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년대 시의 키치 양상 연구

        박동억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3 No.-

        What this article uses as the subject of discussio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pop culture in the 2000s. Analyzing these aspects, this paper was overwhelmed by the popular culture of poetry in the 2000sContrary to the conclusions of previous studies that they lost political and social consciousness, it is concluded that poetry in the 2000s was established within the agony of various ways of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society. This study distinguished the tendency to use kitsch as a sanction and to induce kitsch itself after examining the kitsch aspect of poetry in the 2000s. Chapter 2 examines works that use kitsch as a sanction in the digital society as a whole. We were able to reveal that these works are reproducing the ambivalent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society and human subjects while conducting criticism on Kitch. Meanwhile, Chapters 3 and 4 confirmed that there were two aspects in the 2000s of humanizing kitsch. Chapter 3 confirmed the use of kitsch in a way that alleviates internal conflict by adding cartoon and fairy tale images to anxiety and hostility toward reality. Conversely, Chapter 4 confirmed the tendency to strengthen the kitsch nature of kitsch reality by using pornographic images. Pornistic kitschish has the problem of being a mouthpiece of immoral desire, but it has the potential to be a way of confessing Queer's desire that is not socially approved. 이 글이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2000년대 시와 대중문화가 관계 맺는 양상이다. 이러한 양상을 분석하며 본고는 2000년대 시가 대중문화에 압도되었다거나 정치적‧사회적 의식을 상실했다는 선행연구의 결론과 달리 2000년대 시는 자아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정립 방식에 대한 고뇌 안에서 성립한다는 결론을 얻는다. 본 연구는 2000년대 시의 키치 양상을 광범하게 살핀 이후 일차적으로 키치를 제재로 삼는 시와 키치 자체를 인유하는 경향을 구분하였다. 2장에서는 디지털 사회 전반의 키치를 제재로 삼은 작품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이 작품들이 키치에 비판을 수행하면서 디지털 사회와 인간 주체가 맺는 양가적 관계를 재현하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한편 3장과 4장에서는 좀 더 세밀하게 키치를 인유하는 2000년대 시에 두 가지 양상이 있음을 확인했다. 3장에서는 현실에 대한 불안의식과 적개심에 만화적‧동화적인 이미지를 덧씌움으로써 내적 갈등을 완화하는 방식으로 키치를 활용하는 것을 확인했다. 반대로 4장에서는 포르노적 이미지를 할용하여 키치적 현실의 키치성을 강화하는 경향을 확인했다. 포르노적 키치시는 자칫 비도덕적인 욕망의 발화구가 될 수 있다는 문제를 지니지만, 사회적으로 승인 받지 못하는 퀴어의 욕망을 고백하는 하나의 방식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 KCI등재

        오규원 시의 정치성 연구

        박동억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3 No.-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political nature or perceptions of the city of Oh kyo-Won, including the third poetry collection For Children Not Princes(1978) to Love Prison(1991). The political awareness of the poet Oh kyu-won seems to start from the feeling that he belongs to the 4․19 revolution. His political perception is understood in three ways. First, he criticizes the "freedom" idealism, and uses irony to express the complex aspect that the word freedom can be a way to rationalize small-citizen greed and a discourse to rationalize the logic of domination. On the one hand, he criticized the fact that idealized notions of freedom and equality idea in a way that rather ignores the difference in real life. In order to throw away the abstraction of ideology, he uses sensory and emotional words such as 'dirty' and 'sadness' to make us critically recognize ideology at our daily level. Finally, poet Oh Kyu-won tries to overcome the abstraction of national ideology that replaces individual human suffering with ideological logic. He plans a day image to escape the human-centered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humans as the subject of describing the world. He presents an ecological perspective that recognizes nature as an endless continuum that responds to each other through the form of directives and lists. In summarizing these insights, Poet Oh kyu-won not only deeply understood that modern politics is not an institutional or legal rule. 오규원 시인의 시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미학적인 측면이나 생태학적․ 불교적․현상학적 사상의 측면에서 행해져왔다. 이에 비해 오규원 시의 정치적 측면은 창작의 제재로서 부차적인 것으로만 다루어지거나 극히 일부의 연구에서만 다루어져왔다. 이 글은 오규원 시의 정치성 또는 정치적 인식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 대상으로서 중기시에 해당하는 세 번째 시집 왕자가 아닌 한 아이에게 (문학과지성사, 1978)부터 후기시집의 일부인 사랑의 감옥 (문학과지성사, 1991)까지 수록된 작품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오규원의 정치적 자각은 자신이 4․19세대에 속해있다는 감각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규원의 규정에 따르면 4․19세대란 한문과 일본어가 아닌 한글로 교육받게 된 세대이자 4․19혁명을 체험함으로써 스스로 대문자 주체임을 자각한 최초의 세대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정치적 인식은 세 가지 양상으로 이해된다. 우선 그는 ‘자유’ 이데올로기를 중점적으로 비판하면서, 자유라는 말이 소시민적 탐욕을 합리화하는 방편이 되기도 하고 지배의 논리를 합리화하는 담론이 되기도 하는 복합적 양상을 드러내기 위해 아이러니를 활용한다. 한편으로 그는 이상화된 자유․평등 관념이 오히려 실정적 삶의 차이를 묵살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사실을 비판했다. 이데올로기의 추상성을 벗어던지기 위해서 그는 ‘더러움’과 ‘서러움’과 같은 감각어․감정어를 사용하면서 우리의 일상적 차원에서 이데올로기를 비판적으로 인식하도록 만든다. 그러한 감각어들은 현실을 자명한 것으로 합리화시키는 ‘논리’ ‘질서’ ‘이성’에 대한 저항의 기호로서 제시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오규원은 개개 인간의 고통을 이념논리로 치환하는 민족 이데올로기의 추상성을 극복하고자 한다. 그는 인간을 곧 세계를 서술하는 주체로 이해하는 인간중심적 관점을 벗어나기 위해 날이미지 시를 기획하게 된다. 그는 지시어와 나열의 형식을 통해 서로 호응하는 끝없는 연속체로서 자연을 인식하는 생태현상학적 관점을 제시한다. 이러한 통찰들을 종합할 때 오규원은 현대정치가 제도적․법률적 통치가 아닌 담론화되어 있고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내면화된 양식이라는 사실을 깊이 이해했을 뿐만 아니라 그 복잡성을 시 장르에 재현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인공지능 담론에 대한 현대시 연구 동향 ― 포스트휴먼 주체의 개념을 중심으로

        박동억 한국시학회 2023 한국시학연구 Vol.- No.76

        The assumption that, in the not-so-distant future, artificial intelligence poets will surpass human poets in their abilities and pose a threat to the position of human poets is a plausible one. Many contemporary researchers and creators in the field of poetry are seriously contemplating this assumption, and they are attempting to predict how the image of the "poet" and the societal norms and systems that could be referred to as "literary research centers" or "literary communities" will change in the emerging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se discussions can be broadly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two main theories. Firstly, there are discussions rooted in the humanist perspective, which emphasize the irreplaceability of the human poet. While there may be differences in how deeply they contemplate the potential of AI poets or whether they view AI merely as a tool, they fundamentally believe that the existential uniqueness possessed by human poets cannot be replaced by new technology. In contrast, discussions based on a post-humanist approach look at the changes that AI could bring about from both the creative and institutional aspects in a positive light. What is interesting is that in both humanist and post-humanist studies, "equality" is placed at the core as a fundamental value. This highlights the theme of democratic equality as a significant topic in the discourse surrou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can potentially exacerbate the economic disparity between those who possess the technology and those who do not. However, by undermining the authority of the creative subject, AI can help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artistic power. When considering these studies collectively, it can be concluded that both humanist and post-humanist discourses aspire to equal literary research institutions and literary communiti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question of whether to recognize AI as a poet should be preceded by an approach that responds to the assumption of what changes AI will bring about institutionally. What is needed in future research is a way to realize the equal rights of literary researchers and creators, regardless of the rapid changes in AI technology. Will AI-generated works or papers be acknowledged within the existing institutions, or will the institutions themselves be renewed and transition into new alternative systems based on AI technology? Many researchers' papers demand answers to these qu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