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국소 진행성 유방암 환자에서 선행 항암화학요법의 치료결과

        배선현(Sun Hyun Bae) · 원(Won Park) · 허승재(Seung Jae Huh) · 최두호(Doo-Ho Choi) · 남희림(Heerim Nam) · 양정현(Jung-Hyun Yang) · 남석진(Seok-Jin Nam) · 이정언(Jeong Eon Lee) · 임영혁(Young-Hyuck Im) · 안진석(Jin-Seok Ahn)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8 No.2

        목 적: 국소 진행성 유방암으로 선행 항암화학요법 후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결과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1995년 4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유방암으로 선행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는총 159명이었다. 이중에서 진단 당시 종양의 크기가 5.0 cm를 초과하거나 액와림프절 전이가 의심된 유방암 환자로 항암화학요법 후 근치적 수술을 시행하고 방사선치료가 시행된 1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 항암화학요법은2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anthracycline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항암요법을 사용하였다. 치료 전 임상적 병기는 T13명(3%), T2 26명(25%), T3 39명(37%), T4 37명(35%)이었고 액와림프절 전이가 의심되는 사람이 98명(93%)이었다. 선행 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한 날을 기준으로 추적 조사하였고 중앙추적조사기간은 41개월(7∼142개월)이었다.결 과: 전체 환자의 5년 국소제어율은 82.1%, 원격전이제어율은 69.9%, 무병생존율은 66.1%, 전체생존율은 77.1%이었다. 무병생존율과 전체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단변량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임상적 원발병소 병기, 병리학적 원발병소 병기, 병리학적 림프절 병기 그리고 병리학적 TNM 병기가 공통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들이었다.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호르몬치료 유무만 생존율과 연관된 의미 있는 인자였다.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삼성서울병원에서 국소 진행성 유방암으로 선행 항암화학요법이 시행된 환자의 치료 성적이 지금까지 보고된 다른 선행 항암화학요법 치료 결과와 비교할 때 비슷하거나 나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호르몬치료를 시행한 경우에만 생존율이 의미 있게 좋았고 임상적 병기나 병리학적 병기가 낮은 경우 생존율이 좋은경향을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 of neoadjuvant chemotherapy,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in locally advanced breast cancer as well as analyze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fifty-nin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ere treated by neoadjuvant chemotherapy between April 1995 and November 2006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Among these patient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05 patients treated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followed by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for a cure with an initial tumor size >5 cm or clinically positive lymph nodes. All patients received anthracycline based chemotherapy except for 2 patients. According to clinical tumor stage, 3 patients (3%) were cT1, 26 (25%) were cT2, 39 (37%) were T3 and 37 (35%) were T4. Initially, 98 patients (93%) showed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The follow-up periods ranged from 7∼142 months (median, 41 months) after the beginning of neoadjuvant chemotherapy. Results: Locoregional failure free survival rate and distant metastasis free survival rate at 5 years were 82.1% and 69.9%, respectively. Disease free survival rate and overall survival rate at 5 years were 66.1% and 77.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 univariate analysis indicate that clinical tumor stage, pathologic tumor stage, pathologic nodal stage and pathologic TNM st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disease free survival rate and overall survival rate. Whereas, a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only hormone therapy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for survival.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results were comparable to other published studies for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Hormone therapy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The patients with early clinical or pathologic stage had a tendency to improve their survival rate.

      • KCI등재
      • KCI등재

        구제역의 시,공간 군집 분석

        선일(Son Ll Park),배선학(Sun Hak Bae)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2010~2011년 한국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시·공간에서 어떠한 군집 특징을 보이는가를 질병역학적 관점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의 공간통계 방법으로 분석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소견을 도출하였다. 첫째, 경기북부의 발생 사례에서는 가축 사육밀도가 높아 주변 농장으로 바이러스 전파가 용이한 환경에서는 구제역이 상대 적으로 좁은 공간적 범위에서 시·공간 군집을 이루면서 전파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여주·이천·안성 등 경기도 남동부지역에서는 전체 구제역 발생 지점이 공간상으로는 밀집해 있지만 시간상으로는 분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시간적 범위를 7일로 하였을 때 시·공간 군집의 평균 반경이 25km이고 최소 반경은 5.4km, 최대 반경은 74km로 분석되었다. 또한 구제역 발병 초기에는 군집의 반경이 작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군집의 반경이 커진다는 소견에 근거할 때 특정 지점에서 발생한 구제역에 대한 방역계획을 수립할 때 일차적으로 방역 범위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To assess the space-time clustering of FMD(Foot-and-Mouth Disease) epidemic occurred in Korea between November 2010 to April 2011,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based spatial analysis technique was used. Farm address and geographic data obtained from a commercial portal site were integrated into GIS software, which we used to map out the color-shading geographic features of the outbreaks through a process called thematic mapping, and to produce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pidemic course and time throughout the country. FMD cases reported in northern area of Gyounggi province were clustered in space and time within small geographic areas due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hich livestock population density is high enough to ease transmit FMD virus to the neighboring farm, whereas FMD cases were clustered in space but not in time for southern and eastern area of Gyounggi province. When analyzing the data for 7-day interval, the mean radius of the spatial-time clustering was 25km with minimum 5.4km and maximum 74km. In addition, the radius of clustering was relatively small in the early stage of FMD epidemic, but the size was geographically expanded over the epidemic course. Prior to implementing control measures during the outbreak period, assessment of geographic units potentially affected and identification of risky areas which are subsequently be targeted for specific intervention measures is recommend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제주도 영주십경과 신(新)영주십경의 경관자원 평가

        이영진(Young Jin Lee),배선학(Sun Hak Bae),시사(Si Sa Park)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1 觀光硏究論叢 Vol.23 No.2

        본 연구는 구글 파노라미오(Panoramio)의 사진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제주도 영주십경과 신(新)영주십경의 사진 밀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제주도 경관 중 사진밀도가 가장 높은 경관은 한라산, 중문단지, 성산일출봉, 섭지코지, 산방산/용머리해안, 마라도, 표선(해비치리조트), 외돌개, 월드컵경기장, 제주공항, 함덕서우봉해변 등으로 나타났다. 제주도 경관의 사진밀도와 영주십경과 신영주십경을 각각 비교한 결과 영주십경은 성산일출봉, 녹담만설(한라산), 산방굴사(산방산)에서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신영주십경은 섭지코지, 지삿개 주상절리, 용연, 자구내 포구, 우도, 송악산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주도의 새로운 경관자원 평가 시 기존 설문조사나 직관에 의한 경관 평가 방식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mployed a density analysis of the Ten Scenic Views of Yeongju on Jeju Island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at Google Panorami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ly dense landscapes are in these sequences: Mt. Halla, Jungmun Resort Complex, Seongsan Ilchulbong, Seopji Koji, Mt. Sanbang/ Yongmeori Coast, Marado, Pyoseon (Haevichi Resort), Oe dol gae, World-Cup Stadium, Jeju International Airport and Hamdeok Seoubong Beach. Based on the photo-density comparisons of Jeju landscapes, Seongsan Ilchulbong, Nokdammansel and Sanbang Cave Buddhist Temple reveals a high density among Ten Scenic Views of Yeongju. Seopji Koji, Jusangjeolli Cliff, Yong-yeon Pond, Jagunae Port, Udo and Mt. Songak displays a high density in the category of Ten New Scenic Views of Yeongju.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