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몽골 학습자 대상 한국어 말하기교육의 개선 방향

        바트체첵 한국몽골학회 2016 몽골학 Vol.0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gr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s changes and define the compatibility of teaching approaches in order to improve Korean language speaking instruction best-suited for characteristics of Mongolian students based on the need analysis from stake-holder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provides the present state of Korean language speaking instruction in Mongolia, the needs and demands from teacher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ey factors necessary for making progre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in speaking instruction. The study has examined the present process of Korean language speaking instruc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nges in Mongolia. Moreover,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learning and teaching Korean language, Korean workers who are related to Korean institutions in Mongolia were participated in need analysis regarding Korean language speaking instruction. Based on the findings, two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study.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은 1990년대 즈음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몽골 내 한국어교육 연구자와 교사들은 그동안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이 발전하기 위한 논의와 연구를 수행해 왔고 적지 않은 연구 성과를 축적해 왔다. 몽골 지역 한국어교육이 양적․질적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출발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그 첫 번째는 몽골 학습자 대상 한국어말하기교육에 대한 연구가 미약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하였다. 즉, 몽골 지역 한국어교육의 연구는 다양한 영역에서 다루어지고있는데 필자는 몽골 내 한국어교육 연구 가운데 말하기교육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얼마나 차지하고 진행되었는지를 선행 연구를 통해서 살필 것이다. 몽골 지역 한국어교육을 다룬 연구는 2016년 현재 약 140편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몽골 한국어교육에 대한 학위 논문은 87편, 학술지 논문은 53편이었다. 학위 논문 중에서 한국어 말하기교육을 다룬 연구는 담화, 요청 화행, 거절화행을 다룬 3편의 논문이 있고, 학술지 논문에서 몽골 지역 한국어 말하기교육을 다룬 논문은 비판이론적 평가론과 관련지어 말하기교육을 언급한 지현숙(2012)가 유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몽골 지역의 한국어 말하기교육을본격적으로 다룬 연구는 매우 적다고 할 수 있다. 교통수단의 혁신과 다양한 소통매체의 발달로 구어 의사소통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한 이 시대에 몽골 학습자 대상 한국어 말하기교육을 다룬 연구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크다. 몽골 지역 한국어교육이 더 활성화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영역의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말하기교육을 다룬 연구도 보다 적극적이고 깊이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연구의 출발점 두 번째는 몽골 지역 현장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나 학습자 모두 한국어를 교수-학습할 때 가장 난감하고 어려움이 큰 영역이 말하기교육이라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필자가 몽골에서 한국어 학습을 한 후 한국에유학 와서 한국어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몽골인 학문 목적 학습자인 것이 근간이되었으며 동료 연구생과의 비판과 반성, 토론 등으로 축적된 학술 활동 경험이 기초가 되었다. ‘지금, 몽골 지역’을 염두에 두고 한국어 말하기교육을 실제적이고심도 있게 다룬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어서 수월성 있는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말하기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몽골 지역 한국어교육의 흐름과 변화를 살피고 한국어교육의 이해관련자(stake-holders)를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교육에 관한 요구 분석을 한 후몽골 학습자 대상 한국어 말하기교육의 개선을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진행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필자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몽골 지역 한국어 말하기교육은 현재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는 한국어 말하기교육에 대해 어떠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가? 셋째, 한국어 말하기교육이 수월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한 개선과 실천방안은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자는 문헌연구와 방문 조사를 통해 몽골 지역 한국어교육의 변화와 몽골 대학의 말하기교육의 현황을 살필 것이다. 또한 조사연구법이라는 연구방법을 통 ...

      • KCI등재

        볼 밀의 분쇄장에서 DEM 시뮬레이션을 통한 마찰계수 영향

        자갈사이항 바트체첵,보르 암갈란,오란치멕 쿨란,이재현,최희규 한국재료학회 2021 한국재료학회지 Vol.31 No.5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ptimal conditions of the friction coefficient using a discrete element method (DEM) simulation with various friction coefficient conditions and three different grinding media with various ball sizes in a traditional ball mill (TBM). Using ball motion of the DEM simulation are obtained using the optimal friction coefficient compared with actual motion; photographs are taken by the digital camera and the snapshot images are analyzed. In the simulation, the rotation speed of the mill, the materials and velocity of the grinding media, and the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the balls and the wall of the pot are fixed as the actual experimental conditions. We observe the velocity according to the friction coefficient from the DEM simulation. The friction coefficient is found to increase with the velocity. Milling experiments using a traditional ball mill with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as those of the DEM simulation are conducted to verify the simulated results. In addition, particle morphology change of copper powder is investigated and analyz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for the milling experiment.

      • KCI등재

        한국 구룡포산 천연 제올라이트의 이화학적 특성 및 Cs과 Sr 흡착 특성 연구

        바야르사이칸 바트체첵,김후식,추현욱,박종삼,임우택 한국광물학회 2023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6 No.2

        X-ray diffraction analysis, X-ray fluorescence analysis, thermal differential and thermos gravimetric analysis, cation exchange capacity analysis, and Cesium (Cs), Strontium (Sr) adsorp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natural zeolite from Guryongpo in Korea. As a result of X-ray diffraction analysis, minerals such as mordenite, heulandite, clinoptilolite, and illite are contained, and as a result of X-ray fluorescence analysis, elements such as SiO2, Al2O3, CaO, K2O, MgO, Fe2O3 and Na2O are contained, and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148.6 meq/100 g. As a result of thermal differential and thermos gravimetric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rmal stability was excellent up to 600℃. As a result of the adsorption equilibrium experiment over time, the equilibrium was reached within 30 min. for Cesium (Cs) and within 8 hr. for Strontium (Sr), and the adsorption rates of Cesium (Cs) and Strontium (Sr) were 80% and 18%,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single-component isothermal adsorption experiment, in conformed to the Langmuir model, and the maximum Cesium (Cs) adsorption amount was 131.5 mg/g, which was high, while the Strontium (Sr) maximum adsorption amount was 29.5 mg/g, which was low. In the case of the natural zeolite used in this study, the content of minerals including 8-rings such as clinoptilolite, heulandite, and mordenite is high, showing high selectivity for Cesium (Cs). 국내 포항 소재 R사의 구룡포산 천연 제올라이트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X-선 회절 분석, X-선 형광 분석, 열 시차·열 중량 분석, 양이온 교환능 분석 및 세슘(Cs), 스트론튬(Sr) 흡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X- 선 회절 분석 결과 모데나이트, 휼란다이트, 클라이놉티로라이트 및 일라이트와 같은 광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X- 선 형광 분석 결과 SiO2, Al2O3, CaO, K2O, MgO, Fe2O3 및 Na2O 원소가 함유되어 있었다. 양이온 교환능은148.6 meq/100 g이었으며 열시차 및 열중량 분석 결과 600℃까지 열적으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간에 따른 흡착 평형 실험 결과 세슘(Cs)의 경우 30분이내 스트론튬(Sr)의 경우 8시간이내에 평형에 도달하였으며세슘(Cs) 및 스트론튬(Sr)의 흡착률은 각각 80% 및 18%를 보이고 있었다. 단일 성분 등온 흡착 실험 결과Langmuir model에 부합하였으며 세슘(Cs) 최대 흡착량은 131.5 mg/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스트론튬(Sr) 최대 흡착량은 29.5 mg/g로 낮은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천연 제올라이트의 경우 클라이놉티로라이트, 휼란다이트 및 모데나이트와 같은 8-ring을 포함하는 광물의 함량이 높아 세슘(Cs)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몽골, 한국, 미국 천연 제올라이트의 특성 비교 분석

        바야르사이칸 바트체첵,김후식,김영훈,김정진,임우택,Battsetseg, Bayarsaikhan,Kim, Hu Sik,Kim, Young Hun,Kim, Jeong Jin,Lim, Woo Taik 한국암석학회한국광물학회 2022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5 No.2

        몽골(6종), 미국(1종), 한국(9종)지역에서 채취한 총 16종의 천연 제올라이트를 X-선 회절 분석, X-선 형광 분석, 열 시차, 열 중량 분석 및 양이온 교환능 분석을 통해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16종의 시료 모두 두 종류 이상의 광물상이 공존하는 혼합광 형태이며, 주로 클라이놉틸로라이트, 휼란다이트, 모데나이트 및 차바자이트와 같은 광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 시료에서는 운모 점토광물인 일라이트와 석영과 같은 광물이 불순물로 함유되어 있었다. X-선 형광 분석 결과 16종의 천연 제올라이트는 SiO<sub>2</sub>, Al<sub>2</sub>O<sub>3</sub>, K<sub>2</sub>O, CaO, Na<sub>2</sub>O, MgO 및 Fe<sub>2</sub>O<sub>3</sub> 산화물이 함유되어 있었다. 미국 천연 제올라이트인 U-1 시료가 223.3 meq/100 g으로 양이온 교환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몽골 천연 제올라이트에서는 M-6 시료가, 한국 천연 제올라이트에서는 K-1 시료가 각각 166.6 meq/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열시차 및 열중량 분석 결과 16종의 시료 모두 600℃까지 열적으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 하였다.

      • KCI등재

        매체형 전동밀의 실제 분쇄장에서 분쇄매체의 거동과 DEM 시뮬레이션의 비교연구

        BOR AMGALAN,자갈사이항 바트체첵,이재현,최희규 한국화학공학회 2019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7 No.6

        This study was performed the real motion and DEM simulation of ball motion using three different types of grinding media with different size and materials in media formation for optimization of process conditions in a traditional ball mill (media ball mill). In the simulati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ill, the material of the medium, the velocity of the medium, and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media and the wall of pot were fixed into the actual experimental conditions. The motion of various kinds of grinding media was quantitatively measured by setting the grinding zone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on the photographs taken and the snapshot images analyzed in the simulation. In addition, we observed the quantitatively measured value and the changed morphology of the sample and examined the correl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optimize the grinding media which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grinding zone under specific experimental conditions. 매체형 전동밀의 실제 분쇄장에서 분본 연구는 매체형 전동밀(전동 볼 밀)에서 매체선정에 관한 공정조건 최적화를 위하여, 직경과 재질이 각각 다른 3 가지 종류의 분쇄매체를 이용, 매체의 움직임을 실제 촬영하고 DEM 시뮬레이션을 병행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는 밀의 회전속도, 매체의 재질, 매체의 운동속도, 매체와 포트 벽면과의 마찰계수 등을 실제 실험조건과 동일하게 조건을 맞추었다. 다양한 종류의 분쇄매체의 움직임을 실제 촬영된 사진 및 시뮬레이션에서 해석된 스냅샷 사진 위에, 본 연구에서 정의한 분쇄장을 설정하여 해석함으로써 그 값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정량적으로 측정된 값과 분쇄시료의 변화된 모습을 관찰하여 그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따라서 특정 실험조건에서 분쇄장에 가장큰 영향을 주는 분쇄매체의 최적화를 제언 하고자 하였다.쇄매체의 거동과 DEM 시뮬레이션의비교연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