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반복 학습 제어의 수렴 특성에 관한 연구

        박광현,변증남,Park, Kwang-Hyun,Bien, Z. Zenn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38 No.4

        본 논문에서는 반복 학습 제어의 수렴 특성에 대해 다룬다. 우선, 기존의 ${\lambda}$-노옴을 사용하여 반복 학습 법칙의 수렴성을 증명한 것과는 달리 상한노옴(sup-norm)을 사용한 수렴성 증명방법을 보인다. 또한, 구간화된 학습 방법을 사용한 반복 학습 법칙을 제안하고, 임의의 시간구간에 대해 상한노옴 관점에서 출력 오차의 단조감소적 수렴 특성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구간화된 학습 방법에서의 나누어진 시간 구간이 학습 이득값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이고, 적절한 학습 이득값을 선택함에 따라 학습 속도가 증가함을 보인다. 제안한 반복 학습 법칙의 유효성을 보이기 위하여 두 가지 수치 예를 보인다. In this paper, we study the convergence property of iterative learning control (ILC). First, we present a new method to prove the convergence of ILC using sup-norm. Then, we propose a new type of ILC algorithm adopting intervalized learning scheme and show that the monotone convergence of the output error can be obtained for a given time interval when the proposed ILC algorithm is applied to a class of linear dynamic systems. We also show that the divided time interval is affected from the learning gain and that convergence speed of the proposed learning scheme can be increased by choosing the appropriate learning gain.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two numerical examples are given.

      • 시각과 청각 자극이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광현,김유민,김현아,서한빛,손원빈,송은지,신수진,안하림,이충정,조민옥,김민희,Park, Kwang-Hyun,Kim, Yu-Min,Kim, Hyun-A,Seo, Han-Bit,Son, Won-Bin,Song, Eun-Ji,Shin, Su-Jin,Ahn, Ha-Rim,Lee, Choong-Jung,Cho, Min-Ok,Kim, Min-Hee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16 PNF and Movement Vol.1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on the ability to perform exercise. Methods: One hundred twenty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Green light and Fast tempo music, GF; Green light and Slow tempo music, GS; Red light and Fast tempo music, RF; and Red light and Slow tempo music, RS). One of either two visual stimuli or one of two auditory stimuli were applied to each grou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randomly twice in two environments: one had visual and auditory stimuli and one had no stimulation. Muscle strength, grip, endurance, quickness, agility, concentration, and balance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ability to perform exercis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uscle strength of the participants who were exposed to the auditory factor and the interaction of visual and auditory factors. In endura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of the factors: visual, auditory, and the interaction of visual and auditory. In quickness, agility, and balance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sual factor. In concentr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uditory factor. Conclusion: Visual stimuli, auditory stimuli, and their interaction influenced the ability to perform exercise. These facts imply that providing the proper environmental stimulation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ability to perform during exercise.

      •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손 발 오염감시기 제어부의 설계 개발연구

        박광현,배현덕 ( Kwang Hyun Park,Hyeon Deok Bae ) 충북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1990 산업과학기술연구 논문집 Vol.4 No.2

        Abstract_Roman The environmental hazard facilities and nuclear facilities which treat rad- ioactive materials are being increased continuously, and many health physics equipments are also needed in these facilities but most of the equipments are importe

      • 한옥 공소의 목구조 방식에 나타난 민간 기술자의 솜씨

        박광현(Park Kwang-Hyun),김태영(Kim Tai-Young)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9 No.1(계획계)

        This paper is aimed to clarify craftsmanship of non-educated constructor in timber structure of korean-style secondary station(Gong-So). We analyze Roman Sin-Sung and Su-Bun secondary station which post-lintel was 2Go-Ju 5Ryang in Jeon-Buk area. We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ly, the clear span is different types of the layout. This has lots of space for number of persons with the introduction of a basilica plane. Secondly, they constructed the holy space by using high columns(Nae-Jin-Go-Ju). It caused the problem with eaves(Chu-Nyu) and rafter, solved the problem by reinforcement and replacement. Thirdly, the elements showed the natural feature such as irregular wooden floor, arch-type head pentrating tie and a ceiling. In the end, we know that non-educated constructor have found a way out in the problem for accepting unreasonable work.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재정결정의 불복에 관한 고찰

        박광현(Park, Kwang Hyu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2 江原法學 Vol.36 No.-

        2007년 개정 형사소송법은 독일의 기소강제절차(Klageerzwingungsverfahren)에 가까운 형태로 재정신청절차를 새롭게 설계하면서 재정신청의 확대와 남신청의 억제 사이의 균형유지를 기본적 관점으로 구상하고 재정신청의 대상범죄를 모든 범죄의 고소인과 형법 제123조 내지 제126조 범죄의 고발인으로 전면 확대하는 한편 법원의 재정신청 결정에 대해서는 불복할 수 없다고 규정하였다. 재정신청이란 검사로부터 불기소처분 통지를 받은 고소인 및 일부 고발인이 고등검찰청의 항고절차를 거쳐 고등법원에 그 처분의 당부를 판단하게 해달라고 하는 절차를 말한다. 현행 형사소송법은 제262조 제4항에서 ‘재정신청에 대한 인용 또는 기각 결정에 대해 불복할 수 없다’고 명문으로 규정하였는데 동법 제415조의 재항고 규정과 관련하여 이 불복에 재항고가 포함되는지 여부가 논란이 되었다. 그런데 헌법재판소 2011. 11. 24. 2008헌마578 결정에서 헌법재판소는 고등법원의 재정신청 기각결정에 대해 대법원에 재항고할 수 없다고 해석하는 한 헌법에 위반된다는 한정위헌결정을 하였다. 이번 결정으로 고등법원에서 기각결정을 받은 재정신청인은 형사소송법 제415조 재항고 규정에 따라 기각 결정이 재판에 영향을 미친 헌법ㆍ법률ㆍ명령 또는 규칙의 위반이 있음을 이유로 대법원에 즉시항고를 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여전히 헌법 제107조 제2항과 관련하여 재정신청의 인용결정에 대한 재항고 여부판단 및 헌법재판소와 대법원과의 관계에서 헌법재판소의 한정위헌의 기속력과 관련된 문제는 아직 남아있다. 그리고 형사소송구조와 재정신청제도의 적합성 문제와 재정신청 절차의 소송법상 지위를 검토하는 동시에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재정신청 결정에 대한 불복의 판례를 살펴봄으로써 피해자의 재판청구권과 피의자의 불안정한 지위 사이의 비교 형량을 통한 조화로운 해결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회복적 사법의 형사조정에 관한 고찰

        박광현 ( Kwang Hyun Park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4 法과 政策 Vol.20 No.1

        전통적 형사사법에서 국가형벌권의 목적은 형사절차를 통해 구현되는데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여 죄 있는 자를 벌하고 죄 없는 자를 벌하지 않는 실현과정이다. 그런데 위험사회의 도래로 다양한 위험원으로부터 법익을 보호하기 위해 형사특별법이 비대화되었고 이로 인해 형사사법의 비용증가와 공판중심주의로 인한 사법기관의 제한된 인적·물적 자원은 범죄피해자보호법상 형사조정제도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이런 이유로 미국, 독일 등 세계 각국이 회복적 사법을 통해 전통적 형사법을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것이다. 회복적 사법이란 피해자와 가해자 또는 지역사회 구성원 등 범죄사건 관련자들이 사건 해결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피해자와 지역사회의 손실을 복구하고 당사자들의 재통합을 추구하는 일체의 범죄대응 형식을 총칭하는 개념으로서 자율성, 갈등해소, 손해배상 및 회복 등을 핵심요소로 하고 있다. 이는 범죄를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파악하여 당사자 및 지역사회를 함께 참여시켜 사회적 관계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물론 이 제도에 관하여 형사소송의 이념인 실체적 진실의 발견과 부합하지 않고 피의자·피고인의 헌법상 기본권을 침해하며 민사사건을 형사절차를 통해 손해배상 등 원상회복으로 합의함으로써 민사사건을 형사화하는 등 법치주의를 역행한다는 이유로 반대하는 견해도 존재한다. 그러나 형벌의 목적이 응보뿐만 아니라 예방에도 있으므로 보충성원칙 및 사회적 통합을 이루기 위해 형사조정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가해자가 사회 복귀적 형벌집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특별예방과 일반인의 규범의식을 강화하고 규범의 안정화를 가져오는 일반예방 효과도 동시에 거둘 수 있다. 국가형벌권 행사에서 형식적 획일성에 의해 범죄인에게 형벌을 부과하기 보다는 피해자의 의사를 반영하고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대화를 통한 문제해결에 접근함으로써 구체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형사조정제도는 전통적 형사사법과의 관계설정에서 부차적으로 보완관계를 유지해야 하며 형법도그마와 법치국가적 형사절차의 틀 내에서 그 존재 의의를 찾아야 한다. 현행 범죄피해자보호법상 형사조정제도는 조정대상 범위 및 조정의 효력에 관해 명확히 규정되지 않아 수범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형사조정의 시기에 관하여도 공소제기 전에만 가능하다는 점도 사회적 합의를 통해 개선되어야 한다. 결국 전통적 형사사법이 피해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체계화 되었지만 형사조정제도는 피해자에 대한 배상과 화해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대화 과정이므로 피해자 보호의 이념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late 20th century, intensive policies of the punitive criminal justice system were lack of ability to deal with the crimes which were inundated qualitatively. Some scholars are criticizing the current criminal justice system for the absence of proper care for the criminal victims, which leads to the consideration of the introduction of the restorative justice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criminal justice system. In recent years Korea Prosecution has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for Criminal Mediation Program based on the restorative justice, which provides a new paradigm in criminal justice system. The Crime Victim Protection Law in Korea provides the contents of the criminal mediation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establishing ground laws to the criminal mediation system. it seems that the criminal mediation recently enacted is settling down for its usefulness and increasingly used in real work. The criminal mediation is a informal process whereby the victim and the offender of the crime meet with a trained and effective resolution with an emphasis on repairing the harm from the Crime. In the process of restorative justice,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relationships among victims, offenders and community. In addition, it can minimize the side effect of traditional punishment, such as branding and desocialization of offenders. The criminal mediation will be a good solution which is superior to criminal justice. Restorative justice is a response to crime, suggested as a complement or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criminal justice. Restorative justice can be at all stages of criminal procedure from before the accusation to correction. But restorative justice, on the basis of voluntary participation, cannot replace conventional criminal justice. And restorative justice functions well when criminal justice is operated fairly. The Subject of the current criminal mediation is limited to the minor crimes. Also because a victim closely related to the prosecutor`s office, there is a question of neutrality. Moreover, it often happens that a mediator does not get sufficient information of cases. In addition, the issue of restoration of relationship of parties is no dealt with so well because mediation has worked so excessively to achieve agreement of parties. However the restrictive role of the traditional justice is to be preserved. Also ‘the Criminalization of Civil Cases’ must be sublated. Restorative justice should be introduced in Korea as well to realize justice and develop confidence of the criminal jurisdiction from the civil society by reducing the work burden of the machinery of law and equally protect the rights of both victim and the off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