quality management of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ies, and will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customized liberal arts education for learners to enhance core competencies.

      • KCI등재

        입사지원서에서의 체면관리와 공손전략

        박선옥(Sun Ok Park) 언어과학회 2004 언어과학연구 Vol.31 No.-

        Politeness is asymmetric by nature. The utterance which keeps a speaker`s face threatens an addressee`s face. In this view application cover letters are potential face-threatening acts. A speaker needs to maximize his face to achieve his performative goal and to minimize an addressee`s face threatening risk. This paper aims to examine face management and the choice of politeness strategies in application cover letters. The study tries to answer following three questions. Is the degree of politeness equal to the degree of face threatening risk? In application cover letters the values of Brown & Levinson`s three variables, social distance, power and imposition are the same among the applicants. So if there exists any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oliteness, what variable makes the difference? In application cover letters the speaker needs to meet his/her positive politeness needs as well as the addressee`s negative politeness needs. How does the speaker manage the conflict, achieve his performative goals, and enact politeness? The research shows that speaker`s gender, age, nationality and the experience in Korea affect the length of sentences, terms of addressee, the expression of application motives, and the types of requests. The research also shows that men, older people, non- American native speakers and the people with more experience in Korea use more indirect and more polite expressions than women, younger people, American native speakers and the people with less experience in Korea respectively. The research also indicates that Asian -American speakers show some limit in the expression of application motives, which seems to be a part of speaker`s mother tongue transfer.

      • KCI등재

        SIOP 모델 기반, 다문화 문학 작품을 활용한 다문화 이해와 한국어교육

        박선옥(Park, Sun-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8

        이 연구는 SIOP 모델(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Model)을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다문화 이해와 수용성을 높이고 한국어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ㆍ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두 가지 면에 초점을 두었는데 첫째는 다문화 이해 및 수용성 증진을 위한 교육 내용을 한국어교육의 내용 범주로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문화주의나 다문화 교육은 한국 사회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외국어로서 또는 제2언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야말로 다문화적인 환경에 놓여 있으므로 다문화 교육의 직접적인 대상자가 된다. 그러므로 한국어교육의 내용 항목으로 다문화 이해 교육을 설정한다. 둘째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다문화 이해 교육 교수법으로 내용 중심 교수법(CBI: Content-based instruction)의한 유형인 SIOP 모델을 설정하였다. 이 모델은 EFL이나 ESL에서 그 효용성이 입증되어 각광받고 있는 교수법으로 KFL이나 KSL에도 충분히 적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에 따라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문화 문학 작품인 ‘사라, 버스를 타다’를 교육 자료로 하여 SIOP 모델의 수업 계획 아우트라인(SIOP Lesson Plan Outline with Guidelines)을 기반으로 한 교수ㆍ학습 모형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education model and to help Korean learners could understand multiple cultures through SIOP model(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Model). This study focused on two aspects. Fir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categories of the Korean content education. Korean learners should learn about the multiple cultures. Therefore, I set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to the categories of Korean education. Second, I set the SIOP model which is content-based instruction to understa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model has proven the effects in EFL and ESL, so it is worthy to apply for KFL, KSL. Accordingly, I chose the literature, ‘Sara took the bus.’ which is about multiple culture and I presented teaching model based on SIOP lesson plan outl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