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험 음주군의 분류에 대한 고찰

        민상희,손애리,장사랑,문제은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20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Vol.21 No.1

        Objective: Instead of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of drinking type based on sex and gend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nature of drinking motives among high-risk drinkers, to develop preventive strategies. Methods: This research involved a cross-sectional study of adults aged between 19 and 59 years who stated that their drinking frequency over the past year had been more than once a month. They were selected in 2018 from a panel of subjects enrolled by existing domestic survey companies. The sample size and methods used for analysis were determined by considering demographically proportioned stratified sampling and monthly alcohol drinking rate. A total of 3,000 subject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Results: Men in their 30s and 50s and women in their 30s were identified as excessive drinking groups. A norm existed among men in their 50s that caused them to have difficulty resisting social pressure to drink. Among men in their 30s, there existed a strong tendency to drink for the purpose of socializing in a small, intimate in-group and a culture influenced by alcohol use as a show of masculinity. Unlike men, women in their 30s did not drink much for social or entertainment purposes but tended to do so mainly for personal reasons. Conclus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termining the nature of drinking motives, based on the behavior of different generations of high-risk drinkers.

      • KCI등재

        대학교육 학생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연구

        민상희,손애리,장사랑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0

        This study identified essential areas of student satisfaction by presenting questions concerning each educational area. The measurement tool of this study was develop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measure student satisfaction in university, we developed a tool comprising seven areas: curriculum and instruction; student advising, educational environment, student support, campus life, university image, and administrative services. A total of 54 questions were prepared, and 7 factors were derived. Cronbach’s alpha was 0.970 for all questions and ranged from 0.70 to 0.93 for each factor.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GFI 0.830, CFI 0.916, TLI 0.910, RMR 0.047, and RMSEA 0.047, which confirmed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Moreover, the convergent validity showed that the questions in this tool consistently described the component areas. Therefore, the research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measuring student satisfaction. 본 연구 목적은 대학교육의 학생만족도 영역에 대한 질문을 개발함으로써 학생 만족의 필수 영역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 교육수요자 FGI, 교육측정 전문가 자문을 거쳐 개발된 56문항에 대해서 S대학교 재학생 54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발 도구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개발영역과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대학의 학생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교과 과정 및 수업, 학생 지도, 교육 환경, 학생 지원, 대학생활, 학교이미지, 행정서비스 총 7개 영역과 54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mbach’α 이용한 결과, 전체문항에 대해서는 0.970, 요인별로는 0.70∼0.93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GFI 0.830, CFI 0.916, TLI 0.910, RMR 0.047, RMSEA 0.047로 연구 모델의 적합도가 양호하였다. 집중타당성 검증 결과, 개발된 문항들이 도구의 구성 영역을 일관되게 설명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학교육 학생만족도 측정도구는 학생만족도 측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베트남의 문화가치와 의사소통방식 - 홉스테드의 문화차원과 홀의 문화요인을 중심으로 -

        민상희 한국베트남학회 2020 베트남연구 Vol.18 No.1

        세계화 시대에 각 나라간의 교류와 협력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의사소통 방식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베트남의 문화가치 차원은 홉스테드의 문화가치차원에 따라 큰 권력거리, 집단주의, 낮은 불확실성 회피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홀이 제시한 고맥락 문화권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큰 권력거리는 호칭과 권위에 대한 중시 형태로 나타나고, 집단주의 문화는 의사소통방식에 있어 인간관계를 우선시 하며 개인의 의견보다 전체의 의견을 따라가는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낮은 불확실성 회피성향은 의사소통의 불명료함을 만든다. 베트남이 가진 고맥락 문화권의 특징은 구체적 단어보다는 상황과 분위기에 따른 함축적이고 암시된 의사소통 형태를 가져온다.

      • KCI등재

        상호 문화이해와 의사소통이 해외진출 기업의 조직성과에미치는 영향: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임석준,민상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8 국제지역연구 Vol.22 No.3

        What is the impact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n a ‘foreign’ company’s performance? We suggest that a firm’s localization is a bilateral process requiring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of the foreign and indigenous cultures. To assess this argument,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utual understanding (measured by power distance,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cross-cultural understanding)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t Korean firms employing Indonesian workers in Indonesia. Survey and statistical results indicate that firm performance was negatively affected by power distance and positively affected by cross-cultural understanding. The results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enhancing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for overseas operations. While it is necessary for Korean investors to understand local culture, educating local managers on Korean culture better enhanc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세계화의 진전으로 기업은 다양하고 이질적인 환경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본국과 현지의문화적 차이를 기업의 경영전략에 반영시키는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에진출한 한국기업에서 근무하는 한국 주재원과 인도네시아인 간의 권력거리, 의사소통만족, 문화이해 등 3개 변수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발견되었다. 첫째, 권력거리는 기업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현지 관리자들이 한국인에 비해 권력이 불평등하다는 것을 많이 느낄수록 기업조직 성과는 부정적인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의사소통 만족도가 높을수록 조직성과가 높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셋째, 주재원과 현지인간의 상호문화이해가 높을수록 기업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주었다. 즉 한 집단 내 두 이질적인 문화가 일방적이 아닌, 상호간 문화이해가 높을수록 조직성과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실증적 결과는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이 이질적 문화 환경에서 어떻게 조직성과를 이끌어 낼 것인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연구들은 한국인 주재원들이 현지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지만, 본 연구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조직성과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해외 진출 한국 기업은 한국 주재원의 교육에 투자하는 것보다는 현지인들의 교육에 투자하는 것이더 효과적이라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간접흡연 예방을 위한 금연구역 확대 정책의 방향

        서미경,민상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보건복지포럼 Vol.110 No.-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규제는 간접흡연으로부터 비흡연자를 보호할 수 있는 필수적인 조치이며, 흡연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는 인식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흡연자들의 흡연 장소를 제한함으로써 흡연자의 흡연율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한다. 간접흡연에 의한 피해는 충분히 인지되어 있으며, 세계적으로 금연구역의 확대 정책이 시행되고 또한 국민들의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 금연구역을 지정하여야 하는 공중시설의 범위는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규모의 면에서도 대형에서 소형으로, 부분 금연에서 완전금연시설로 강화하며, 공공시설부터 시작하여 민간영리시설로 확대하여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정책은 정책의 대상자들이 반대할 경우 확대가 어려우나, 모든 나라에서 적극적인 지지하에 이루어지는 정책이다. 금연구역이 확대되고 강화될수록 그 이익을 볼 사람은 해당 시설의 이용자, 해당 시설의 종사자들이다. 따라서 금연구역 확대 및 강화 정책은 지속되어야 하나,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홍보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하며, 정책의 전개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문제점을 감소시키는 지원책도 강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보건의료 연구를 위한 패널데이터: 리뷰 및 제언

        박나영 ( Nayoung Park ),민상희 ( Sanghee Min ),우혜경 ( Hyekyung Woo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2023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8 No.2

        Objectives: Several panel surveys have recently been accumulated for various purposes in Korea, and vast amounts of data have been built over a long period of time. However, there are still no networks or platforms that can provide integrated information about existing panel data. In this paper, panel data, which is widely used on healthcare research, was reviewed and future suggestions were proposed in establishing panel data. Methods: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9 types of panel data commonly used in healthcare research according to their status, sample composition, sample retention rate, survey items, and other characteristics. Results: The use of panel data is particularly useful for longitudinal analyses, such as examining health trajectories or identifying causal relationships with influencing factors. To utilize panel data effectively for healthcare research, efforts are needed to establish links between panel data and administrative data, provide post-survey management support, and ensure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Conclusions: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the integration platform for various panel data and administration data. If we develop strategies for quality management for it, the value of panel data and utilization of researchers will be enhan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