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약자의 진정성 추구 문화콘텐츠 체험으로서의 관광에 대한 성찰적 논의 - 관광활동 관련 안전 인식 비교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

        민웅기(Woong-Ki Min),김세현(Sehyun Kim) 한국문화경제학회 2024 문화경제연구 Vol.27 No.1

        이 연구는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진정성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체험 과 정으로서의 관광에 대한 성찰적 논의를 위해 관광활동과 관련한 안전에 대한 인식 차이 와 그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고찰한 논문이다. 본고에서는 설문조사 분석 대상인 사회적 약자를 구체화하기 위해 장애인, 다문화시민, 임산부 및 영유아자녀 양육 여성으로 범주화하고, 그들의 관광활동을 위한 물리적 환경 및 일탈·범죄로부터의 안전에 대한 일반 시민과 사회적 약자 집단 간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적 약 자의 관광활동 참여가 그들의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관광목적지 환경의 안전 인식 정도를 포함하여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 며, 최근 국내여행 경험이 없는 사회적 약자의 경우, 관광목적지에서의 일탈·범죄로부터 위험하다고 생각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더욱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의 내용은 진정성 추구 문화콘텐츠 체험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관광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 정책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safety in tourism activitie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the effects of tourism activities on their life satisfaction to have a reflective discussion on tourism as the experience of cultural content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s pursuit of authenticity. The socially disadvantaged questioned were categorized specifically into disabled people, multicultural citizens, pregnant women, and women rais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s of the general public and the socially disadvantaged on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tourism activities and safety from deviance and crime, and the effect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s involvement in tourism activities on their life satisfaction, including the perceptions of safety in the environment of a tourism destination. The analysis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perceptions of safety in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tourism activities and safety from deviance and crime.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o had no domestic travel experience recently, the more they perceived to be at risk from deviance and crime at a tourist destination, the more their life satisfaction decreased.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support policie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that enable tourism activities, which are the epitome of experiencing cultural content in pursuit of authenticity.

      • KCI등재

        관계성에 기반을 둔 관광객의 문화적 자기 특성의 차이와 융합적 관광상품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민웅기(Min, Woong-Ki)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2

        국제관광의 활성화 과정 속에서 다양한 문화권에 속한 관광객들이 시공간의 제약 없이 관광상품을 소비하기 시작했다. 관광활동을 통해 소비하게 되는 호텔, 관광목적지, 식품, 교통 등 다양한 관광상품의 유통체계는 문화융합적 온라인 마케팅 과정 속에서 더욱 다양화되고 있다. 그리고 이 같은 사회현상을 반영하여 관광객의 문화생활권에서 사회화된 관계적 문화특성에 따라 그들이 체험하는 공간에서 관광상품이 생산, 소비, 유통 과정 상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한국 관광지를 방문한 관광객 중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서구인 관광객들의 문화적 특성에 기반을 둔 내재화된 자아상에서 서로 다른 차이를 보였다. 관계의존적 문화, 관계회피적 문화, 자기주도적 문화의 정도를 살펴본 결과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서구인 관광객은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이제 미래사회에서는 관광객의 문화적 자아의 차이를 인정하고, 이를 고려하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문화융합적 관광상품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구촌 세계 시민으로서 체험할 수 있는 융합관광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관광상품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Touris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re increasingly consuming more tourism products as international tourism grows. Online marketing through cultural convergence has helped to diversify the distribution channels of tourism products like destinations, accomodations, food, transportation, etc. Besides, the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tourism products has depended more on rela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that touris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have in socialization. The study indicates that Korean, Chinese, Japanese, and Western tourists visiting tourist attractions in Korea showed differences in their inner self that featur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nationality. It also shows that there are clear differences among the tourists in aspects of overdependence on relations, avoidance of relationships, and authoritarianism.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e cultural differences in the self of tourists to develop cultural convergent tourism products that different nationalities can relate to.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tourism products through convergent tourism networks that help global citizens experience each other’s cultures.

      • KCI등재

        세계화 시대의 다문화가족의 확산과 국제관광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이론적 성찰

        민웅기(Woong Ki Min),김상학(Sang Hag Kim) 한국관광연구학회 2015 관광연구저널 Vol.2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connectedness of postmodern cultur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expansion of international tourism in the globalized world. It is also addressed how people construct a new cultural system by encountering the two major trends in many modern societies, multiculturalism and international tourism. The expansion of international tourism contributes to the regularization of the social order of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the creation of semantic openness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of the everyday life. Besides broadening individuals` experiential horizon, international tourism in a multicultural society encourages people to cultivate cultural receptivity, interaction skills, and cultural capability of a mature citizen. In addition, it makes possible to link the universal civic education policy and the multidimensional social integration policy. In other words, the social functions of international tourism and multiculturalism is to seek simultaneously both the social differentiation process promoting individualized value of a postmodern society and the dialectic process acknowledging cultural integration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other cultural codes. Finally, international tourism in a multicultural society provides an opportunity of the introspective interaction that enables an existing mainstream culture and a newly imported culture to accept and respect each other`s cultural values.

      • KCI등재

        다문화가족 이주여성들의 여가제약이 여가활동 참여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민웅기(Woong Ki Min),김상학(Sang Hag Kim) 한국관광연구학회 2014 관광연구저널 Vol.28 No.5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increasing in Korea, the leisure activity of the immigrant women has emerged into a central issue to understand their everyday lif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immigrant women’s individual resources and leisure constraints on their leisur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The role of their leisure involvement is highlighted as a potential moderator in the analysi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mmigrant women with more income indicate more leisur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but those who with more education indicate more participation and less satisfaction. Second, the increase of leisure constraints leads to the decrease of leisure participation only for the immigrant women with high leisure involvement, but not for with medium or low involvement. Third, the increase of leisure constraints lead to the decrease of leisure satisfaction only for the immigrant women with high or medium leisure involvement, but not for with low involve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자연환경 기반 한국 해양생태관광 활성화 방안 고찰을 위한 탐색적 연구: 1) 한국인 관광객 및 서구인 관광객의 환경에 대한 문화적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민웅기(Woong-Ki Min)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018 해양비즈니스 Vol.- No.39

        The study is an exploratory and descriptive research to come up with measures to revitalize the marine ecotourism in Korea. The marine ecotourism can be completed based on tourists commitments to the appreciation of values, beliefs, and norms in the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of marine natural environment. It can be supported by the application of the VBN(value-belief-norm) theory, that helps understand which psychological factors in tourists make them motivated to be involved in the marine ecotourism. The study is to verify a hypothesis that tourists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differs from their cultures, and perform a survey to see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Western tourists using some important variables of VBN theory through T-tests. An exploratory and descriptive analysis is performed to suggest a strategy to revitalize the marine ecotourism in Korea in the future.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Western tourists in some of environment-related important variables of VBN theory. Therefore, it is needed to plan the revitalization strategy of marine ecotourism in Korea, considering the cultural differences of tourists.

      • KCI등재
      • KCI등재

        공공성 기반 관광상품 소비문화에 내재한 상징적 경계에 대한 관광사회학적 고찰- 융합적 관광정책 적용을 위한 제언 -

        민웅기(Min, Woong-Ki)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본 연구는 관광분야에서 새롭게 고려되어야 할 정책 운영 가능성에 대해서 관광사회학적 관점에서 탐색적으로 고찰하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공공성 기반 관광활동에 실제로 참여하고 있는 조사대상자들과 심층면접을 진행했다. 면접 내용의 분석 결과 공공성에 기반을 둔 관광에는 다양한 삶의 상징적 경계들이 놓여있었다. 첫째, 공공성 기반 관광에 내재된 사회문화적 의미 경계는 노동으로서의 정체성과 여가로서의 정체성이 함께 내재해있었다. 둘째, 관광활동에 내재된 삶에 기저에는 일상생활과 탈일상생활이 함께 연결 또는 단절된 상태를 유지했다. 셋째, 관광 참여 행위자들의 의사소통영역은 감정 교류의 상호작용과 사회적 교환관계가 함께 경계지워진 상태로 함께 포함되어 있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포스트모던 시대의 관광정책은 수익성, 시장성에 대한 논의 외에 공공성에 기반한 관광활동의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회복할 수 있는 융합적 관광정책으로서 사람들의 삶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operation of a new type of tourism policy from the point of the sociology of tourism, and employed in- depth interviews of people who participate in the tourism activities based on publicnes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various symbolic boundaries of life in the tourism activities based on publicness. First, the sociocultural boundary in tourism activities based on publicness means that the activities have the identity as both of labor and leisure. Second, basically life in tourism activities allows everyday life and unusual life together to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Third, the communication of people who participate in tourism activities includes each boundary of emotion interaction and social interchange. Therefore, in this postmodern society tourism policies is required to improve people’s quality of life as convergence culture policy in order to restore the new social value of tourism activities based on publicness as well as considering its profitability and marketability.

      • KCI등재

        정보통신기술 기반 신(新)관광산업 범주에 대한 탐색적 고찰-기술과 문화의 융합 현상을 중심으로-

        민웅기(Min, Woong-Ki),김옥희(Kim, Ok-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3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facilitated the growth of cultural industries that feature the value of postmodernism. ICT has been actively in different industries, especially tourism where people frequently use it in searching tourism information, and further the experience in using ICT becomes commoditized as a tourism product. Recently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culture is happening across the culture industry, and the tourism industry can be said to lead the trend. Therefore the study explores the new emerging categories of tourism industry through searching literature that dealt with different theories of cultural sociology. ICT had a lot of influence over tourism, resulting in the industry being reinvented by human actions and things in actual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t changed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that is true especially in tourist activities like touring of history museums, shopping malls, and theme parks, experiencing of leisure sports, etc., leading time-space marketers to establish more different strategies. The new categories of tourism are expected to become more diversified by the interaction of human beings and environment in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culture.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포스트모던적 가치에 기반을 둔 문화산업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관광산업은 정보통신기술을 관광정보탐색에 이용하기도 하고, 정보통신기술의 체험자체가 관광상품으로 새롭게 창조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상품화 현상이나타나고 있다. 기술과 문화의 융합현상은 문화산업 전반에 걸쳐 최근 나타난 전반적인 현상이며, 관광활동은 그 대표적인 산업군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같이 새롭게 나타난 관광활동의 범주를 탐색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의 문화사회학적 관점에 근거를 둔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진행된 문헌고찰 및 해석 과정을 통해 진행되었다. 정보통신기술은 관광상품이 실재적 현실과 가상적 현실 속에서 인간행위와 사물을 통해 새롭게 변모하는데 많은영향을 끼쳤다. 이를 통해 시 공간 영역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역사박물관관광, 복합쇼핑몰관광, 테마파크관광, 체험형 레저스포츠관광 등의 형태로 구체화되었다. 결국 이 같은 변화로 시 공간을 자원화하는 문화상품의 마케팅 영역으로까지 그구현 과정이 다양화되었다. 앞으로 정보통신기술에 기반을 둔 새로운 관광산업 범주는 기술과 문화가 융합된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속에서 여러 가지 형태와 내용으로 변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