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科擧制와 世襲制 - 『해유록』을 통해서 본 朝日 간의 문화차이 -

        박상휘 진단학회 2022 진단학보 Vol.- No.138

        에도시대의 일본에는 과거제가 없었고 관직은 기본적으로 세습되었다. 신유한은 『해유록』에서 과거제 없이 나라가 돌아간다는 현실을 매우 부정적으로 보고 일본의 관리들을 혹평했다. 신유한 입장에서 유교적 교양도 없고 한문도 제대로 구사할 수 없는 사람이 국가를 운영한다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것이다. 그렇다면 에도시대 일본 지식인들은 세습으로 벼슬이 계승되는 자기나라의 제도를 어떻게 보았는가? 에도시대에 기록된 자료를 살펴보니 거의 대부분의 일본 지식인들은 과거제보다 세습제가 더 나은 제도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에도시대 일본 지식인이 과거제와 세습제를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인재 선발 방식을 두고 朝日 간에 결정적인 인식차이가 있었음을 밝혔다. 일본 지식인들이 과거제를 부정적으로 본 이유는 3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그들이 시험보다 推擧를 통해 인재를 뽑는 방식을 선호했기 때문이고, 둘째는 과거제를 도입하면 文官이 중용되고 武官이 경시된다고 보았기 때문이고, 셋째는 과거제를 도입하고 입신출세가 가능해지면 전통적인 가업도덕의식이 무너진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에 대한 지식의 축적

        박상휘 국문학회 2014 국문학연구 Vol.0 No.30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rocess of awareness formation and knowledge accumulation about Toyotomi Hideyoshi in the records of literary scholars who had been to Japan as Korean emissaries. Within Choson, there was a very weak understanding about who was Hideyoshi. On the other hand, the Choson literary scholars who had been to Japan as emissaries and those literary writers who were living in Japan as prisoners very well knew about who was Hideyoshi and how did the Japanese perceive him. This paper diachronically investigated as to how the understanding about Hideyoshi was formed by examining ‘Sahangrok’ (diaries written by Korean emissaries to Japan) in time-line sequence. Firstly, this paper looked into the formation process of positive awareness about Hideyoshi. Above all, they recorded that there were Japanese who applauded the political contribution of Hideyoshi as he had united Japan and had a strict governance over it. It was discovered that after Hideyoshi died, the Japanese built a shrine for him and apotheosized him as a god. Also, the emissaries held in high esteem the political contribution of Hideyoshi and compared him with Xian YU; the first Qin Emperor. Secondly, this paper examined the negative understanding about Hideyoshi. The emissaries who experienced Japan during the reign of Toyotomi described that he was significantly a tyrant and that Japanese too hated him. They recorded that even during the Edo period, Japanese were still having resentment against the harsh political regime of Hideyoshi and Japanese themselves thought that Choson invasion by Hideyoshi was wrong because the Japanese subjects had also suffered pain due to it. Thirdly, this paper checked the knowledge accumulation process about Daibutsu temple that was built by Hideyoshi for setting up a huge Buddha statue. There is Mimi-zuka (The Ear Mound; a burial site of the nose and ears of Choson people cut during Choson invasion by Japan) just in front of this temple and in the year 1719, the emissaries rejected the Japanese proposal of holding a party at Daibutsu temple. After this incident, the emissaries minutely researched about what kind of place was Daibutsu temple. Won-Jung geo sharply pointed out the religious practice of Japan in which Shinto religious worship was carried at Daibutsu temple. There could be a considerable knowledge accumulation about Hideyoshi through the experiences of emissaries in Japan and accordingly, the perception about Japan also changed. Initially, the emissaries were seeing Hideyoshi as ‘An enemy with whom one cannot live under one sky’ but gradually as the knowledge about Hideyoshi increased, he was perceived with a comparatively colder approach. 본고는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문인들의 기록을 대상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는 과정 및 히데요시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탐구한 것이다. 조선 국내에서는 히데요시가 누군지에 대한 지식이 아주 미약했던 반면, 일본에서 포로로 생활하던 문인들 및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문인들은 히데요시가 어떤 인물인지, 일본 사람들이 그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자세히 알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일본 사행록을 시대 순으로 검토하면서 히데요시에 대한 인식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는지를 통시적으로 규명하였다. 첫째로 히데요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사행원들은 분열된 상태에 있던 일본을 통일하고 엄격하게 통치하였다는 이유로 히데요시의 정치적 공적을 칭송하는 일본인들이 있음을 기록하였고, 히데요시가 죽은 후 일본인들이 신사를 만들어 신으로 모시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 사행원들은 히데요시가 일본에서 이룩한 정치적 공적을 높이 평가하면서 그를 진시황과 항우에 비유하기도 하였다. 둘째로 히데요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살펴보았다. 도요토미 정권하의 일본을 견문한 사행원들은 히데요시의 포악한 정치 때문에 일본인들도 히데요시를 미워하고 있음을 묘사하였다. 에도시대에 들어서도 일본인들이 히데요시의 가혹한 정치에 대해 여전히 원한을 가지고 있고, 히데요시의 조선침략으로 인해 일본 백성들도 고통을 겪었기 때문에 일본인들조차 히데요시의 조선침략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음을 기록하였다. 셋째로 히데요시가 대불을 건설하기 위해서 세운 다이부쓰지(大佛寺)에 대한 지식이 축적된 과정을 살펴보았다. 다이부쓰지 바로 앞에는 조선에서 가져온 귀와 코를 모아 세운 미미즈카(耳塚)가 있었는데, 1719년 사행 때 다이부쓰지에서 연회를 열자는 일본 측의 제안을 사행원들이 거부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사행원들은 다이부쓰지가 어떤 곳인지를 자세히 연구하였다. 원중거(元重擧)는 다이부쓰지를 창건한 배경에 신도를 숭배하는 일본인의 종교적 관습이 있음을 예리하게 지적하였다. 사행원들은 일본에서의 견문을 통해 히데요시에 대해 상당히 많은 지식을 축적하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일본에 대한 인식도 달라졌다. 당초 사행원들은 히데요시를 ‘한 하늘 아래 같이 살 수 없는 원수’로 감정적으로만 보고 있었는데, 히데요시에 대한 지식이 점차 축적됨에 따라 히데요시를 냉정한 눈으로 봄으로써 상대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 High modulation in NIR transmittance for energy-efficient smart windows

        박상휘,송민우,송정섭,유중환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The rapid modernization lead to increased energy demand. Especially, building energy’s usage including heating and air-conditioning reach up to 40% of the overall energy consumption. Smart windows with controllable NIR light transmittance can significantly decrease the building’s energy consumption. However, most of the recent smart window technology cannot meet the target of solar modulation control. For example, although W-VO2 materials control NIR transmittance by phase change, it shows low modulation ability for NIR transmittance. (ΔT_IR: 20% at 1000nm)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rmo-sensitive polymer materials with higher modulation than that of W-VO2. PNIPAm materials show notable transmittance reversibility between the higher and the lower temperature than LCST for sunlight and the long time stability. The result indicates high modulation for NIR range (ΔT_IR: ≥60% at 1000nm).

      • KCI등재

        무사사회의 도덕규범 -조선 사절이 본 일본인의 도덕의식-

        박상휘 국문학회 2018 국문학연구 Vol.0 No.38

        일본에 다녀온 조선 사절들은 근면하게 일하며 명령에 잘 복종하는 일본인들의 모습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사절들은 일본인의 행동규범의 근저에는 조선과 다른 독특한 도덕의식이 깔려 있다고 보았다. 본고의 주제는 일본인의 도덕의식이 사절들의 눈에 어떻게 비쳤는지를 해명하는 것이다. 우선 조선 사절들이 일본에 오륜도덕이 거의 존재하지 않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사절들이 일본인의 상하관계의 관념, 도덕의식, 준법의식 등에 대해 나름대로 평가하였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절들이 일본인의 도덕의식을 군대규율과 연결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전쟁을 통해 형성된 일본의 도덕규범에 대해 사절들이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검토하였다. The Korean emissaries who had been to Japan positively evaluated that the Japanese had worked with diligence and obeyed their superiors readily. The Korean emissaries saw that there was a characteristic moral consciousness peculiar to the Japanese behind their code of conduct.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Korean emissaries had understood the Japanese moral consciousness. Firstly, this paper confirms that Korean emissaries had recognized that Oryun peculiar scarcely existed in Japan. Next the paper points out that the Korean emissaries had highly praised the Japanese sense of hierarchical relationship, their moral consciousness and their law-abiding spirit. Finally this paper investigates how Korean emissaries had understood the Japanese moral standard which had been formed through the experience of war,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y had connected the Japanese moral consciousness with the army disciplin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