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조혈모세포이식센터의 감염관리

        박선매,정재심,김미나,최상호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018 의료관련감염관리 Vol.23 No.2

        배경: 국내 조혈모세포이식센터의 감염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추후 효과적이고 표준화된 감염관리지침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방법: 국내 32개 조혈모세포이식센터를 대상으로 2011년 9월부터 10월 14일까지 설문조사연구를 하였고, 설문지는 센터의 일반적 특성 6문항과 감염관리 11문항을 포함한 총 17문항으로 구성하였다.결과: 응답률은 93.8% (30/32)이었고, 병실 HEPA 필터의 성능은 100 class이었고, 방문객은 1-2명으로 제한하는 센터가 대부분이었다. 의료종사자의 보호복장은 멸균 가운, 장갑, 마스크를 50% 내외로 착용하였다. 피부관리는 매일 목욕하는 경우가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15 (53.6%)개 센터,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14 (46.7%)개 센터로 가장 많았다. 구강 관리 용액은 생리식염수, 중탄산나트륨액, 클로르헥시딘을 주로 사용하였고 치솔질을 허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말초정맥 삽입부위 교환주기와 중심정맥관 거즈 드레싱 교환주기는 일반 환자보다 짧았으며, 정맥관 삽입과 드레싱 교환에 사용하는 소독제는 일반환자보다 베타딘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환자 식이는 대부분 멸균식을 제공하였다. 결론: 국내 조혈모세포이식센터의 감염관리는 이식센터마다 다양하였다. 동종/자가 조혈모세포이식 간 감염관리 실무는 큰 범주에서는 유사 하였으나 세부내용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