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렬 U형 현장타설 에너지파일의 열교환 효율 및 적용성 평가

        박상우,김병연,성치훈,최항석,Park, Sangwoo,Kim, Byeongyeon,Sung, Chihun,Choi, Hangseok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2

        에너지파일은 기존의 수직밀폐형 지중열교환기를 경제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지중열교환기이다. 즉, 에너지파일은 건물의 기초 구조물과 지중열교환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에너지 구조체로서, 말뚝 기초 내부에 열교환 파이프를 삽입하고 파이프를 통해 유체를 순환시켜 지반과의 열교환을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병렬 U형(5쌍, 8쌍, 10쌍)의 열교환 파이프를 대구경 현장타설 에너지파일에 삽입하여, 3본의 에너지파일을 실규모로 시공하였다. 또한 현장 열응답 시험(In-situ thermal response tests, TRTs)을 수행하고 시공된 현장타설 에너지파일과의 열교환 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30m 깊이의 수직밀폐형 지중열교환기를 별도로 시공하였다. 병렬 U형 현장타설 에너지파일에 대해서는 냉난방 부하를 인공적으로 주입하는 열교환 성능 평가시험을 수행하여 열교환 성능(heat exchange rate)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타설 에너지파일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산정된 상대 열교환 효율(relative heat exchange efficiency) 및 열교환 성능을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시공된 현장타설 에너지파일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열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energy pile is one of the novel ground heat exchangers (GHEX's) that is a economical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closed-loop vertical GHEX. The combined system of both a structural foundation and a GHEX contains a heat exchange pipe inside the pile foundation and allows a working fluid circulating through the pipe, inducing heat exchange with the ground formation. In this paper, a group of energy piles equipped with parallel U-type (5, 8 and 10 pairs) heat exchange pipes was constructed in a test-bed by fabricating in large-diameter cast-in-place concrete piles. In addition, a closed-loop vertical GHEX with 30m depth was constructed nearby to conduct in-situ thermal response tests (TRTs) and to compare with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cast-in-place energy piles. A series of thermal performance tests was carried out with application of an artificial cooling and heating load to evaluate the heat exchange rate of energy piles. The applicability of cast-in-place energy piles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relativ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heat exchange rate with preceding studies.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the cast-in-place energy piles constructed in the test-bed demonstrate effective and stable thermal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other types of GHEX.

      • KCI등재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적용 실태와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박상우 ( Sangwoo Park ),정원우 ( Wonwoo Chung ),박영관 ( Youngkwan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科學敎育硏究誌 Vol.40 No.2

        이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활용 실태와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활용 실태와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는 Shin & Han(2011)과 Lee & Shin(2014)의 연구와 Park et al.(2010)의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문제에 맞게 수정하여 총 20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설문지는 D시와 G시 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201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초등교사들은 과학 수업에서 과학사를 적극적으로 다루지 않으며, 주로 학생들에게 간단히 소개하면서 스스로 읽어보게 하였다. 초등교사들은 ‘충분하지 않은 시간’을 이유로 융합인재교육을 적극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으며, ‘창의적 문제해결력’ 에 지도 중점을 두고 있지만 이 단계를 매우 지도하기 어려워하고 있었다. 또한 초등교사은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과학적 원리와 과거 과학자의 문제해결의 사례를 통해 학생들에게 창의적 설계와 문제해결의 아이디어와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결론적으로 융합인재교육이 초등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이와같은 초등교사들의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활용실태에 대한 인식과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향후 보다 구체적인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교 현장에 보급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history of science and STEAM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design-based STEAM instruction apply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class. To research the utilization of the history of science and STEAM in elementary science class, educational value of design-based STEAM instruction applying the history of science,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based on research conducted by Lee & Shin(2014), Park et al.(2010), Shin & Han(2011) and developed questionnaire a total of 20 questions. It was administered to reply the questionnaire to 201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D and G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d not teach actively the history of science, made it read students by simply introducing himself. They did not teach actively STEAM due to not enough time(busy to take a magnitude). They were difficult to teach, but the most focused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positively about the educational value of design-based STEAM instruction applying the history of science. Especially, they perceived that it can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nd a hint for solving the problem through examples of cases of scientific principles and a scientist. In conclusion, it implicates that it is need to rega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application of the history of science and STEAM, and develop specific design-based STEAM program apply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order to be applied successfully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STEAM settlement.

      • KCI등재

        소비자의 불확실성 회피성향이 모바일 간편결제 수용의지에 미치는 영향

        박상우(Park, Sangwoo),김사현(Kim, Sahyun),최우진(Choi, Woo Jin) 한국마케팅학회 2020 마케팅연구 Vol.35 No.1

        모바일 결제 시장은 국내외에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그 성장률은 국가별로 상이한 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모바일 결제시장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불확실성 회피성향(uncertainty avoidance)에 주목하여 이의 효과를 탐색해 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1에서는 Hostede(1984)의 여섯 가지 문화차원에 대한 국가별 점수를 이용하여 49개국에서의 모바일 간편결제 수용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개인주의(individualism), 남성성(materiality), 권력거리(power distance), 장기성향(long-term orientation), 그리고 쾌락추구(indulgence) 등 다섯 가지 차원은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는 반면, 불확실성 회피성향은 모바일 간편결제 수용에 (-)으로 유의한 결과를 미쳤다. 연구2에서는 미국 일반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간편결제 수용의도에 다섯 가지 문화차원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다섯 가지 문화차원들 중 유일하게 불확실성 회피성향만이 (-)으로 유의한 결과를 가졌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집단 수준(group level)에서 문화적 특성으로의 불확실성 회피성향과 개인 수준(individual level)에서 개인의 특성으로의 불확실성 회피성향 모두 모바일 간편결제 수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모바일 간편결제 관련 기업들에게 상당히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global payment market has rapidly grown; however, the growth rates of the mobile payment market vary across countries. For example, China and South Korea are both in Asia and geographically close, yet the penetration rates of mobile payment have been different in the two markets – much higher in China compared to South Korea. To investigate why there are such differences in consumers’ adoption of mobile payment, the current research seeks to investigate how consumers’ uncertainty avoidance influences their intentions to adopt mobile payment. Two studies were conducted. Study 1 investigated the effect of uncertainty avoidance at the country level, utilizing the data of 49 countrie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five cultural dimensions of Hofstede (19u84), only uncertainty avoidance had a significant and negative impact on mobile payment adoption. In study 2, we further investigated the effect of uncertainty avoidance with other factors which have been known as major indicators of mobile payment adoptions – i.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security, subjective norm, perceived risk, and knowledge. The results, consistent with those of study 1, demonstrated that among the five cultural factors, only uncertainty avoid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s’ intentions to adopt mobile payment. In additi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security, and perceived risk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sumers’ uncertainty avoida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a firm seeks to introduce or expand a mobile payment service. More importantly, potential cultural differences in consumers’ uncertainty avoidanc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a cross-cultural business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의 과학사 도입 내용과 과학의 본성 분석

        박상우 ( Sangwoo Park ),정원우 ( Wonwoo Chung ),박경미 ( Kyungmi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科學敎育硏究誌 Vol.3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의 과학사 도입 내용과 이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요소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우선 2009 개정초등 과학교과서 8종을 새롭게 도입된 학년군과 내용 영역에 따라 과학사의 도입 자료와 제시형태를 도출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과학사와 관련된 내용을 박세기, 이기영, 이면우(2011)가 개발한 3차원 조합 분석틀을 이용하여 과학사의 도입 내용을 분석하고, Leite(2002)가 개발하고 최윤희(2005)와 정고은(2013)이 수정한 분석틀을 보완하여 과학의 본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는 총 26개로 학년군 및 내용 영역별로 자료의 분포가 고르지않았다. 둘째, 전체 48개의 3차원 조합 유형 가운데에서 오직 13개 유형만 사용되고 있어 특정 유형에 편중하여 과학사를 도입하고 있었다. 셋째, 과학사 자료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요소가 학년 및 영역별로 고르게 분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과학사를 통해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에서의 학년군과 내용 영역을 고려하여 다양한 유형의 과학사 자료를 도입해야 하고, 과학의 본성 요소를 적절히 반영하도록 교과서 도입에 있어 보다 다차원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roduced contents and the nature of science on the history of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frequency of contents of history of science in 8 kinds of scienc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is analyzed by grade cluster and content part. Analysis framework for analyzing the introduced contents on the history of science was characterized with three-dimensional combination of the context, the role and the types(Park, Lee, & Lee, 2011). Analysis framework for the nature of science on the history of science was developed by Leite(2002) and revised by Choi (2005) and Kim(2010) and complemented under one expert in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contents of history of science in textbook is 26 and it were not equally distributed into scienc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grade cluster and content part. Second, with three-dimensional combination framework only 13 kinds were used in all 48 different types through analyzing the textbooks. It implies that ways of introducing contents of history of science into textbooks were limited to certain types. Third, the nature elements of science were not equally distributed on the history of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In conclus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the history of science and to foster scientific literacy ultimately, it implicates that it is need to present various kinds of the history of science for one theme in consideration about the grade cluster and content part. Also more multilateral approach is need to introduce equally distributed into textbooks to reflect the elements of the nature of science.

      • KCI등재

        터널형 탄약고의 격실 설계 방법에 대한 연구

        박상우 ( Park Sangwoo ),백장운 ( Baek Jangwoon ),박영준 ( Park Young-ju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0 No.3

        최근 지하형 탄약고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고 사업이 구체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하형 탄약고에 대한 설계 방법의 부재가 상당한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군 작전적 측면과 안전거리 기준 등의 안전 문제로 인해 민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터널 설계 기준이나 지하형 탄약고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들을 통해서는 제대로 된 지하형 탄약고를 구축할 수 없다. 따라서 실무자들이 지속적으로 순환되는 우리나라 군 및 관 특성상 표준화된 설계방법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지하형 탄약고의 설치는 상당히 지연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격실 설계, 격실 배치, 터널 및 출입구 설계, 공조설비 설계방법에 대해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분석하고 전체적인 설계프로세스를 정립하였다. 이를 토대로 설계 예시를 제공하였으며, 관련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단계별로 설계를 따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하형 탄약고는 세계적으로 시공사례가 많지 않다. 하지만 민·군 상생에 대한 국가 정책과 시장 추세를 비추어볼 때 지하형 탄약고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시작으로 지하형 탄약고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향후 대한민국이 기술 수출 등을 통해 세계 시장을 좌우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demand for underground-type ammunition storage facilities has increased. Comparing with a ground-type ammunition storage facility, the underground-type ammunition storage facility can decrease the standard of safety distance because fragment and blast wave can be locked in the rock formation. However, the absence of a design method on the underground-type ammunition storage chamber became a major setback for the construction promotion. In this study, the process for design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underground-type ammunition storage facility was provided. First, the determination method for configuration and number of the chamber was developed by performing the ammunition storage simulation. Then, a tunnel (i.e., transfer channel for vehicles) and designed chambers can be arranged on the basis of safety distance standard. The safety distance standard also should be considere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and the size of entrances because of the blast wave and fragment effect at the entrances when an explosion is generated inside a chamber. In addition, considerations on the design for the waterproof and the drainage of subsurface water were analyzed through construction cases. Finally, an example of designing underground-type ammunition storage chambers was provided in order to verify the developed design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아방가르드 미술과 모홀리 나기의 매체 미학

        박상우(Sangwoo Park) 현대미술사학회 2014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6

        This paper studies the sense of media in the works of Laszlo Moholy-Nagy, a key figure in the art history of avant-garde. By doing so, it aim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old media and new media. Moholy-Nagy is known for his work in traditional media such as sculpture and painting, but also in new media such as photography and .lm, as well as typography, design, advertising. But the most original contributions of Moholy-Nagy in art history are his experimentation in light art, kinetic art, experimental film, installations. He stresses on all of these art practices and art education by which he tries to cultivate the new man. For Moholy-Nagy this man means the whole man who can prepare for the complex situation of the future society. His media aesthetics are comprised of three elements which are machine, light, dynamism. Moholy-Nagy tries to break with the past, old media esthetics which are the hand, pigment, static. Moholy Nagy takes interest in such new media because he understood by the early 1920s that the reproducibility of technically based media such as photography and .lm, the proliferation of image through mass media, and an increasingly urbanized world have placed us into a fundamentally new situation. The Futurists wrote of simultaneity, the parallel stimulation of our senses from multiple sources. Moholy-Nagy felt that people needed guidance to cope with this simultaneous environment. At the heart of his project was teaching and education by which he tries to make a new kind of man, a new kind of society.

      • KCI등재

        탄약저장시설 지하화에 따른 안전거리 축소방안 연구

        박상우 ( Park Sangwoo ),전종훈 ( Jun Jonghoon ),최항석 ( Choi Hangseok ),박영준 ( Park Young-ju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0 No.3

        지하형 탄약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관련된 설계결과가 다수 도출되고 있다. 그러나 터널 민간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탄약관련 군 실무자들도 안전거리 기준을 완벽하게 숙지하지 못하여 안전거리 기준을 모두 준수한 신뢰성 있는 설계 결과는 도출되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안전거리를 과하게 적용하여 부지를 비효율적으로 활용하거나 시공불가판정을 받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형 탄약고에 대한 안전거리 기준을 정리하고 이를 준수하면서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여러 방법 중 안전거리를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여 향후 지하형 탄약고 설계 및 시공 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마련하였다. With increasing interest in an underground-type ammunition storage facility, several design results have been provided recently. However, since not only experts in the tunnel but also military persons in charge of ammunition have not fully understood the safety distance standard, reliable design results are not being produced. In this study, the effective design method of an underground-type ammunition storage facility was provided by analyzing the current safety distance standard. First, the critical safety distances that dominate the size of construction site for underground-type ammunition storage facilities were evaluated, which are the layout of chamber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entrances. Then, the decreasing effect of inter-chamber distance was studied according to the rock type and the storage density of ammunition. In addition, the method of designing tunnels with parallel lines and two-floors was considered for arranging more chambers while complying with the safety distance standards. In particular, numerical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atisfaction of the safety distance standards when an underground-type ammunition storage facility is composed of two-floor and the decreasing effect of inter-chamber distance according to the inner explosive pressure reduction. Finally, the method to adjust the size of entrances and the path of pressure were studied for decreasing the safety distance at the entrance.

      • KCI등재

        기술이미지, 디지털 사유, 디지털 패러다임 : 빌렘 플루서의 미디어 철학을 중심으로

        박상우 ( Park Sangwoo ) 한국미학회 2021 美學 Vol.87 No.1

        본 연구는 플루서의 철학에서 숫자와 기술이미지를 대상으로 현대인의 새로운 사유구조인 디지털 사유의 기원과 특성을 밝힌다. 숫자 사유는 무언가를 불연속요소들로 분해한 후, 이 요소들을 하나의 덩어리로 모으는 사유이다. 근대에 탄생한 숫자사유는 점차 숫자를 벗어나 기술이미지에 자신을 인코딩한다. 기술이미지는 숫자사유의 표현이다. 후기 산업시대의 새로운 세계관을 특징짓는 숫자사유, 새로운 상상력, 사진 시각은 결국 디지털 사유로 수렴된다. 디지털 사유는 양자론과 신경생리학을 포함하여 다양한 현대과학에 영향을 받았다. 디지털 사유에서 이세계는 물질세계뿐만 아니라 정신세계인 인간의 마음, 사유 자체도 입자들의 컴퓨테이션 결과이다. 세계의 모든 것이 입자들의 무리이기 때문에 실재와 이미지, 실재와 허구라는 기존의 개념 구분은 사라진다. 모든 것은 디지털이며, 모든 것은 텅 빔, 무, 환영의 세계에 이른다. 텅 빈 부조리한 세계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분해된 입자들을 인간의 상상력이 새롭게 재배치하여 새로운 기술이미지로 생산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thinking, a new thinking structure of modern people, targeting numbers and technology images in Flusser's philosophy. Numerical thoughts (particle thoughts) are thoughts that decompose something into discontinuous elements and then gather these elements into a single mass. The numerical thoughts that were born in the modern era gradually move away from numbers and encode themselves into technical images. The technical image is an expression of numerical thoughts. Numerical thoughts, new imagination, and photographic view that characterize the new worldview in the post-industrial era converge into digital thoughts. Digital thinking was influenced by a variety of modern sciences, including quantum theory and neurophysiology. In digital thinking, this world is the result of the computation of particles not only in the material world, but also in the human mind and thought itself, which are the mental worlds. Since everything in the world is a group of particles, the existing distinction between reality and image, reality and fiction disappears. Everything is digital, and everything reaches a world of emptiness, nothing, and illusion. One way to overcome the empty and absurd world is to create a new technical image by recollecting the decomposed particles to human imag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