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 아바타의 홍채색과 동공 조절에 따른 시각적 실재감에 대한 실감표현요소

        명주(Myoung Ju Won),상인(Sang-In Park),이의철(Eui Chul Lee),황민철(Min-Cheol Wha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4

        가상환경에서 가상 아바타는 말과 감정을 전달하는 주요한 의사소통 수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아바타의 홍채색과 동공 조절 요소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각적 실재감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홍채색과 동공 조절 요소를 적용한 가상 아바타를 모델링하였다. 32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상기 이미지를 제시한 후,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설문문항(18문항)을 구성하여 5점 척도로 보고하게 하였다. 실험결과,동공 크기변화가 적용된 경우 높은 실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홍채색은 실재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결과는 새로운 시각적 실감 표현요소를 제안하고, 제안된 실감 표현요소의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실재감 있는 가상 아바타를 설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virtual avatar is a principal way as media for communicating language and affective feelings in virtual environment. As similar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users visual feeling according to the changes of iris color and pupil size of virtual avatar which is considered as new factors for representing realistic avatar. Virtual avatars were configured by pupil accommodation and iris color(green, brown). After presenting above image to 32 participants, a questionnaire (18 items)based on previous studies was created, and reported as a 5-point scale.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at the case of adopting pupil accommodation induced more realistic visual feeling of subjects. This result can be regarded as a basis for designing realistic virtual avatar by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pupil accommodation of avatar in terms of representing visual presence.

      • 무인기 C2 링크의 다중대역 동시수신구조 성능분석

        휘성(Hwi-sung Park),이희란(Hee-ran Lee),명주(Myoung Ju Yu),전성혁(Seong Hyeok Jeon)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논문에서는 UAS (Unmanned Aerial Systwms) 에서 보조링크로 활용되는 C2 (Command and Control) 링크의 다중대역 동시수신구조의 성능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다중대역 동시수신구조에서는 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 양자화/포화 오류와 간섭신호로 인한 성능 열화가 존재한다. 무인기 C2링크 다중대역 동시수신기의 ADC 입력 레벨을 -15dBm으로 설정하였을 때 양자화/포화의 영향성이 없는 신호레벨 영역을 확인하였고, 인접대역으로 인한 성능 열화가 약 0.1dB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하는 다중대역 동시수신 구조는 거의 성능의 열화가 없고, 무인기 C2 링크의 운용환경에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 멀티 홉 MANET 환경에서 무인기 간 분산적 자원 할당 방안 연구

        명주(Yu Myoung Ju),차경민(Cha Gyoung Min),휘성(Park Hwi-Sung),전성혁(Jeon Seong Hyeok)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논문은 멀티 홉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Mobile Ad-hoc Network, MANET) 환경에서 무인기 간 연결과 통신 최적화를 위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자원 할당 방안을 제안한다. 한정된 무선 대역폭을 다수의 무인기가 공유하는 운용 상황에서 각각의 무인기에 대역폭을 할당하는 방식은 안정적인 무선 통신 제공을 위한 중요한 이슈로써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분산형 네트워크자원 할당 알고리즘인 D-RAND를 기반으로 슬롯 별 상태 머신(state machine) 관리와 Hello 메시지를 통해 무인기 간 자원 할당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TDMA 방식의 MANET 환경에서 무인기 간 이동으로 인해 토폴로지의 형태가 변화되는 상황에서도 슬롯 할당에 충돌 없이 각 무인기에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 KCI등재

        3D 시각피로 유발에 따른 안면 온도 변화

        황성택 ( Sung Teac Hwang ),상인 ( Sang In Park ),명주 ( Myoung Ju Won ),황민철 ( Min Cheol Whang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4

        본 연구는 3D 산업의 안전성 문제인 3차원 콘텐츠로 유발된 시각피로를 안면 온도 변화로 정량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콘텐츠 시청 전과 후에 각 1분간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면온도를 측정하였고 주관설문과 인지부하 실험을 통해 시각피로를 판단하였다. 2D와 3D의 시청 전과 후를 비교하여 3D 콘텐츠 시청에 따른 시각피로 유발 시 안면 온도에 차이를 확인하였다. 시청 전과 후에 차이를 비교한 결과 주관 설문과 인지부하 실험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ERP latency는 3D 시청 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면 온도의 경우 미간(forehead)과 코끝(tip of the nose) 영역의 최대값을 비교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선행 연구에서 3D 시각피로 발생 시 교감신경계가 항진됐던 결과와 비교해보면 교감신경계가 항진되면 심박 수가 증가하고 목동맥계(carotid arteries system)를 통한 안면으로의 혈류량이 증가하게 된다. 2D와 3D 시청 시 교감신경계 항진 정도에 따라서 혈류량 변화로 안면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열화상이미지를 이용한 3D 시각피로 측정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As the visual fatigue induced by 3D visual stimulation has raised some safety concerns in the industry, this study aims to quantify the visual fatigue through the means of measuring the facial temperature changes. Facial temperature was measured for one minute before and after watching a visual stimulus. Whether the visual fatigue has occurred was measured through subjective evaluations and high cognitive tasks. The difference in the changes that occurred after watching a 2D stimulus and a 3D stimulus was computed in order to associate the facial temperature changes and the visual fatigue induced by watching 3D conten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evaluations and in the high cognitive tasks. Also, the ERP latency increased after watching 3D stimul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ximum value of the temperature at the forehead and at the tip of the nose. A previous study showed that 3D visual fatigue activates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ation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is known to increase the heart rate as well as the blood flow into the face through the carotid arteries system. When watching 2D or 3D stimuli,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ation dictates the blood flow, which then influences the facial tempera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one of the first investigations that looks into the possibility to measure 3D visual fatigue with thermal images.

      • KCI등재

        인체 미동을 이용한 공감도 평가 방법

        황성택 ( Sung Teac Hwang ),상인 ( Sangin Park ),명주 ( Myoung Ju Won ),황민철 ( Mincheol Whang ) 한국감성과학회 2017 감성과학 Vol.20 No.1

        본 연구는 사회 감성(Social emotion)중 공감도 정량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비접촉형 센싱 방법인 인체 미동 기술을 이용하였다. 참가자들은 공감한 그룹과 공감하지 않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웹캠(Web-cam)을 이용해 표정Task를 수행하는 동안 영상의 상반신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 된 데이터는 각 주파수 성분 별로 0.5 Hz, 1 Hz, 3 Hz, 5 Hz, 15 Hz로 분류하여 추출하였다. 추출 된 데이터는 움직임의 평균과 변화량, 움직임의 동조현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공감한 그룹의 움직임 평균과 움직임의 변화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공감하지 못한 그룹의 경우 평균 움직임과 변화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공감한 그룹의 두 피험자의 경우 표정 Task를 수행하는 동안 움직임에 동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두 사람 간에 공감이 형성 되었을 때 자연스럽게 집중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움직임에 정도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비접촉 센싱방법을 통해 공감도 측정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sent quantification method for empathy. The micro-movement technology (non-contact sensing method) was used to identify empathy level. Participants were first divided into two groups: Empathized and not empathized. Then, the upper body data of participants were collected utilizing web-cam when participants carried expression tasks. The data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0.5 Hz, 1 Hz, 3 Hz, 5 Hz, 15 Hz. The average movement, variation, and synchronization of the movement were then compared. The results showed a low average movement and variation in a group who empathized. Also, the participants, who empathized, synchronized their movement during the task. This indicates that the people concentrates with each other when empathy has been established and show different levels of mov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of empathy quantification using non-contact sensing method.

      • KCI등재

        친밀도, 공감도, 긍정도에 따른 얼굴 근육의 미세움직임 반응 차이

        조지은(Ji Eun Cho),상인(Sang-In Park),명주(Myoung Ju Won),민지(Min Ji Park),황민철(Min-Cheol Wha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2

        얼굴 표정은 상호간의 소통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얼굴 근육의 움직임은 감성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는 사회적 관계를 향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얼굴의 단순 움직임만으로는 복잡한 사회 감성을 인식하기에 정확하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친밀도, 공감도, 긍정도와 같은 사회감성을 인식하기 위한 얼굴의 미세 움직임을 분석하는 것이다. 76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상기 사회감성을 유발하는 자극을 제시하였고 카메라를 사용하여 얼굴 표정을 측정하였다. 결론적으로 친밀함, 공감도, 긍정도의 사회 감성에서 얼굴의 미세움직임이 다르게 나타났다. 총 44개의 얼굴 근육 중 3개의 무의식 근육과 18개의 의식 근육의 움직임 양을 추출한 후, 고속푸리에변환(Fast Fourier Tranform, FFT)을 통하여 (Dominant) Frequency 대역을 확인하였다. 독립 t-검정 결과, 친밀도 상황에서는 코 주변과 볼 주변 근육, 공감도 상황에서는 입 주변 근육, 긍정도 상황에서는 턱 주변 근육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애니메이션의 가상아바타 등 얼굴 표정의 새로운 표현요소를 제안하고 근육에 따른 사회감성 인식의 기초 연구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 된다. Facial expression is important factor on social interaction. Facial muscle movement provides emotion information to develop social network. However, facial movement has less determined to recognize social emotion. This study is to analyze facial micro-movements and to recognize the social emotion such as intimacy, empathy, and valence. 76 university students were presented to the stimuli for social emotions and was measure their facial expression using camera. As a results, facial micro-mov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social emotion. After extracting the movement amount of 3 unconscious muscles and 18 conscious muscles, Dominant Frequency band was confirmed. While muscle around the nose and cheek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imacy, one around mouth did in the empathy and one around jaw in the valence. The results proposed new facial movement to express social emotion in virtual avatars and to recognize social emotion.

      • KCI등재

        A Just-in-time Scheduling Problem with Generalized Due Dates and Controllable Processing Times

        Byung-Cheon Choi(최병천),Myoung-Ju Park(박명주),Yunhong Min(민윤홍) 한국SCM학회 2020 한국SCM학회지 Vol.20 No.1

        We consider a scheduling problem on identical machines in parallel such that the due date is assigned not to the specific job, but to the job position. Each processing time can be compressed by using the additional resource, which incurs some cost. The objective is to maximize the number of the jobs completed exactly at their assigned due dates while the total compression cost should not exceed a given budget. We show that the problem is strongly NP-hard, and polynomially solvable if the intervals between the consecutive due dates are identical on each machine.

      • KCI등재후보

        고온세균을 이용한 남은 음식물의 호기적 액상발효

        류승용(Seung-Yong Ryu),박명주(Myoung-Ju Park),김소영(So-Young Kim),이기영(Ki-Young Lee) 유기성자원학회 2002 유기물자원화 Vol.10 No.3

        남은 음식물을 기질로 생균사료를 생산하기위하여 고온성 세균에 의한 호기적 액체 발효가 시도되었다. 토양이나 남은 음식 물들로부터 11종의 고온성 세균이 55'C 에서의 진탕배양에 의해 분리되었다. 이들 분리균 들의 기질분해능을 평가하기위해 배양액 중에서의 a- amylase 와 protease효소역가를 측정 비교하였다. 이 결과 6 종의 세균이 선택되었고 남은 음식물 기질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반복 배양을 실시하였다. 발효말기에서의 생균농도는 대부분 3~7x 109/ml에 이 르렀다. 이들 중 B3, B6가 가장 높은 효소역가를 나타냈다. B3, B6, 그리고 분양받은 균주인 Bacil1us stearothermophil1 us를 2L-jar fermenter를 이용해 혼합발효시킨 결과 발효개시 8시간 내에 생균수가 1.4 x 1Q1O/ml 에 이르렀다, For rhe probioric feed producrion from residual food wasre, aerobic liquid fermenration was conducred by thermophilic bacteria. 11 Strains of bacteria were isolated from several soil sources and residual food waste. Screening was carried by shaking incubator for the separation of thermophilic strain at 55 'c. The isolated strains were tested for enzyme activiries such as a-amylase and protease. 6 Bacterial strains were chosen and were adapted by repeated fermentation processes in food waste substrate. The viable ceU coum of them at fìnal fermentation stages were shown as 3-7 x 1Q9/ml in 2L-jar fermenter. Arnong them B3, B6 showed higher enzyme activity. By the mixed fermentation of B3, B6 and Bacil!Jμf stearothermophílus, the highest viable cel! count reached to 1.4 x 10 1O/ml in 8 hou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