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점진적 최대 운동시 혈장 Glutathione Peroxidase 변화량에 관한 연구

        박계순,이왕록 한국운동과학회 2002 운동과학 Vol.11 No.1

        박계순, 이왕록. 점진적 최대 운동시 혈장 Glutathione Peroxidase 변화량에 관한 연구. 운동과학, 제11권 제1호, 77-84, 2002. 이 연구의 목적은 점진적 운동부하를 탈진적 수준으로 실시하여, 이때 점진적 운동 강도가 체내 항산화 효소인 글루타타이온 과산화효소(GPx)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피험자는 건강하고 심폐계 및 대사질환의 병력이 없고, 훈련되지 않은 대학원생 10명(28.2±2.6세)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사전실험에서는 3회에 걸친 트레드밀 달리기(Bluce protocol)를 실시하여 각 피험자의 50%, 60%, 70%, 80%, 90% 및 100%의 최대산소섭취량과 젖산역치(LT)를 획득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사전실험에서 획득한 각 운동시점(운동단계)마다 4㎖의 말초혈액을 채취하여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분석법을 통하여 체내 항산화 효소인 GPx를 측정하였다. 실험 분석 후, SPSS 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운동시점(운동강도)에 대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도는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전산 역치의 경우, 운동 개시 9분 시점부터 젖산 축적의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최대산소섭취량의 65.8%에 해당되는 강도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혈장 글루타타이온 과산화 효소의 경우, 운동강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어느 정도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상의 실험 처치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점진적 최대운동부하에 따른 각 단계별 운동강도는 GPx의 농도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Park, K.S., Lee, W.L The Change of Glutathione Peroxidase Concentration during the Progressive Maximal Exercise Test. Exercise Science, 11(1): 77-84, 20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plasma glutathione peroxidase(GPx) concentration during the progressive maximal exercise test and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 certain exercise intensity resulting in the high concentration of GPx. The subjects were 10 healthy graduate students(28.2±2.6yr) without any metabolic disease. In the 3 times pretest(treadmill running, Bruce protocol), the 50%, 60%, 70%, 80%, 90% and 100% of VO_2max were determined. In addition, the lactate threshold(LT) was analyzed during the pretest. In the head test, the concentration of plasma GPx were determined by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fter analysis, The mean and SD were determined by SPSS 8.0ver. and One-way ANOVA was applied as a statistic. The significance was .05. The results were shown that the LT(lactate threshold) was 65.8% of VO_2max.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the change of plasma GPx concentration. Therefore, it seemed that the concentration of plasma GPx could not be changed by a certain exercise intensity during the progressive maximal exercise.

      • KCI등재

        체중감량이 태권도 선수의 운동능력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박계순,박익렬 한국운동과학회 2004 운동과학 Vol.13 No.1

        박계순, 박익렬, 체중감량이 태권도 선수의 운동능력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3권 제1호, 65-76, 2004.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1주일의 감량기간 동안 2일 간격으로 자기체중의 0%(0kg), 3%(약 2kg), 6%(약 4kg), 9%(약 6kg)를 감량했을 때 선수들의 무산소성 운동능력, 유산소성 운동능력,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적절한 체중감량과 경기력 향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Y 대학교 경력 6년 이상의 태권도 선수 8명을 대상으로 운동, 식이조절, 발한 방법으로 체중감량을 실시하였으며, 운동능력의 측정은 Wingate test와 트레드밀 달리기를 이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이용하였으며, 각 측정 시기간의 차이 분석을 위해 대비검정(contrast test)을 실시하였다. 최대 무산소성 파워와 평균 무산소성 파워, 최저 무산소성 파워는 3% 감량 시기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 6%와 9% 감량 시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최대산소섭취량은 3%와 6% 감량시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운동지속 시간은 지속적인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0%와 9% 감량 시기 사이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백혈구수는 6%까지 계속 감소하다가 9%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B 세포와 T 세포, 보조 T 세포, 보조 T 세포/억제 T 세포 비율은 6%까지 증가하다가 9%에서 약간 감소하였다. NK 세포는 6%까지 유의하게 감소하다가 9% 시기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태권도 선수들에 있어 운동능력과 면역반응의 측면에서 부정적 영향이 최소한으로 감소되고, 면역반응이 경기 전ㆍ후 최상의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무산소성 운동능력은 3%, 유산소성 운동능력과 면역반응은 약 6%(약 4kg) 정도를 감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Park, K.S., Park I.R. The Effect of Weight Reduction on Exercise Capacity, Immune Response of Taekwondo player. Exercise Science, 13(1): 65-76, 200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ubjected to Taekwondo players weight reduction each time in 0%, 3%, 6%, 9%, weight reduction for a week(two days intervals) so as to examine closer the effect on changes Aerobic Exercise Capacity, Immune Response to provide necessary data for the right weight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play performance. The subjects were 8 Taekwondo players, who have excellent practical skills and have more than 6 years experience, executed weight reduction through the exercises, dietaries and exhalation of sweat as 'Y' university. The methods to measure Exercise Performance were cardiopulmonary endurance test by treadmill, Wingate test by Ergometer and the data were handled by repeated measure ANOVA and executed contrast test to analyze the differences each time of weight reduction. As reduced weight Maximal Anaerobic Power, Mean Anaerobic Power and Minimal Anaerobic Power were increased slightly in 3%, weight reduction but it decreased significantly in 6%, and 9%, weight reduction. ??O_(2)max decreased significantly in 3% and 6% weight reduction, Exercise Duration had a tendency to decrease each time weight reduction and decreased significantly between 0%, and 9%. WBC Count was shown decreases with weight reduction by 6% weight reduction and slight increased in 9% weight reduction. B, T, Th/Ts ratio were increase by 6%, but slight decreased in 9% weight reduction. NKcell was decreased significantly by 6% and increased in 9% weight reduction. Therefore, In terms of Anaerobic Capacity are 3%, Aerobic Capacity and Immune Response are 6%(4kg) being considered of self-weight reduced body's best level for weight reduction in Taekwondo players.

      • KCI등재

        점진적 최대운동 후 부가적인 산소흡입이 심폐기능과 회복기 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박계순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3

        박계순. 점진적 최대운동 후 부가적인 산소흡입이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2권 제3호, 367-375,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점진적 최대운동 후 회복기 부가적인 산소흡입이 연속되는 최대운동수행 시 심폐기능과 혈중젖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대학교 축구동아리 선수 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전과 사후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전실험은 1차 점진적 최대운동 후 부가적인 산소흡입이 없이 10분간 휴식한 다음 연속적으로 2차 점진적 최대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사후실험은 동일한 방법으로 1차 점진적 최대운동 후 회복기 부가적으로 산소를 흡입한 다음 2차 점진적 최대운동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심박수와 산소섭취량은 운동 후 회복기 부가적인 산소를 흡입함에 따라 연속되는 운동수행시 운동초기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둘째, 호흡교환율은 운동 후 회복기 부가적인 산소를 흡입함에 따라 연속되는 운동수행시 운동초기와 최대값에 있어서 유의하게 낮았다(p<.05). 셋째, 혈중 젖산농도는 운동 후 회복기 부가적인 산소를 흡입함에 따라 연속되는 운동수행 후 회복기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결론적으로 점진적 최대운동 후 회복기의 부가적인 산소흡입은 연속되는 운동수행시 운동초기에 동일한 운동강도에서 심박수, 산소섭취량의 감소, 호흡교환율의 감소 등 생리적으로 심폐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연속적인 운동수행 후 회복기에 혈중젖산 농도를 감소시킨다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권투와 같이 짧은 시간에 끝나는 운동에 유효하다고 하겠다. Park, G.S. The effects of oxygen supplement after an maximal exercise, come to changes i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blood lactic acid during second exercise. Exercise Science, 12(3): 357-375,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al oxygen supplement after an maximal exercise, come to changes i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blood lactic acid during second exercise. The subjects are 7 healthy amateur soccer players(25.40±2.54yrs). The experiments are divided into two parts, pre-test and the post-test. The pre maximal exercise tests were performed continuously without any additional oxygen supplement, and the post tests were the same except the inhalation of oxygen supplement during the recovery time after the first maximal exercises, then the second maximal exercise tests were peformed. The results of those tests were obtained as followed outcomes. First of all, the heart rate and the amount of oxygen intake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beginnings of the continuous exercise due to the additional oxygen intake during the recovery after an exercise. Secondly, respiratory exchange ratio(R) following of the additional oxygen intake during the recovery after an exercise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low as we see the results of the maximum value, and at the beginnings of the continuous exercise. Thirdly, blood lactic acid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recovering from the continuous exercise after the additional oxygen intake during the recovery after an exercise. In conclusion, the additional oxygen supplements during the recovery periods after the maximal exercises produced good results in the continuous exercises that would bring positive effects to the cardiopulmonary functions such as increased heart rate, also increased amount of oxygen intake, the decreased respiratory exchange ratio, and the reduction of lactic acid concentration during the recovery.

      • KCI등재

        중자력 자료를 이용한 황해 군산분지의 지질 구조 해석

        박계순,구준모,권병두,최종근 한국지구과학회 2009 韓國地球科學會誌 Vol.30 No.1

        We studied a structure of the Kunsan basin in the Yellow Sea using ship-borne magnetic data and altimetry satellite-derived gravity data provided from the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in 2006. The gravity data was analyzed via power spectrum analysis and gravity inversion, and the magnetic data via analytic signal technique, pseudo-gravity transformation, and its inver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pth of bedrock tended to increase as we approached the center of the South Central Sag in Kunsan basin and that the maximum and minimum of its depth were estimated to be about 6-8 km and 2 km, respectively. Inaddition, the observed high anomaly of gravity and magnetism was attributed to the intrusion of igneous rock of higher density than the surrounding basement rock in the center of South Central Sag,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interpretation of seismic data obtained in the same region. 황해 군산분지 지역의 지구조를 해석하기 위하여 2006년 획득한 선상 자력 자료와 Scripps 해양연구소에서 제공하는 고도계위성중력 자료를 이용하였다. 중력자료에 대해 파워스펙트럼 분석과 심도역산이 수행되었고, 자력자료 분석을 위해 분석신호기법과 가중력변환 및 이에 대한 역산을 수행하였다. 중자력 자료 분석 결과 남중소분지 중심부로 갈수록 기반암 심도가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나며, 기반암의 심도는 깊은 곳에서 6-8 km, 낮은 곳에서 약 2 km로 해석되었다. 또한 남중소분지 중심부에서 기반암 심도와는 달리 중력이상과 자력이상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주변 기반암보다 밀도가 높은 화성암의 관입에 의한 효과로 해석되며, 이는 동일지역에서 수행된 정밀 탄성파 해석 결과와 잘 부합하고 있다.

      • KCI등재

        머신러닝을 이용한 광역 금속 광상 배태 잠재성 평가 인자 분석

        박계순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20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23 No.3

        The genesis of ore bodies is a very diverse and complex process, and the target depth of mineral exploration increases. These create a need for predictive mineral exploration, which may be facilitated by the advancement of machine learning and geological database. In this study, we confirm that the faults and igneous rocks distributions and magnetic data can be used as input data for potential mapping using deep neural networks. When the input data are constructed with faults, igneous rocks, and magnetic data, we can build a potential mapping model of the metal deposit that has a predictive accuracy greater than 0.9. If detailed geological and geophysical data are obtained, this approach can be applied to the potential mapping on a mine scale. In addition, we confirm that the magnetic data, which provide the distribution of the underground igneous rock, can supplement the limited information from the surface igneous rock distribution. Therefore, rather than simply integrating various data sets, it will be more important to integrate information considering the geological correlation to genesis of minerals. 복잡하고 다양한 광상 생성 과정과 부존 위치의 심부화로 인하여 광물자원 탐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예측탐사의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최근의 머신러닝 기법의 활용성 증가와 광역 지질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상황을 고려하면, 예측탐사의 기반인 광상 배태 가능성 평가 기술의 신뢰도는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심층신경망을 이용하여 화성암과 단층 및 자력탐사 정보의 광화 인자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지질 정보의 수치화 기법으로 단층, 화성암, 자력 정보를 입력 자료로 구성하여 0.9 이상의 정확도를 가지며 예측 값이 안정적으로 수렴하는 금속 광상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었다. 이 기술은 추후 정밀한 지질 조사 결과와 물리탐사 정보가 확보된다면, 광화대규모에서의 예측 탐사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지하의 화성암 정보를 제공하는 자력자료를 활용할 경우 지표의 화성암 정보를 보완하여 보다 높은 성능의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단순히 많은 자료를 융합하는 것 보다는 광체 성인과의 지질학적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입력 자료를 구성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 KCI등재

        3차원 지질모델링을 이용한 가곡광산 광상 포텐셜 지도 작성

        박계순,조성준,오현주,이창원 한국지구과학회 2014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5 No.6

        In order to develop an effective mineral exploration technique, this study was carried out about the potentialmapping of Gagok mine. The deposit model of Gagok mine is widely known. Based on the deposit model, weconstructed mining indicator indices using related igneous rocks, faults, and carbonate rocks. By analyzing the spatialcorrelation between ore and indicator index structures, we decided the weighting values of indices according to thedistance from the index structure. The 3D potential mapping was performed using 3D geological model and geologicalindices. The analyzed potential map verified that the locations and patterns of high potential regions of the results werewell matched with those of the known ore bodies. Using the potential mapping results, we could effectively predict thelocation of a high potential area that has similar geological settings with ore. 효과적인 광물자원 탐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광물자원의 포텐셜 지도 구축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지역은광상 성인모델이 알려진 가곡광산으로 선정하였다. 성인모델을 바탕으로 관계화성암, 단층, 탄산염암 등의 지질학적 요인들을 평가 인덱스로 선정하였다. 각 요인들과 광체간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각 지질 구조 들로부터의 거리에따른 가중치를 해석, 가곡광산에 대한 포텐셜 지도를 구축하였다. 해석된 포텐셜 지도는 현재 알려진 광체의 위치에서높은 포텐셜 값을 갖으며, 높은 포텐셜 영역의 패턴 역시 광체 패턴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 결과는 추후 수행될자원 탐사 시 현재 알려진 광체와 유사한 지질환경을 갖는 영역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효용성이 높다 할 수 있다.

      • 구체적 조작 활동을 통한 길이의 양감 형성에 관한 연구

        박계순,정은실 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科學敎育硏究 Vol.2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rogram of concrete operational activity for the formation of quantitative-sense of length and to use it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to create the environment for students' measuring length through concrete operatioanl activit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crete operational activity on the formation of quantitative-sense of length. The subjects were 80(40 in an experimental group, 40 in a control group) students attending the 2n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in Chinju cit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test in the domain of a unit, comparison, measuring, estimation, sum and difference of length showed that the two group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only in the domain of estimation. Second, creating the environment for the students' measurement was helpful to develop estimation skill. Third, students formed quantitative-sense of length in the process of their own learning-plan and estimation activities. Fourth, students' ability of gathering and using useful materials for the estimation was improved by their own learning and co-operated learning. Fifth, homework for the estimation was also helpful to their attaining to the goals of learning. Sixth, the ability using mathematical knowledge in everyday life was improved naturally through developing estimation skills.

      • 무릎관절 상해의 해부학적 고찰 : 무용수를 중심으로

        박계순 울산대학교 1986 연구논문집 Vol.17 No.1

        무용수에 나타나는 무릎관절에 대한 상해를 알아보고 training과정에서 일어나는 상해의 요인과 결과를 관계되는 문헌을 통하여 조사한바 무용을 실시함에 있어 무리한 technic 시도와 옳지못한 무용연습환경, 또한 상해 발생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함이 무릎관절 상해의 요인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tomical analysis of Knee joint injuries in dancers by review. The Knee joint anatomcal factors, and the causes of injuries were reviewed Findings were as follows. 1. Knee joint injuries were due to faulty technique and incorrect assistant environment when dancers do plies, jump, squant position (grand plies) pirouette, tour en l'air, Rond de jambe en l'air 2. The Knee joint injuries come up poor practice and training on quadriceps and Hamstring. 3. Chronic Knee joint injuries were due not to accept doctor's diagnosis and prescription. When Knee injuries occur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