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대학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 개발

        박선미 ( Park¸ Sunmi ),정완규 ( Chung¸ Wan Kyu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1 음악교수법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대학 전공생들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과목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수업모형을 제안하는데 있다. 대학은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변화하고 있으며, 그 중 학문과 현업을 연계하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이 다양한 전공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캡스톤 디자인은 학부과정을 통해 학습한 전공지식을 바탕으로 사회문제나 과제를 해결하는 팀 프로젝트 형 교과목이다. 통합적 사고를 통해 시대의 요구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둘째, 학부과정의 교육을 통한 지식을 토대로 현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실기위주 교육의 음대 학생들은 산업체 관계자들을 만날 기회가 적은데 인턴쉽이나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현장을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론과 실무의 차이를 좁히고 졸업 후 바로 현장에 투입 가능한 인력을 양성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지역사회 연계형이나 산학협력을 통해 현장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셋째, 국내 음악대학은 연주자 양성에 맞춰진 커리큘럼으로 다양한 직업에 대한 진로교육의 접근이 어려웠다.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통해 산업체 담당자와 프로젝트 진행, 지역사회의 기관과 연계한 과제 등을 통해 진로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키울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capstone design curriculum and propose an instruction model for music major students. Universities have been changing how they nurture talented people to meet the demands of the society. Capstone design courses that link academic study with the workplace are actively offered in various majors for several reasons. First, capstone design is a team-based project that solves social problems/tasks on the basis of fundamental knowledge learned through undergraduate courses. Thus, it helps cultivate highly qualified people through integrated thinking. Second, capstone design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business environment during undergraduate study. Music major students rarely meet employees in their business field because of the various limitations of their curriculum. With the capstone design course, students can experience business through internships and projects with companies. It can reduce the gap between academe and workplace and enable the students to apply their business skills and build a career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In addition, they can improve their working skills through community engagement projects or internships. Third, it is difficult to educate music major students on a career management course because the educational goal of universities is focused on nurturing performers; accordingly, most of the curriculum is unrelated to employment but concerns training performers. Capstone design course can develop a broader perspective on career development through managing projects with business workers and collaborating with local organizations.

      • KCI등재

        초등학교 영어 특기적성 수업 현황에 관한 연구

        박선미(Park Sunmi),김신혜(Kim Shinhye)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07 초등영어교육 Vol.13 No.2

          The goal of the Extracurricular English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is to provide opportunities to practice English and to supplement the regular English curriculum.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extracurricular class, there has been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over the recent year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xtracurricular program has not been adequately examined in terms of its content and effects. The present study therefore aims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us of the extracurricular English class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20 English teachers, 103 parents, and 140 students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extracurricular class at the time of the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groups were generally positive about the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English class but pointed out the problem of large, mixed-level class. The teachers had a very limited or no contact with the English teacher of the regular English class and thus the extracurricular class was left to the individual teachers without systematic support and feedback. The findings suggest that consistent effort is needed to link the regular and extracurricular English curricula for the fruitful outcome of English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Z세대 대학생들의 변화된 생활양상과 의미

        박선미(SunMi Park),윤창국(ChangGook 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에서는 COVID-19 상황 속에서 Z세대 대학생들이 경험한 변화된 생활양상과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COVID-19로 인해 원격수업을 경험한 수도권 소재의 2년제 대학에 다니는 재학생 8인과 심층면담을 활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연구자들 간의 토론과 숙의를 거쳤을 뿐만 아니라 연구자의 면담 기록지와 심층면담을 통한 삼각검증법과 연구참여자 확인(member check)을 하였다. 결과 COVID-19로 인한 Z세대 대학생들의 삶의 변화 양상은 첫째, 흐르는 시간 속에 멈춰버린 일상, 둘째, 박탈된 사회적 관계 확산의 기회, 셋째, 일상의 핵심적인 매개체가 된 온라인, 넷째, 새롭다지만 이미 익숙한 온라인 중심의 학습방식, 다섯째, 완화된 육체적⋅정신적⋅경제적 스트레스로 범주화되었다. 이와 같은 경험들에 대해 연구참여자들은 부분적으로는 부정적인 인식도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는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급변하는 비대면 상황에 빠르게 적응하지 못했던 대학이나 교수들을 보며 기존에 인식했던 권위에 대한 재해석을 하였으며, 무기력한 상황 속에서도 자신만의 삶을 자율적이고 주체적으로 만들어 나가는 기회로 인식하였다. 또한 그동안 맺었던 인간관계와 소통의 방식을 재검토하며 자신의 사회적 관계를 재정비하고 이에 대한 관점을 재정립하는 계기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향후 성인 초기 단계의 학습자층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교육이나 평생교육에서 새롭게 변화해야 하는 교육현장을 모색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적인 이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d lifestyle and meaning experienced by Generation Z college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Methods A case study was conducted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students attending a two-year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o experienced remote classes due to COVID-19. In order to secure validity and reliability, not only did it go through discussions and deliberations among researchers, but it also conducted triangular verification and member check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researchers. Results The changes in the lives of Generation Z college students due to COVID-19 were categorized as first, daily life stopped in time, second, opportunities to spread deprived social relationships, online, a new but already familiar online learning method, and fifth, relaxed physical, mental, and economic stress. Regarding these experiences,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negative perceptions in part, but overall, they were found to have positive meanings. They reinterpreted previously recognized authority by looking at universities and professors who could not adapt quickly to rapidly changing non-face-to-face situations and perceived it as an opportunity to create their own lives autonomously and independently even in lethargic situations. In addition, it was recognized as an opportunity to reorganize one's social relationship and redefine one's perspective by reviewing the way of human relations and communication that one has had. Conclusions In the future, it is believed that it will provide an important basic understanding in seeking a new educational field in higher education 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early adult learners.

      • KCI등재

        비대면 공연으로의 전환과 마케팅 시사점 연구 : 서울 돈화문 국악당 사례를 중심으로

        박선미(Park, Sunmi),최동오(Choi, Dongoh),유천(Yu, Ch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본 연구는 온라인 공연의 비대면화가 관객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4차산업혁명의 시대에 초연결성은 사회, 경제, 문화 등 전 방위적으로 사회에 영향을 끼치며 세상을변화 시키고 있다. 공연예술은 공연자가 관객 앞에서 연기나 연주를 통해 작품을 만들어 가는무대예술임에도 불구하고 온라인의 발달로 비대면 공연이 활성화 되고 코로나19는 이와 같은상황을 가속화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공연예술의 비대면 전환에 따른 관객개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비대면 전환이관객에게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Wiggins(2004)가 제시한 MAO 모형을 활용해 공연 관람동기(Motivation), 관람능력(Ability), 관람기회(Opportunity)를 분류기준으로 사용하였고, 공연 관람후 관객반응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관객만족도와 재방문의도를 사용하여 비대면 공연으로의전환이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돈화문국악당의 대면 공연인 2019년과 비대면 공연인 2020년 관람객 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관람동기의 경우 비대면 공연시 공연과 예술가 비중이 대면 공연보다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둘째, 관람능력이 대면 공연에서는 공연 정보와 티켓의 획득, 공연장 위치의 파악과 이동할 수 있는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반면, 비대면 공연에서의 관람능력은 공연 정보의 획득, 비대면 관람을 위한 S/W와 H/W의 활용 및 기기의 확보 등을 고려해야 함이 나타났다. 세 번째, 관람기회는 관람접근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비대면 공연은 대면 공연에 비해 상대적으로폭 넓은 기회를 제공했다. 본 연구는 대면 공연과 비대면 공연의 관객반응을 실증 분석하여 차이를 규명하며, 잠재 관객의 개발을 위한 방법을 제안 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non-contact performing arts contents on audience developmen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changed and influenced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sectors with high connectivity. Although the performing arts is a stage work that performers play music and act just in front of the audience, contactless performances have increased due to the online network’s development, and COVID-19 even accelerated this circumstance. In this paper, we study the impact of live stream concerts to find out effects from live to live streaming performances to develop audiences. To do so, we analyze from Wiggins’s(2004) research on the MAO model consisting of Motivation, Ability, and Opportunity, and a study on impacts of live stream concerts examined using audienc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comparing with differences in audience reaction after watching performances. This paper examines Seoul Donhwamun Traditional Theater audience satisfaction research using a questionnaire from participants between 2019(live performance) and 2020(live streaming performance) concerts.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ve streaming concerts drastically increased on performance, and artists compared live concert gores. Secondly, the meaning of the ability to participate is somewhat different between live concerts and contactless concerts. The live concert audience should consider general information about a concert, ticket purchasing, venue location, and transportation, but the virtual audience needs to find concert information, media technology devices, and software. Finally, the opportunity can be defined as accessibility. In order words, live stream concerts reach an audience beyond physical boundaries. This research is a meaningful study that analyzes live and live streaming audience reactions, and it suggests ways to develop potential audiences.

      • KCI등재

        한국고대도시의 기원 연구

        박선미(Park Sunmi) 백산학회 2015 白山學報 Vol.- No.101

        본고에서는 도시의 개념과 기원 문제를 서구학계의 연구 성과와 함께 문헌사 및 고고학 두분야에서 검토해 보았다. 삼국사기 , 고려사 , 조선왕조실록 등의 문헌에 등장하는용례를통해 ‘도시’는처음에는 ‘도성의 저자’라는 의미가 강했으나 점차 지금과 같은 개념으로 확대되어 갔음을 알 수 있었다. 市民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였으며, 市長의 경우는 근세 이후에 비로소 산견되었다. 그런데 고고학 자료는 문헌에 등장하는 것보다 훨씬 이른 청동기 시대에 도시가 등장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왜 고대 사료에 도시라는 용어가 등장하지 않는 것일까? 필자는 도시에 대응되는 고대인의 용어가 따로 있었기 때문일 것으로 보고, 이를 ‘邑’으로 추정하였다. 고대문헌에는‘邑’, ‘落’, ‘都’, ‘村,’ ‘京’, ‘鄕’ 등다양한취락관련용어가등장한다. 이들에대한용례의 검토와 함께 발굴조사를 통해 알려진 다양한 양식의 취락관련 유적에 대한 비교 검토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조사된 개별 단위 취락의 특징과 양식을 표현하는 고유의 개념에 대한 개발 및 정립을 위한 고고학, 문헌사학, 인류학 등의 학제적 연구를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and the origin of cities from the perspectives of archaeology and bibliography by reviewing research on settlements conducted in the Western academic world. Through a review of the Korean historical texts Samguksagi (三國史記), Goryeosa (高麗史), and Joseon wangjo sillok (朝鮮王朝實錄) it is shown from the ancient meaning “market place in an enclosed town” that the concept of “city” has the same meaning today as in the past. The terms “citizen” and “mayor” similarly continue to bear the respective meanings from earlier periods. Regarding archaeological records, it is shown that development of cities in Korea could have occurred earlier than the compilation of these documents. Then why do early historical sources such as Samguksagi not include the word “city”? I believe that ancient people may have had their own word that corresponded to the meaning of “city,” and I suggest that eup (邑) may have been that word. There are many terms in historical sources that relate to settlements. These include eup, nak (落), hyang (鄕), do (都), chon (村), and gyeong (京). These words are useful for examining what types of settlement patterns there were and for conducting comparative research on the archaeological sites of settlements in the Korean Peninsula. I hope that interdisciplinary studies utilizing archaeology, bibliography, and anthropology may construct concepts that assist in explaining the character and the types of settlements discovered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조선의 歷史地理 비정에 대한 계보적 검토

        박선미(Park Sunmi) 백산학회 2017 白山學報 Vol.- No.109

        본고의 목적은 고조선의 역사지리에 관한 논쟁 중 중심지와 서쪽 경계에 관한 문제에 대해 사료적 계보와 관련 해석에 대한 인식을 계통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사서와 한국 전통시기 사서 및 문집에 나타난 인식을 바탕으로 전통사학자의 견해를 정리하였다. 또한 일제관변학자들에 의한 식민사학적 입장과 이에 대비된 방어적 민족주의 관점의 대척적 인식이 이후 고조선 연구에 어떻게 수용, 변화, 발전되었는가를 고고학적 성과와 연결지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최근 되풀이 되고 있는 고조선의 위치비정 논쟁을 한 걸음 진척시키고자 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bibliographic genealogy and interpretations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capital and western border of Old Chosun, which are issues of debate in the historical geography of that polity. To this end I examine the views of historians of traditional China and Korea through historical records and commentaries in such works as Shiji 史記, Hanshu 漢書, Samgukyusa 三國遺事, Tongsagangmok 東史綱目(by An Chongbok), Yeyudangchonsye 與猶堂全書(by Chong Yagyong), and others. Further I discuss the colonial historical perspective of influential Japanese historians and the responses to them from the defensive nationalist perspective, and I analyze relevant archaeological achievements in terms of how they were accepted, changed, and developed in the research on Old Chosun. I attempt through this study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recent ongoing debates on the location of Old Chosun.

      • KCI등재

        미디어 활동에 참여한 성인중기 학습자의 민주적 시민성과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

        박선미(Sunmi Park),정민승(Minseung Jun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20 평생학습사회 Vol.16 No.3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significance of digital media literacy as a factor of democratic citizenship in lifelong education through analyzing digital media activities of middle-aged adults through narratives. Five middle-aged ‘analog generation’ adults, who have been in media activities for more than three years, reflected their experiences of media literacy. We analyze with an ethnography of their narratives which shed light on the development democratic citizenship.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hip and media activities, we conclude that the media production activities alone develop citizenship due to the practice of writing public problems and cooperation of media production. Media activities have influence on not only the capability to access, communication ability and critical understanding, but also personality factors such as activity, collaboration, and responsibility. Specifically, citizenship of research participants who produced news reports is drastically enhanced because of the opportunities of dealing with public materials. More active pedagogical analysis of media activities is needed to reveal the meaning of digital media that have already become a living environ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