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중서(董仲舒)의 예론(禮論)

        박동인 ( Dong In Park ) 퇴계학연구원 2010 退溪學報 Vol.127 No.-

        이글의 목적은 董仲舒의 禮論을 탐구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동중서의 예론은 漢代 禮法觀의 범형을 구축한 그의 禮主法輔(=德主刑輔)의 구조를 이해하거나 그의 禮治시스템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의 연구가 아직 미진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동중서 예론은 대체로 두 부분으로 정리할 수 있다. 즉 첫째는 이전 유가를 계승·인습한 부분인데, 이것은 예의 발생연원이나 등급질서에 따라 다르게 규정된 예의제도 및 그의 예론의 두 축인 文質論이다. 그리고 둘째는 문질론 중 동기강조부분과 그의 봉건등급질서구축부분이다. 이상을 통해서 우리는 동중서가 동기를 강조함으로써 진나라 이후 지속된 嚴刑峻法風土를 일신시켜 유가의 德治·禮治構造로 전환하고자 했을 뿐만 아니라, 그 이후 法 해석의 준거인 原心定罪를 산출함으로써 당시 法 적용의 풍토를 변화시키고자 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사회·정치적인 등급질서를 자연법칙인 陰陽으로 정당화시킴으로써 다시는 전국시대와 같은 혼란이나 漢初의 반란사건을 되풀이하지 않게 하며, 또 이른바 천자-신하-백성이라는 봉건등급질서와 三綱의 구조를 구축함으로써 사회 안정망을 확보하고자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는 그래야 당시의 시대적 요청인 황제절대권과 중앙집권 및 사회의 안정을 이루어 漢제국의 長治久安이 가능할 것이라 여겼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study Dong Zhong-Shu`s theory of rites. Despite the fact that study on Dong Zhong-Shu`s theory of rites are matter of importance in understanding not only his theory of rule of rites[禮治] but also the system of his "rites as the main and the laws as the subsidy[禮主法輔]," (or "virtue as the main and punishment as the subsidy[德主刑輔]" which constructed the model[範型] of Han dynasty` standpoint on rites and laws,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in much deficiency among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holars. Generally, Dong Zhong-Shu`s theory of rites can be arranged in two parts. The first part succeeds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the origin of rites[禮], system of rites[禮儀制度] according to the system of hierarchy[等級制度], and his theory of wenzhi[文質論] as which are the two axis of his theory of rites. The second part is his emphasis on "motive" from his theory of wenzhi and his construction of "feudal hierarchical order[封建等級秩序]." Through the facts mentioned above, we could know that Dong Zhong-Shu, by emphasizing motive, not only tried to switch over toward Confucian rule of virtue and rule of rites from the culture of "severe punishment and harsh laws[嚴刑峻法]" which had been prevalent since Qin(秦) dynasty, but also tried to change the application of laws by arguing "sentence of guilt based on (one`s) heart[原心定罪]" which became the authority cited for interpreting laws after him. Furthermore, by justifying the social and political hierarchial order through the simile of natural order of yin and yang he wanted to make sure that the likes of chaos during the Warring States(475-221 B.C) period or repeated attempts of treason into the early Han would never happen again. Also we could know that by constructing a feudal heirarchical order of emperor-subject-people and the structure of three basic human relations(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father and son, husband and wife), Dong Zhong-Shu tried to secure a safety network of society. He thought that by doing so, he could achieve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emperor, centralization of government, and a stability of society, so as to prolong the reign of Han dynasty.

      • KCI등재

        水原 古索洞 舊石器時代 遺蹟의 一考

        박동실(Park, Dong-Sill) 백산학회 2007 白山學報 Vol.- No.77

        Gosaek-dong Site was located at the southwest of Suwon City. This paleolithic site was excavated by Kyonggi University museum, 2005. The site placed on the south hillside of low mountain(40.2m). Before excavation, this site was used as a agricultural field. In this paper, I try to discuss abou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late paleolithic artifacts uncovered at Gosaek-dong site. First, the excavation of paleolithic artifacts was for the first time in Suwon City region. Before this excavation, paleolithic artifacts such as stone axes, polyhedrals, scrapers, etc, were collected on the surface survey from Osan Gambaesan site in Hwasung City and Daeyami site in Gunpo City. Second, Gosaek-dong site has five soil layers. Among these layers, cultural layer for paleolithic is belonged to second layer in which stone artifacts were included. Just under the cultural layer, wedge shape structures formed at the Ice Age were appeared on the wall of trench. Third, artifacts uncovered are polyhedrals, scrapers, picks, stone cores, and lots of flakes. Although the amounts of artifacts are not so much excavated, from this cultural assemblages we may understand about the making process of stone tools for hunting activities. Finally, the chronology of the site is not clear because of the fact that not only amount of artifacts was rare, but also any evidences for aging the site was uncovered. Nevertheless, we can assume that this site was occupied by human at the late of Upper Paleolithic period, because artifacts excavated in the site is very similar with those of Sam-ri site in Gwangjoo City, Hopyung-dong site in Namyangjoo City, and Gambaesan site in Hwasung City.

      • 디지털콘텐츠 산업분석을 통한 기술사업화 기회창출 연구

        박동운(Park Dong-Un),김은선(Kim Eun-Sun),박영서(Park Young-Seo)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2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은 인류 역사상 가장 빠르게 성장한 미디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인터넷 비즈니스의 핵심은 바로 콘텐츠이다. 전통적인 의미에서 콘텐츠란 문자, 소리, 화상, 영상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정보의 내용물을 지칭하며, 출판, 음악, 영화 등의 영상, 사진 등의 화상, 게임, DB 등 광범위한 분야가 여기에 포함된다. 디지털콘텐츠는 콘텐츠를 디지털화하여 제작, 유통, 소비하는 산업을 모두 포괄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플레이어가 참여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있다. 한편 디지털콘텐츠의 벨류체인은 콘텐츠 제작, 수집 및 가공, 부가서비스, 접속 및 연결, 네비게이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현재는 제작?유통보다는 배급부문의 가치창출이 우세하나, 향후 Copyright 중심의 유통인프라가 구축되면서 제작 및 배포중심의 사업자 구도로 재편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고에서는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산업 분석을 통해 벨류체인의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이 창출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관련분야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에 관심을 갖는 산?학?연 주체들에게 적절한 기술사업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Historically, internet is the fastest growing media together with the ICT development and the key of the development is contents. Digital contents indicate information which covers voice, DB, game, publications and music etc. and the areas have been creating new technology business opportunities. The value chain of digital contents consists of production, collection, processing, services, connection and navigation and is expected to be reorganized around business players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reas. This paper presents on those changes occurring in business environment and examples of business models, and further provides industries and academias with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rategies.

      • KCI등재

        왕충의 인성론(人性論)은 모순을 범하고 있는가?

        박동인 ( Park Dong-in ) 퇴계학연구원 2021 退溪學報 Vol.149 No.-

        이 글은 ‘왕충의 인성론은 모순을 범하고 있다’고 한 주장에 의문을 품고, 그 주장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리고 그 검증 과정을 통해 왕충 인성론의 참된 모습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얼핏 보기에 왕충의 인성론은 모순을 범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본성」편에서는 주로 인성의 변화 불가능성을 말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솔성」편에서는 인성의 변화 가능성을 말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필자가 「본성」편과 「솔성」편 전체를 재검토해 본 결과 왕충의 인성론은 모순을 범하고 있는 것이 아니었다. 왜냐하면 왕충이 인간의 본성을 氣적으로 풀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태어날 때 우주자연으로부터 품부 받은 氣의 厚薄ㆍ多少의 정도에 따라 인간 본성의 善과 惡이 결정된다는 것이 그것이다. 왕충에 따르면 그 사람이 우주자연으로부터 어떤 성질의 기를 품부 받았는가에 따라 본성이 선하기도, 악하기도 하다. 그 중 지극히 두텁고[厚] 풍부한 기[多]를 품부 받은 사람은 지극히 선[極善]하여 그 자체로 변화가 필요 없고, 지극히 엷고[薄] 적은 기[少]를 품부 받은 사람은 그 자체로 악하여 선으로의 변화가 불가능하다. 전자는 그 자체로 선하니 더 이상 말할 것이 없고, 후자가 바로 왕충이 인성의 변화 불가능성을 말한 부분이다. 그런데 이 두 영역에 속한 사람은 1~2퍼센트 정도의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고, 98~9퍼센트에 속하는 나머지 대부분은 악과 선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서 교화와 교육을 통해 선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존재들이다. 왕충이 인성의 변화 가능성을 말한 것이 이 영역에 속한 사람이다. 그래서 왕충은 이들 중간 등급의 일반백성들을 교화하고 교육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그리고 그 교화 혹은 교육의 도구로 예와 악을 제시했다. 예는 도덕적 일탈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고(교화), 악은 감정을 절제하는 것이다(교화). 그런데 왕충은 이에 그치지 않고 법의 기능을 이용하여 극단적으로 악한 사람조차 교화하고자 했다. 법의 사후처벌 기능뿐만 아니라 사전 예방기능을 설정한 것이 그것이다. 왕충이 법의 사전예방 기능을 설정한 측면에서 우리는 그가 얼마나 교육 혹은 교화를 중시했는지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볼 때 왕충의 인성론은 모순을 범하는 것이 아니라 품부 받은 기의 정도에 따라 변화 가능성 여부를 다르게 규정한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왕충이 동중서처럼 性三品說을 채택하는 대신 ‘性有善有惡說’을 선택한 것은 그것이 인간의 본성을 보다 포괄적으로 다루는 방법이요, 인간 본성의 선과 악의 스펙트럼을 더 넓게 조망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왕충이 기의 후박ㆍ다소로 인성을 말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왕충이 의도한 것은 교화 혹은 교육이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validate the claim, questioning the claim that “Wang Chong's Theory of Human Nature is in contradiction.” And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ss, the aim is to find the true appearance of Wang Chong's Theory of Human Natur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t first glance, Wang Chong's Theory of Human Nature seemed to violate a contradiction. This is because in the 'Benxing' section it seems to be mainly referring to the immutability of Human Nature, and in the 'Shuaixing' section it seems to be talking about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Human Nature. However, as a result of my review of the entire ‘Benxing’ and ‘Shuaixing’ sections, Wang Chong's Theory of Human Nature was not in contradiction. This is because Wang Chong is solving human nature as a Qi. It is that the good and evil of human nature is determined by the degree of Hou-Bo·Duo-Shao of Qi received from cosmic nature when humans are born. According to Wang Chong, the nature of the person is either good or evil, depending on what kind of Qi he received from the universe nature. Among them, those who are extremely thick and rich Qi are extremely good and do not need change in themselves, and those who are extremely thin and receiving little Qi are evil in themselves, making it impossible to change to good. The former is good in itself, so there is nothing more to say, and the latter is the part where Wang Chong spoke of the nature of the person's unchangeability. However, those in these two areas are only a fraction of 1-2 percent, and most of the rest, 98-99 percent, have both evil and good,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good through edification and education. So Wang Chong aimed to edify and educate these middle-class general people. And Li(禮) and Le(樂) were suggested as tools for edification or education. Li (禮) is to prevent moral deviations in advance(edification), Le(樂) is to restrain emotions(edification). Wang Chong, however, attempted to refine even the extremely evil by using the functions of the law. It is the addition of preventive functions as well as the post-punishment functions of the law. In terms of Wang Chong's added precautionary function of the law, we can see how much he valued education or edification. From the above, it can be evaluated that Wang Chong's nature of the person does not violate contradictions, but rather defines the possibility of change depending on the degree of Qi received. And Wang Chong chose 'Xing-You-Shan-You-e-Shuo' instead of adopting 'Xing-San-Pin-Shuo' like Dong-Zhong-Shu, because it deals with the nature of the person more comprehensively. It is because I saw that the spectrum of good and evil of the nature of the person could be viewed more broadly. This is why Wang Chong said the nature of the person as Qi's Hou-Bo and Duo-Shao. And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what Wang Chong intended was edification or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성인을 위한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및 운동 강도에 대한 고찰

        박동호 ( Dong Ho Park ),김창선 ( Chang Sun Kim ),김광준 ( Kwang Jun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 2015 운동과학 Vol.2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i) suggest the need of physical activity (PA) guidelines for Korean via introduction of PA guideline for adult in the West; and (ii) propose new categories of PA and exercise intensity in human. METHODS: The terminology used for monitoring and promoting PA and exercise among researchers, health and fitness professionals varies considerably. The variation of terminology or category related to PA and exercise intensity can be confusing for researchers, health and fitness professionals. The inconsistency in terms also makes it difficult to track changes in PA/exercise pattern over time and across studies. We reviewed previous literatures focused on terminology and category of PA and aerobic exercise intensity with MEDLINE, Pubmed, and website of government organization. RESULTS: We introduced well-known PA guidelines such as the PA guideline of United States, Canada, United Kingdom, Australia, World Health Orgarnization (WHO) as well as Korea, We also proposed five categories of PA and aerobic exercise intensity (inactive, low, moderate, high, and maximal intensity) in human. CONCLUSIONS: This proposal address the doubt of standardization of PA and aerobic exercise intensity and make suggestions that may assist those undertaking research and prescribing PA and exercise.

      • Powder Blasting을 이용한 교차구멍의 내부 모서리 디버링

        박동삼(Dong-Sam Park),한진용(Jin-Yong Han),성은제(Eun-Je Seong),한일용 한국기계가공학회 2006 한국기계가공학회 춘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

        Burr generation in intersection hole drilling causes serious problems. These burrs must be removed to make fluid flow smoothly, to improve fatigue life or to prevent injury. Despite the full or partial automation of FMC or FMS, deburring operations to obtain workpiece with fine surface quality are difficult to be automated since the generation and conditions of burr are not constant.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deburring technique for intersection hole in small solenoid valve parts. The successful performance was demonstrated by deburring experiment using the powder blasting.

      • KCI등재후보

        孔·孟 禮法觀의 생성과 변화

        박동인(Park Dong-I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2

        이 글의 목적은 孔 : 孟 禮法觀을 탐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일차적으로(순자 예법관까지 고려한 표현) 先秦 儒家 禮法觀의 생성과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漢代 이후 유가의 다양한 예법관을 살펴보기 위한 기준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賈誼를 거쳐 董仲舒에 의해 비로소 정착하게 되는 禮主法輔 구조의 연원을 이해할 수 있다. 여하튼 연구결과 공 : 맹의 예법관은 다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우선 禮 개념의 함의와 역할(=기능)에 관한 것인데, 공자는 이것을 사회 : 정치적인 등급제도와 나라를 다스리는 강령(道) 및 개인수양의 요체로서의 행위규범으로 풀고 있다. 이에 비해 맹자는 그것을 사람이 타고 나면서 갖추고 있는 선한 단서 중한 요소와 인간 내면의 仁義를 원활하게 드러내는 표현형식, 그리고 공자의 예론을 계승해 정치질서(=통치규범)와 군자가 행위의 표준으로 삼는 도덕준칙(=규범)이라 풀었다. 이것을 통해 볼 때 맹자는 공자의 예를 수용하면서 공자에게서는 외재적이었던 禮 개념을 인간 내성의 4가지 요소 중의 하나로 규정했고, 또 그렇게 함으로써 외재적인 예악전장제도의 성립근거를 확보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는 오히려 외재적인 예악제도에 착념하지 않고, 오히려 내성에 근거한 도덕수양과 그것에 기반한 仁政을 강조했다. 둘째는 법 개념의 수용과 그것의 활용에 대한 것인데, 공자의 법에 대한 관점은 ‘처벌규정’ 정도라 규정할 수 있다. 즉 禮를 어겼을 때, 그 사람의 신분이나 직책 및 공적을 고려하여 시행하는 처벌규정 이외의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공자의 법에 대한 관점은 기본적으로 西周 이래의 전통적인 관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에 대해 부정적이기는 하지만 성문법으로서의 刑書에 대해 의식하고 있었다. 한편 맹자는 공자의 ‘처벌규정’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법가의 ‘法’의 존재를 보다 분명하게 인정하고 있다. 즉 성문적인 ‘法’도 ‘刑罰’도 인정했던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법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형벌을 대폭 축소할 것을 주장하고, 특히 이것을 운용할 주체로서의 才德을 겸비한 군자의 역할을 강조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에서 禮와 法이 공존하면서 각자 치국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사람은 荀子에게서 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이 비록 禮를 주로 法을 보조로 삼는 것이기는 하지만 말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view on rite and law of Confucius and Mencius. Then in the first place(an expression which make allowance for Xunzi’s the view on rite and law), there is to inquire the Confucianism of pre-Qin’s the view on rite and law. Go through this, we can secure a standard for look into the Confucianism’s a several view on rite and law after Han-dynasty. And we can understand an origin of the structure of ‘rites as the main and the laws as the subsidy(禮主法輔)’ which was settled down rely on Dong Zhong-Shu(董仲舒) pass through Jia-Yi(賈誼). Anywa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view on rite and law of Confucius and Mencius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wo. First, as relating to the concept of rite’s significant meaning(含意) and role(=function), Confucius interpreted them as the social and political rating system, the platform to govern the country, and code of conduct as the essence of personal discipline(=the cultivation of the mind of private). In comparison, Mencius interpreted them as an element of a good clue which was equipped that someone born, a form of expression that the benevolence and uprighteousness(仁義) of inner side of humankind come out smoothly, and the political order in succession to Confucius’s theory of rites and the moral standard that a man of virtue think as a standard of conduct. When viewed through this, Accepting Confucius’s theory of rites, Mencius stipulated that a rite’s concept which was extrinsic in Confucius changed as one kind of four good elements in human, and in doing so, we knew that a basis of establishment of li-yue-dian-zhang-zhi-du(禮樂典章制度) which was extrinsic secured. But he emphasized a moral discipline(道德修養) which based on good nature in human rather than concentrate upon extrinsical li-yue-zhi-du(禮樂制度). And he emphasized a policy of benevolence(仁政) which based on a moral discipline. Second, About an acceptance and use of the concept of law, Confucius’s view about the law can regulate as a meaning of ‘penalties’. In other words, When someone was broken rites, it is ‘penalties’ that punish him as considering the person’s identity or position, and achievements. Therefore, Confucius’s view of the law can say not much different the traditional viewpoint since western zhou dynasty(西周) basically. However, Even though he is negative for it(the law), he is conscious being of the book written penalty(刑書) as written law(成文法). On the other hand, Mencius has been more clearly recognized Legalist school’s presence of the law more than Confucius’s ‘penalties’. In other words, he recognize the law as written law and penalty(刑罰). But he has had a negative attitude about the law. And he claimed that significantly reduce penalties. Especially he emphasized the role of man of virtue(君子) who is owned talent and virtue as the main agent to operate it. Therefore, although it was working the rites as the main and the laws as the subsidy, in the true sense, Xunzi(荀子) could was co-existed rite and law. And he used it as a tool to govern the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