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존 케이슨방파제에 신규 케이슨 추가설치 시 댐핑존 영향에 따른 유체와 케이슨들간의 상호작용 평가

        박민수,김영택,박상기,민지영,Park, Min Su,Kim, Young Taek,Park, Sangki,Min, Jiyoung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2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4 No.5

        The design and construction are carried out to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caisson breakwaters by installing new caissons on the front or rear of old caissons. The wave forces acting on caisson are excessively calculated by the resonance of fluid existing between the old caisson and the new caisson in the numerical analysis using potential flow. In this study, we used the damping zone option in ANSYS AQWA program to analyze the wave forces acting on individual caissons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incident wave and the caisson. By applying the damping zone option to the fluid in which resonance occurs, the wave forces acting on individual caissons were calculated by the change of damping factor. In addition, the wave force characteristics acting on individual caissons were analyzed for the different distances between caissons in the frequency domain analysis.

      • KCI등재

        자유 라디칼 중합법을 활용한 CO<sub>2</sub> 기체분리용 PVA 기반 가지형 공중합체 복합막

        박민수,김종학,라즈쿠마 파텔,Park, Min Su,Kim, Jong Hak,Patel, Rajkumar 한국막학회 2021 멤브레인 Vol.31 No.4

        지구 온난화 이슈에서 가장 고질적인 문제 중 하나는 온실가스의 배출이다. 다양한 온실 가스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이산화탄소(CO<sub>2</sub>)는 이를 분리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기체를 분리하기 위해 poly(vinyl alcohol) (PVA) 기반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기체 분리막에 활용했다. 공중합체는 자유 라디칼 중합법을 활용했으며, 곁사슬을 위한 단량체로 아크릴산(acrylic acid)를 사용하여 PVA-g-PAA(VAA)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했다. 본 공중합체를 이산화탄소 기체분리막에 적용한 사례는 최초이며, 폴리설폰 지지체에 복합막 형태로 제조했다. 공중합체 합성 결과는 FT-IR을 통해, 합성한 공중합체 의 거동은 TEM과 DSC, TGA를 통해 분석하였다. AA 그래프팅을 통해 공중합체는 나노 구조를 형성하며, PVA의 결정화도를 급격하게 감소시켜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를 증가시켰고, 이는 이산화탄소 기체 분리 성능을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이산화탄소 분리막 분야에 용액-확산 및 그래프팅 방법이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One of the chronic problems in the issue of global warming is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Carbon dioxide (CO<sub>2</sub>), which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various greenhouse gases, has been continuously researched by humans to separate it. From this point of view, a poly(vinyl alcohol) (PVA)-based copolymer with acrylic acid monomer was utilized in a gas separation membrane in this study. We employed a free radical polymerization to fabricate PVA-g-PAA (VAA) graft copolymer. It was utilized in the form of a composite membrane on a polysulfone substrate. The proper amount of acrylic acid reduced the crystallinity of PVA and increased CO<sub>2</sub> solubility in separation membranes. In this perspective, we suggest the novel approach in CO<sub>2</sub> separation membrane area by grafting and solution-diffusion.

      • KCI등재

        Facilitated Transport Membranes Based on PVA-g-PAA Graft Copolymer

        박민수,강미소,박보령,김정훈,김종학,Park, Min Su,Kang, Miso,Park, Bo Ryoung,Kim, Jeong-Hoon,Kim, Jong Hak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2021 멤브레인 Vol.31 No.3

        It is inevitable to generate incomplete combustion gases when mankind utilizes fossil fuels. From this point of view, gas separation process of combustion ga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CO gas. In this study, we fabricated a facilitated transport polymeric composite membrane for CO separation using AgBF<sub>4</sub> and HBF<sub>4</sub>. The copolymer was synthesized via free-radical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lcohol) (PVA) as a main chain and acrylic acid (AA) monomer as a side chain. The polymer synthesis was confirmed by FT-IR and the interactions of graft copolymer with AgBF<sub>4</sub>, and HBF<sub>4</sub> were characterized by TEM. PVA-g-PAA graft copolymer membranes showed good channels for facilitated CO transport. In this perspective, we suggest the novel approach in CO separation membrane area via combination of grafting and facilitated transport. 화석 연료를 사용할 때, 불완전 연소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소 후 기체 분리는 불완전 연소 기체의 재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산화탄소 기체 분리용 촉진수송 고분자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 poly(vinyl alcohol) (PVA) 주사슬 기반으로 acrylic acid (AA) 단량체를 자유 라디칼 중합법으로 PVA-g-PAA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본 공중합체를 일산화탄소 활용에 적용하는 사례는 처음이며, 제조한 공중합체는 AgBF<sub>4</sub> 염과 HBF<sub>4</sub>를 혼합하여 기체 분리막에 적용하였다. 공중합체 합성 결과는 FT-IR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공중합체와 AgBF<sub>4</sub>, HBF<sub>4</sub>의 상호작용은 TEM를 통해 분석하였다. 염의 첨가를 통해 일산화탄소 기체의 촉진수송 채널을 형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일산화탄소 분리막 분야에 촉진수송 및 그래프팅 방법이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닭 간 생식 후 가족에서 집단으로 발생한 개회충에 의한 내장 유충 이행증 1예

        박민수,안영준,문경래,Park, Min-Su,Ahn, Young-Joon,Moon, Kyung-Ry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1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3 No.1

        저자들은 닭 간을 생식한 가족에서 복통, 기침, 미열두통 등 동일한 임상증상과 심한 호산구 증가증을 보여면역혈청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한 개회충에 의한 내장유충 이행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We report a familial case of visceral larva migrans of Toxocara canis after eating raw chicken liver. A 9-year-old female ate raw chicken liver with her father and older brother and was admitted to the hospital with periumbilical pain, a mild fever, and headache. The total peripheral eosinophil count was 9,884/$mm^3$ and the total lgE concentration was 2,317 IU/dL. Chest and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demonstrated multiple, poorly-defined, small, nodular lesions scattered in the liver and lung parenchyma. Toxocara ELISA and Western blot tests were positive in the patient, and her father and brother. A liver biopsy revealed extensive eosinophilic infiltrations in the portal and lobular areas. She took albendazole for 5 days and was discharged in good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linicians should consider foodborne toxocariasis in patients with multiple, small nodules in the liver and lung parenchyma with eosinophilia and a history of raw meat ingestion.

      • KCI등재

        이차 미분을 이용한 경험적 모드분해법

        박민수,김동호,오희석,Park, Min-Su,Kim, Donghoh,Oh, Hee-Seok 한국통계학회 2013 응용통계연구 Vol.26 No.2

        다양한 분야에서 시그널(signal) 형태로 자료들이 표현된다. 예를 들면 심전도(electrocardiogram)는 심근에서 발생하는 활동 전류를 나타내는데, 심장의 박동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과정을 시간에 따른 활동 전류량의 변동으로 나타낸다. 현실세계에서 측정하거나 관찰되는 시그널에는 다양한 형태의 시그널들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가 흔하다. 예를 들어 오케스트라 연주의 아름다운 선율은 고유한 주파수(frequency)를 지닌 악기들의 다양한 소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기 다른 음조(note)가 하나로 모여 완벽한 하모니를 형성하게 된다. 시그널이 정상인(stationary) 경우에 혼합된 시그널들을 분해하여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현재까지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자료가 비정상(non-stationary)일 경우에는 기존의 방법론들을 적용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비정상성 자료를 다루기 위해 Huang 등 (1998)은 경험적 모드분해법(empirical mode decomposition)이라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자료에 내포되어 있는 국소적인 파동(oscillation)을 국소 극값들(local extrema)을 식별하여 자료 적응적으로 추출한다. 경험적 모드분해법은 잡음(error)에 의해 자료가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는 국소 극값들을 통하여 국소적인 파동을 추정하기 어려우며, 자료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계산량도 크게 늘어나는 단점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차 미분을 이용하여 국소적인 파동을 식별하고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re are various types of real world signals. For example, an electrocardiogram(ECG) represents myocardium activities (contraction and relaxation) according to the beating of the heart. ECG can be expressed as the fluctuation of ampere ratings over time. A signal is a composite of various types of signals. An orchestra (which boasts a beautiful melody) consists of a variety of instruments with a unique frequency; subsequently, each sound is combined to form a perfect harmony. Various research on how to to decompose mixed stationary signals have been conducted. In the case of non-stationary signals, there is a limitation to use methodologies for stationary signals. Huang et al. (1998) proposed empirical mode decomposition(EMD) to deal with non-stationarity. EMD provides a data-driven approach to decompose a signal into intrinsic mode functions according to local oscillation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local extrema. However, due to the repeating process in the construction of envelopes, EMD algorithm is not efficient and not robust to a noise, and its computational complexity tends to increase as the size of a signal grow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new method to extract a local oscillation embedded in a signal by utilizing the second deriv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