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문건강관리사업을 통한 재가 관절통증환자 집중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박금숙,정헌영,김영희,이경완,Park, Kum Sook,Jeong, Heon Young,Kim, Young Hee,Lee, Gyoung 대한예방한의학회 2014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8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of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for community dwelling Clients with Arthralgia. Method :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Elderly people who agreed t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30) or a control group (n=30). For an experimental group, The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was given as a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once a week for 8 weeks. Study outcomes were measur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August, 2013 to october. For data analysi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7.0. Results : Changes in pain, fatigue, medical service utilization and self management complia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pretest and posttest(t=-4.828, p < .001), (t=-4.944, p =.001), (t=2.176, p =.039), (t=3.141, p =.003).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left extension and flexion of knee(t=-2.241, p < .031), (t=2.166, p < .037). Conclusion : The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was effective on decreasing pain, fatigue, medical service utilization, and increasing flexibility of knee joint and self-management compliance of community dwelling clients with arthralgia.

      • KCI등재

        고온 산소분리막용 고강도 다공성 지지체 제조 및 기계적 특성 연구

        박금숙,성영훈,유지행,우상국,한문희,Park, Geum Sook,Seong, Young-Hoon,Yu, Ji Haeng,Woo, Sang Kuk,Han, Moon Hee 한국세라믹학회 2013 한국세라믹학회지 Vol.50 No.6

        Porous YSZ ceramics are fabricated using 3 mol% yittria-stabilized zirconia (3YSZ) and NiO with different particlesizes (0.6 and 7 ${\mu}m$). Nickel oxide (NiO) is added to the YSZ powder as a pore former with different amounts(40, 50, and 60 vol%) and at different sintering temperatures (1350 and $1400^{\circ}C$) are applied in order to evaluate the temperature effects on the pore and mechanical properties. Heat treatment is conducted after sintering at $700^{\circ}C$ in $H_2$ for the NiO reduction process; then, Ni is removed using a $HNO_3$ etchant solution. According to the NiO contentand sintering temperatures, 41-67% porous YSZ ceramic is obtained and the flexural strength increases, while the porosity decreases with an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The optimum flexural strength ($136.5{\pm}13.4MPa$) and porosity (47%) for oxygen transport porous YSZ membrane can be obtained with 40 vol% of 7 ${\mu}m$ NiO particle at a sintering temperature of $1350^{\circ}C$.

      • KCI등재후보

        1960년대 초 아동문학에 나타난 시대의식

        박금숙(Park, Keum-Soo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5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9

        이 글은 1960년대 초 아동문학에 나타난 시대의식을 연구하여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식을 알아보려는 글이다. 이를 위해서 1960년대에 일어난 사건들을 재현하거나 재창조한 동화와 동시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마해송의 「꽃씨와 눈사람」, 이원수의 「어느 마산 소녀의 이야기」는 4ㆍ19혁명이 일어나기 전의 시대의식이 나타난 동화작품이다. 「꽃씨와 눈사람」에 나오는 꽃씨는 힘없고 약한 민중들이고 눈사람은 이승만과 같은 지도자를 뜻한다. 이 작품에는 부정부패한 지도자가 눈사람처럼 녹아 사라지길 바라는 마음이 담겼다. 또 이원수의 「어느 마산 소녀의 이야기」는 4ㆍ19혁명의 불씨가 되었던 3ㆍ15항쟁의 리얼리티를 바탕으로 모사한 작품이다. 작가는 정의를 위하여 피흘리며 죽어간 어린 학생들의 죽음을 기억하여 이 땅에 다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않기를 바랐다. 또한 이원수의 동시 「아우의 노래」는 4ㆍ19혁명의 정신을 잊지 않으려는 작가의 마음이 담겼고, 윤석중의 동시 「오월에 얼음이 언다면」에는 당시의 4ㆍ11사태를 바라본 작가가 살아남은 자들, 특히 어머니들의 마음을 어루만져주고 위로하려는 마음이 생생하게 드러나 있다. 둘째, 김수영의 동시 「나는 아리조나 카보이야」에는 1960년 4ㆍ26 때 이승만이 하야하는 모습에서 작가가 아리조나 카우보이가 되어서 악당들을 물리치는 것처럼 신나는 모습이 들어 있다. 또 이원수의 동화 「땅속의 귀」에는 4ㆍ19 때 죽은자들이 죽어서도 자유에 대한 갈망이 얼마나 큰 것인지를 나타내 보여주고 있다. 또한 어렵게 찾은 자유를 다시는 도둑질당하지 않기를 바라는 저항의식과 작가의 바람이 들어 있다. 그리고 「토끼 대통령」에 나오는 호랑이 대통령은 무력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와 같은 사람의 비유이다. 여기에는 1963년 10월 15일 제5대 총선에서 올바른 지도자가 선출되기를 바라는 작가의 바람과 의식이 잘 나타났다. 위의 작품들을 볼 때, 작가는 천진하고 순수한 아동의 마음만을 작품에 담은것이 아니라 아이가 처한 상황을 직시하여 인간과 미래에 대한 희망과 신뢰를 주려고 노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study aimed to examine zeitgeist appearing i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early 1960s and figure out authors’ consciousness detected in literary works. Toward this end, it was concentrated on delving into fairy tales and children’s poems that reproduced events occurring in the early 1960s. First, Flower Seeds and A Snowman authored by Ma, Hae-Song and The Story of A Girl from Masan written by Lee, Won-Su are fairy tales that well represent zeitgeist prior to the April 19 Revolution. The flower seeds portrayed in Flower Seeds and A Snowman indicate weak and powerless ordinary people, and the snowman refers to a leader like Lee, Seung-Man. The fairytale well demonstrates feelings of ordinary people who want corrupt leaders to disappear like melting snowmen. The Story of A Girl from Masan authored by Lee, Won-Su is based on realistic description on the March 19th Uprising that lighted the fuse of the April 19th Revolution. The author remembered young students who risked their lives to find justice wishing that such a tragedy would not take place again on the Korean peninsula. A Younger Brother’s Song, a children’s poem written by Lee, Won-Su well expresses the author’s intention not to forget the spirit of the April 19th Revolution, and If Ice Forms in May, a children’s poem written by Yun, Seok-Jung well expresses the author’s desire to console survivors from the April 11th, particularly victims’ mothers. Second, I am an Arizonan Cowboy, a children’s poem written by Kim, Su-Young portrays the exciting images of the President Lee, Seung-man’s resignation during the April 26th Political Upheaval where the author feels elated as if he were an Arizonan Cowboy who defeated villains. Ears under the Ground, a fairytale authored by Lee, Won-Su well demonstrates a strong longing of the victims of the April 19th Revolution for freedom. It also well describes the author’s spirit of resistance and desire for retaining hard recovered freedom. In addition, the tiger president appearing in The Rabbit President portrays a person like Park, Jeong-Hee who took power by force of arms. It well expresses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desire for election of an upright leader in the 5th General Election on October 15, 1963. The above-mentioned literary works indicate that the authors made efforts not only to express pure and innocent children’s mind in their works, but they also endeavored to give hope for and show faith in human beings and future by looking straight at situations facing children.

      • KCI등재후보

        1930년대 『가톨릭 소년』지의 아동문학 양상 연구

        박금숙(Park, Keum-soo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4

        『가톨릭 소년』은 1936년 3월 창간호부터 1938년 8월호까지 2년 6개월간 총 27호가 발행되었다. 본 논문은 현존하는 『가톨릭 소년』 25권을 가지고 그 잡지에 소재한 아동문학 양상을 연구하였다. 『가톨릭 소년』 발간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문서 선교는 물론, 소년 운동과 직결되어 있다. 또한 1930년대 『가톨릭 소년』 을 무대로 활동한 작가와 문학 텍스트 현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결과, 『가톨릭 소년』에 동요와 동시, 동화, 소년 소설, 아동극, 우화, 일화, 전설, 탐험담, 수필, 작문, 아동문학 평론 등 작가를 비롯한 독자들의 작품 투고자는 247명이 된다. 장르별 작품 발표를 보면 동요 및 동시가 363편으로 제일 많았다. 다음으로 동화가 69편, 소년 소설이 21편, 아동극 5편, 우화 및 일화 18편, 전설 및 탐험담 8편, 수필 및 작문 14편, 아동문학 평론이 9편이다. 동요 및 동시 작품에서는 박영종, 강소천, 권오순의 작품들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윤동주 작품에 대한 고증도 처음으로 다루었는데, 그가 『가톨릭 소년』 에 발표한 동시들과 사후 발표된 시들이 조금 다른면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화, 우화 작품에서는 방수용의 「해와 달이 된 남매」, 김상덕의 「망두석 재판」, 김복진의 「은혜 갚은 두꺼비」 등 전래 이야기 화소의 창작화 과정 및 동물 애호담의 특징적 양상이 두드려졌다. 그 외에도 노양근, 전상옥, 김복진 등 ‘조선’ 동화의 기획은 이들이 시도한 남다른 집필 활동으로 파악되었다. 또 동화에서는 강소천, 황덕영, 안수길, 김성도의 작품 분석이 이루어졌다. 소년 소설에서는 권오순, 안상, 조관호, 김독영의 작품이 다루어졌다. 아동극에서는 안수길의 「꽃과 나비」, 고장환의 「네거리의 짝크」와 종명의 「방지거지와 소아」, 「기다리는 마음」 두 편과 김규은의 「에뿐얼굴」 작품 분석이 이루어졌다. 『가톨릭 소년』에 실린 아동문학 작품들을 통해 일제강점기 만주지역에서 이루어졌던 우리 아동 문학가들의 삶, 더 나아가 어린이 청소년들의 삶과 고뇌까지 이해하게 되었다. 또한 『가톨릭 소년』은 1930년대 후반 한국 아동문학사를 받쳐 준 하나의 축으로써 중요한 기능을 담당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total of 27 Catholic Boy issues were published for two years and six months from March 1936 to August 1938. This study analyzed 25 issues of Catholic Boy currently available, mainly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hildren’s literary works.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surrounding Catholic Boy is directly related to the boy’s movement and missionary work through texts. In addition, a systematic summary of the writers and literary texts of Catholic Boy showed that a total of 247 individuals, including authors and reader contributors, had contributed works in the form of children’s songs, children’s poems, children’s stories, boy stories, juvenile dramas, fables, anecdotes, legends, exploration stories, essays, compositions, and critiques of children’s literature. According to genre, children’s songs and poems were the most frequent with 363 pieces. There were 69 children’s stories, 21 boy stories, 5 juvenile dramas, 18 fables and anecdotes, 8 legends and exploration stories, 14 essays and compositions, and 9 critiques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analysis of children’s songs and poems, the unexplored works of Lee Sang, Park Yungjong, Mok Ilsin, Kang Sochun, and Kwon Ohsoon were studied. Furthermore, historical research on Yoon Dongju’s work, conducted for the first time, showed that his children’s poems first published in Catholic Boy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his later publications. Analysis of children’s stories and fables showed the creative processing of episodes as well as characteristic animal protective tendencies in traditional fairy tales such as The Brothers and Sisters that Became the Moon by Park Sooyoung, Tombstone Trials by Kim Sangduk, and The Toad that Repaid the Favor by Kim Bokjin. In addition, the planning of “Chosun” children’s stories by Noh Yanggeun, Jun Sangok, and Kim Bokjin were identified as extraordinary writing activities that they had attempted. In this study, children’s stories by Kang Sochun, Hwang Dukyoung, An Soogil, and Kim Dosung were also analyzed. Juvenile dramas such as An Soogil’s Flower and the Butterfly, Ko Janghwan’s The Couple of the Intersection, and Jong Myung’s The Beggar and the Child, The Waiting Mind, and The Pretty Face were also analyzed. We were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lives of the authors in Manchuri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s well as the life and agon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the children’s literary works that were published in Catholic Boy. Furthermore, Catholic Boy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pivotal axis supporting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late 1930s.

      • KCI등재후보

        강소천 동요 및 동시의 개작 양상 연구

        박금숙(Park, Keum-Sook),홍창수(Hong, Chang-Soo) 한국아동문학학회 2013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5

        이 글은 강소천의 초기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동요 및 동시들을 중심으로 개작의 양상을 살펴본 글이다. 강소천의 작품들을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목의 수정과 시적 서정의 강화’에서는「옛날 얘기」에서「겨울밤」(개작본1), 「겨울밤1」(개작본2)으로 바뀐 시와「하늘」이란 제목에서「조그만 하늘」로 바뀐 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자에서는 할머니가 옛날 얘기 하나 들려주는 따뜻하고 정겨운 장면과, 춥고 어두운 겨울밤이 명료히 대비되어 시의 서정성이 한층 풍족해졌다. 후자에서는 ‘하늘’이란 제목에 비해 ‘조그만’이란 수식언이 첨가됨으로써 독에 비친 하늘의 조그맣고 동그란 모습이 그려져 시의 은유와 의미가 더 명료해지고 한층 좋아졌다. 둘째, ‘어절의 첨삭과 의미의 명료성’에서는 「잠자리」와「보슬비의 속삭임」,「둘이둘이 마주앉아」세 편의 시를 살펴보았다.「잠자리」에서는 어미형의 변화로 아기 잠자리가 떠나야 하는 그 상황이 더 처량하고 측은해 동정과 연민이 들도록 하였다. 또 첨삭으로 시가 더 깔끔해졌고 시를 읽는 독자의 시선이 잠자리의 시선을 따라 가게 해서 여운을 남겨 서정성이 깊어졌다.「보슬비의 속삭임」에서는 ‘만진다’는 촉각적인 이미지 표현으로 더 구체적인 심상이 떠올라 의미가 명료해졌다. 「둘이둘이 마주앉아」에서는 시어의 변화, 연과 행의 바뀜, 제목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이들의 변화로 시를 읽는 독자들도 시의 화자와 같은 위치에 서게 되면서 정겨움과 따뜻함을 동시에 느끼게 해주었다. 셋째, ‘체제 이념의 포기와 동심의 회복’에서는,「자라는 조선」에서「자라는 나무」로 제목이 바뀐 시와「가을 들에서」에서「가을 뜰에서」로 바뀐 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자라는 나무」는 ‘조선’이라는 국가명을 쓰지 않고 ‘나라’라고 지칭하게 되자, 시가 어느 시대에도 읽힐 수 있도록 시의 보편화가 이루어졌고 동심을 회복했다.「가을 뜰에서」는 사물들을 열거하고 뒤에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들을 따로 배치하여 정돈된 인상을 주면서 5?7?7조의 운율을 형성하여 리듬감을 부여해 주었다. 결론적으로 강소천의 초기 시에 대한 개작으로 시가 한층 더 좋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자신의 시에 대한 애정이나 정성의 결정이며, 모국어에 대한 시인의 책임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이영철 동화의 특징 연구

        박금숙(Park, Keum-soo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6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1

        이 글은 『어린이』지에 발표한 이영철 동화의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쓴 논문이다. 이영철의 작품 속 내용의 주제를 살펴본 결과 뚜렷하게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이 있었다. 첫째는 정의와 자유에의 갈망이었다. 그러한 작품으로 「지독한 숫탁」, 「울지 안튼 민충이」, 「뽐내던 불거지」가 대표적이었다. 이 작품들 속에는 일본의 침략에 대한 작가의 분노와 정의와 자유에 대한 열망이 은유와 알레고리로 숨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는 자기만족과 남을 위한 삶이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붉은양옥집」, 「장미와 달팽이」, 「작은 나사못」, 「오리색기」가 있다. 그중에서 「붉은 양옥집」, 「장미와 달팽이」를 살펴본 결과, 작가의 어린 시절 경험이 작품 속에 녹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붉은 양옥집」은 서구화의 문물을 부러워하거나, 일본이 내선 정책을 펴기 위해 가져온 문물들에 현혹되는 것을 경계하고 우리 것에 자부심을 갖자는 의식이 알레고리로 숨어 있었다. 셋째는 교만함과 잘난 체의 경계이다. 해당되는 작품으로는 「교만한모밀」, 「오리색기」, 「장미와 달팽이」, 「까마귀」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 서 「교만한 모밀」과 「오리색기」 두 작품을 연구해 본 결과, 작가는 교만하고 잘난 체하는 인간들의 행동이 얼마나 어리석으며 스스로를 파멸하게 하는지 「교만한 모밀」을 통해 우회적으로 보여 주었다. 또한 「오리색기」에서 교만함과 잘난 체는 자기 자신의 파멸은 물론 남에게도 피해를 주기 때문에 경계해야 된다는 교훈을 어린 독자들에게 우회적으로 전달하려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살펴본 것처럼 이영철의 작품 속에는 당시의 상황들과 묘사들이 알레고리로 숨어 있는 것은 물론 일제 침략에 대한 저항 의식이 치열하게 묘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글에서뿐만 아니라 이영철은 자신의 신념을 몸소 행동으로 보여 주며 일제의 만행에 항거했던 작가이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Lee, Young-cheol’s fairy tales published in Journal Child. As for the methods, three characteristics stand out as a result of examination on themes ofLee, Young-cheol’s works. First, it was desire for justice and freedom. Cases in point include An awful rooster, Min-chung who didn’t cry and An arrogant minnow. These works contained the author’s fury against Japanese invasion and desire for justice and freedom through the use of metaphor and allegories. Second, it was self-satisfaction and life for others. Cases in point include A red western-style house, Roses and snails, A small screw spike and A duckling. As a result of examination on A red western-style house and Roses and snails, it turned out that the author’s childhood experiences were contained in his works. A red western-style house aimed to prevent people from feeling envious of western civilization or being deluded by things that Japan brought in to conduct ‘Korea and Japan are One’ policy. Third, it pertained to vigilance against arrogance and pretense. Cases in point include Arrogant buckwheat, A duckling, Roses and snails and A crow. As a result of examination on such two works as Arrogant buckwheat and A duckling, it turned out that the author was focused on indirectly telling through Arrogant buckwheat how stupid and self-destructive arrogant and pretentious people can be. The author also intended to circuitously tell children to guard against arrogance and pretence because they are not only self-destructive but also cause damage to others. As examined above, Lee, Young-cheol’s works not only expressed circumstances and descriptions of the time based on allegories but they also intensely described a sense of resistance against Japanese imperial rule. In addition, Lee, Young-cheol resisted against Japanese atrocities by putting his belief into practice for himself going beyond journalistic works.

      • KCI등재후보

        ICT 시대에서 119 구급대원의 폭력경험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소진의 연관성

        박금숙(Keum Suk Park),최성우(Seong Woo Choi) 한국전자통신학회 2016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11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이 지각하는 폭력경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소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광주·전남지역 소방본부 소속 구급대원 총 795명 중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119구급대원 39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119구급대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19.56±9.29점(총 54점)이었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의 대상자 분포는 ‘잠재적 스트레스군’(9∼26점)이 63.1%, ‘고위험군’(27점 이상) 26.5%, ‘건강군’(8점 이하) 10.4% 순이었고, 소진정도는 평균 2.40점(총 5점)이었고, 소진의 하부영역별로는 ‘개인적 성취감’(2.52점), ‘정서적 탈진’(2.40점), ‘대인관계’ (2.37점), ‘비인격화’(2.23점) 순이었다. 119구급대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근무지역, 현재근무부서, 현부서 근무지속 희망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소진 정도는 근무지역, 가구 1년 총소득, 현재부서, 현부서 근무지속 희망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근무지역, 현부서 근무지속 희망여부, 언어적 폭력이 영향을 주었고(R²=12.9%), 소진은 현부서 근무지속 희망여부, 근무지역, 언어적 폭력이 영향요인이었다(R²=14.5%).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orrelations among experience of violence, psychosocial stress and exhaustion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total, 393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using an organized essay-type questionnaire. To determine psychosocial stress and exhaustion factors,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results, psychosocial stress factors were work units, the hope to keeping working in the present department, and verbal violence (R²=12.9%), and the exhaustion factors were hope to keeping working at the present department, work units, and verbal violence (R²=14.5%).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strategies to deal with violence against subjects are educational programs to prevent violence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s to decrease psychosocial stress, as well measures to improve the emergency rescue environment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박금숙(Keum Sook Park),김혁준(Hyuk Joon Kim),김신희(Shin Hee Kim) 한국간호연구학회 2022 한국간호연구학회지 Vol.6 No.3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ability, caring character, and cultural competence on the nursing student’s core competency. Methods :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61 fourth year students at a nursing university in I Cit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Octover 10th to the 30th of October, 2021.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26.0 program. Results : The mean scores for communication ability, caring character, cultural competence, and nursing core competency were 3.82, 4.33, 3.95 and 4.32, respective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ommunication ability, caring character, cultural competence and nursing core competency.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core competency were caring character(β=.62, p<.001), cultural competence(β=.17, p=.003), and communication ability(β=.14, p=.009) with 56.7% of the variance explained by these variables. Conclusions : Students must improve their nursing core competency through education programs while at universit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caring character and cultural competence through curriculum development at nursing school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기공체조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 -신체적 건강상태, 낙상에 대한 두려움, 균형 자신감, 화병을 중심으로-

        박금숙 ( Kum-sook Park ),정헌영 ( Heon-young Jeong ),김영희 ( Young-hee Kim )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16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27 No.4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Qi-gong Exercise program on the physical health status, the fear of falling, balance efficacy, and Hwa-Byung in the elderly.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52 elderly subjects who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6 subjects in each group). Study out-comes were measur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July 2015 to October 2015. For data analysis, the Chi-square test, the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the Mann-Whitney U test, the paired t-test, and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0.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ysical health status (Z=12.000, p<.001), balance efficacy (Z=60.500, p=<.001), and Hwa-Byung (Z=20.500, p=<.001) between the two groups in pre-test and posttest. Conclusions: Th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Qi-gong Exercis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hysical health status, balance efficacy, and Hwa-Byung in the elderly subjects in the community. It can be recommended as a public health program for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