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상의 기업의 부정적 사건에 대한 보호동기, 불평행동과 기업이미지 간 관계 및 민첩성의 조절효과

        민병곤(Byeonggon Min),박동진(Tongjin Park)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7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7 No.4

        This research aims to test the structural model involving relationship of protection motivation towards corporate negative incidents on SNS, complaint behavior and corporate image. Furthermore, the role of agility as a moderating factor is investigated in this study. Data of 212 consumers who were exposed to negative information of companies through SNS were gathered. Results show that the protection motivation variables which include perceived severity, response efficacy and self-efficacy except perceived vulnerabilit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mplaint behavior. Meanwhile, complaint behavior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corporate image. In terms of the moderator, agility level, it influences the effect between complaint behavior and corporate image. Implication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will help provide companies in establishing a coping strategy regarding negative information related to companies.

      • 예비 교사의 ‘교육 의사소통’ 역량 제고를 위한 교과목 설계 및 운영 방안

        민병곤 ( Min Byeonggo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1 先淸語文 Vol.49 No.-

        This article aims to propose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 course to improve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of pre-service teachers at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this end, the author discusses the concepts and elements of educ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examines the operation status of related subjects domestically and abroad, and discusses their design, operation methods, and tasks. The author defines educational communication as communication in the education field,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based on the intention to focus discussions on teachers and consider their educational behaviors. The author then divides the elements constituting educational communication into participants in education, content of education, medium (or method) of education, and the context of education. Further, it discusses what communication competencies teachers should have in relation to each element. Next, to extract the factors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designing subjects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 the author reviews the subject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in Singapore, the University of Helsinki in Finland,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Ewha Womans University in Korea. Accordingly, it is proposed to define the nature of the course in relation to the subjects for teachers’ qualification, to differentiate the subject from similar courses, to consider the use of various educational communication media, and to balance theory and practice. Finall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 syllabus to ensure the establishment of the subject.

      • KCI등재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실태 분석-의사소통 어려움의 요인 및 경로 모형과 어려움 해소에 필요한 학습 기간을 중심으로

        민병곤 ( Min Byeonggon ),구본관 ( Koo Bonkwan ),박성석 ( Park Seongseog ),박종관 ( Park Jong-kwan ),김종철 ( Kim Jong-cheol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3

        본 연구는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고, 어려움 해소에 필요한 학습 기간을 실증적으로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사회 이주민 중 다수를 차지하는 이주민근로자, 결혼이주민, 이주민자녀 구성원 728명을 전국적으로 표집, 조사하고, 결측이 없는 461명의 자료에 대해 조건부 과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거주 기간이 직·간접적 경로로 한국어 어려움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여기에 한국어 학습 기간이 조절 변인으로, 한국어 능력 인식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며, 어려움 인식의 출발점이 성인과 미성년에게서 달리 나타남을 밝혔다. 또한 한국에 거주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매주 4시간 정도 한국어를 학습한다면, 한국어 의사소통이 별로 어렵지 않다고 느끼게 되기까지 성인 이주민은 최소 6.8년, 미성년 이주민은 최소 2.9년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contributing variables to immigrants` difficulty of communication in Korean, and the learning period required to overcome the difficulty based on the empirical evidence. A comprehensive survey was conducted on 728 people, who were from three immigrant groups (Immigrant Worker, Marriage Immigrant, Immigrant Child) living in Korea. 461 participants` responses, with no missing values, were analyzed using Hayes(2013)`s model 8.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ength of Residence plays a role in immigrants` Self-awareness of Difficulty through the direct path and indirect path. In addition, Self-awareness of Korean Language Ability affected it as a mediator, and Learning Period as a moderator on the direct or indirect path. Moreover, adult immigrants had higher Self-awareness of Difficulty than children upon their arrival.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ifficulty reported by adult and child immigrants was maintained through the learning period. Second, if an adult immigrant continues to learn Korean 4 hours a week from arrival, s/he will overcome the difficulty after 6.8 years, and a child immigrant, under the same condition, needs 2.9 years.

      • KCI등재

        대화 성찰 태도 측정을 위한 설문도구 개발

        민병곤 ( Min Byeonggon ),박성석 ( Park Seongsoeg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4

        본 연구는 성찰적 교육에 관한 범학문적 논의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대화 성찰 태도’를 정의하고, 이를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설문 문항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비 단계에서 전문가 5인의 내용 타당도 점검을 거쳐 ‘사려 깊은 행동’, ‘내용·과정 성찰’, ‘전제 성찰’의 3구인을 설정하고, 총 27개 예비 검사 문항을 작성하였다. 탐색 단계에서 4개 고등학교 467명의 1~2학년 학생이 예비 문항에 응답하게 하고 그 결과를 수집하였다. 확인 단계에서 2회에 걸쳐 총 11개 고등학교 1,055명의 1~2학년 학생이 선별된 12개 본 검사 문항에 응답하게 하고 그 결과를 수집하였다. 탐색 단계에서 수집한 응답 결과에 대해 탐색적 요인 분석(최대우도법, 프로맥스 회전)을 실시한 결과, 27개 예비 검사 문항 중 12개 문항이 공통분 .30 이상, 가정된 구인에 대한 요인 부하량 .40 이상, 가정되지 않은 구인에 대한 요인 부하량 .30 미만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3요인 모형은 2요인 모형과 달리 요인 수 가정이 기각되지 않았으며(X2=45.09, df=33, p=.08) 4요인 모형에 비해 적정한 TLI 값(.979)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확인 단계에서 최초 수집한 응답 결과(568명)에 대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개 문항의 신뢰도가 양호하지 않고 모형 합치도 지수 중 NFI(.849)와 CFI(.879)가 기준(.900)에 미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신뢰도에 문제가 있었던 2개 문항의 진술 방식을 수정한 후 재수집한 응답 결과(487명)에 대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문항의 신뢰도가 양호하며 NFI(.897)가 기준에 다소 미달할 뿐, CFI(.921), GFI(.936), RMR(.037), RMSEA(.076)가 모두 기준을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설문 문항의 측정 결과와 관련한 시사점은 물론, 본 설문 문항을 사용하여 수행 가능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Reflective Attitude in/on Conversation (RAC), based on a review of discussions in the field of reflective education, and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questionnaire to measure RAC. In the preliminary stage, three constructs, namely, Thoughtful Action (TA), Content/Process Reflection (CPR), and Premise Reflection (PR), were established, and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five specialists. In the exploratory stage, 467 students, who were in their 1st or 2nd year of school, were sampled from four high schools. In the confirmatory stage, 1,055 students who were in their 1st or 2nd year of school were sampled from 11 high schools across our two sessions.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 that 12 among 27 preliminary items have communality greater than 0.3, factor loading to the hypothesized construct greater than 0.4, and factor loading to un-hypothesized constructs lower than 0.3. Further, the 3-factor-model’s Qui-square test does not reject the null hypothesis that there are only three factors, while the 2-factor-model’s Qui-square test rejects the null hypothesis that there are only two factors. The 3-factor-model also shows suitable TLI value (.979), while the 4-factor-model revealed a highly saturated TLI value.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our first confirmatory stage samples (568 students), show that two items among 12 are not reliable, and NFI (.849) and CFI (.879), among five model fitness indices, do not satisfy their criteria (>.900). After revising the two unreliable items,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our second confirmatory stage samples (487 students), reveal that all the 12 items are reliable, and although NFI (.897) still does not satisfy the criterion, CFI (.912), GFI (.936), RMR (.037), and RMSEA (.076) satisfy their criteria. In the conclusion, we suggest some implications of measured results, and some further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초고속인터넷서비스의 고객 충성도 및 전환행동 결정요인

        박동진(Tongjin Park),민병곤(Byeonggon Min)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2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2 No.2

        The percentage of households with Internet access in South Korea has reached 86.7% , by which it was concluded that the High-speed internet service market is at its saturated stage.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most companies have studied strategies to increase customer loyalty in order to maintain their existing customers and devised methods to acquire potential customers who have contract with other competing companies. This paper investigate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bout customer loyalty and switching behavior of high?speed internet service users and 21 subjects were interviewed. Based on the result, the determinants of customer loyalty appeared as fee related factors of single or combined services, the image and service of service provider, and internet speed etc.. The determinants of switching behavior turned out to be fee and/or money policies that current service provider suggested, recommendation by an acquaintance, internet speed, and after service etc..

      • KCI등재

        읽기 동기의 자기결정성에 따른 독해력 차이 : 중학교 1~3학년을 중심으로

        박성석 ( Park¸ Seongseog ),민병곤 ( Min¸ Byeonggon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7

        읽기 동기 측정을 위해 개발된 기존 척도를 활용하여 읽기 동기의 자기결정성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방식이 독해력 정도를 잘 예측함을 입증하였다. 중학생 2,020명의 읽기 동기를 MRQ 기반 척도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가 9구인 요인 구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구인 간 상관 행렬이 유사 심플렉스 패턴을 보이는 점을 근거로 9구인이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라 위계적으로 파악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4개 군집을 도출하였다. 각 군집 중심의 9개 구인별 Z점수를 근거로 4개 군집을 각각 ‘무조절’, ‘외적 조절’, ‘내면화된 조절’, ‘내적 조절’이라 명명하였다. 자기결정성 군집, 학년, 성별을 독립변인으로, 독해력 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삼아 삼원배치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자기결정성 군집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며, 자기결정성 정도가 높은 군집일수록 독해력 검사의 평균 점수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읽기 동기의 자기결정성 측정을 위해 MRQ 기반 척도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 MRQ로 측정된 읽기 동기가 독해력과 선형 비례 관계가 있다는 예측을 경계해야 한다는 점, 후속 연구를 통해 읽기 동기 발달 과정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proved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egree of self-determination in students’ reading motivation by using existing scales for reading motivation measurements. Furthermore, this approach can predict reading competence. The reading motivations of 2,020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easured using MRQ-based scales. The results fitted adequately to the nine-factor structure. Based on the fact that the correlation matrix of these nine factors shows a quasi-simplex pattern, here, we claim that the nine factors can be identified hierarchical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determination. A cluster analysis resulted in four clusters. Based on the Z-scores of the nine factors at the center of each cluster, we named the four clusters: Amotivation, External-Regulation, Internalized-Regulation, and Intrinsic-Regulation. A three-way ANOVA was conducted, considering self-determination, school year, and gender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 scores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among self-determination clusters was significant and that the higher the self-determination level, the higher the reading comprehension. We discuss the following: (a) MRQ-based scales can be used to measure self-determination in reading motivation; (b) we have to caution against predictions that assume readingmotivation, measured by MRQ, will have a linear correlation with reading comprehension; and (c) follow-up studies have to investigate learners’ developmental process regarding reading motivation.

      • KCI등재

        개별 논문 : 초등학교 1, 2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의 읽기 기초학력 검사 결과 및 문항 분석

        이소연 ( Soyeon Lee ),민병곤 ( Byeonggon Min ),안현기 ( Hyun Kee Ahn ) 한국독서학회 2010 독서연구 Vol.0 No.23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가정 1, 2학년 학생의 읽기 기초학력을 진단하기 위하여 개발된 검사 도구의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미도달 학생을 위한 보정교육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수한 성장 환경으로 인한 다문화가정 학생의 언어 발달 지체 및 학습부진 등의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여러 연구를 통해 논의되어 온 바 있다. 다문화가정 학생들은 특히 한국어 기초학력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초등학교 진학 이후 국어 학습 능력에도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민병곤 외(2010)에서와 같이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 언어·인지 진단도구 읽기 영역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전체 결과 분석 결과, 1학년 읽기에서 다문화가정 학생의 평균점수는 81.66점, 비다문화가정 학생의 평균점수는 87.26점으로, 비다문화가정 학생의 평균점수가 5.6점 더 높았다. 또한 2학년 읽기에서 다문화가정 학생은 평균 66.18점, 비다문화가정 학생은 평균 82.42점으로 비다문화가정 학생이16.24점 더 높아, 1학년에 비해 두 집단의 점수 차가 훨씬 더 벌어졌다.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1, 2학년 학생들의 읽기 기초학력은 문화 배경에 따른 그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분석에서도 1, 2학년 모두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학생의 평균점수도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범주별분석 결과, 1학년에서는 한글 해독 및 낱말 이해 영역과 문장 및 글 이해 영역모두 미도달 학생이 1.4%(2명)로 같게 나타났으며, 2학년에서는 미도달 학생의 비율이 한글 해독 영역, 낱말 이해 영역, 추론 및 비판적 이해 영역, 사실적 이해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극히 낮은 정답률을 나타내거나 문화 배경 및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정답률의 차이가 큰 문항을 위주로 분석 대상문항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읽기 능력에 관한 세부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읽기 기초학력이 부진한 학생들을 위한 보정교육과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est items of the diagnosis tool that was developed to assess the basic reading abilities of the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eaching students who are left behind in reading. Earlier studies have discussed this issue and observed the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poor learning abilities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With this in focus, this study designed and developed the reading diagnosis tools for the 1st and 2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 1st grad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received an average score of 81.66 and the students from non-multicultural family, 87.26. The 2nd grad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received an average score of 66.18 and the students from non-multicultural family, 82.42. We analyzed the average difference statistically and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families in both grades. We also found that the test scores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proportionally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proficiency level of their mothers, which was also statistically confirmed. The section analysis showed that 1.4% of the 1st graders failed in both sub-sections which were reading the Korean alphabets & words and comprehending sentences & paragraphs. It also showed that there was variance in percentage in failing rate (10.8%~52.5%) in the four sub-sections of the test for the 2nd graders. Based on these results we selected some test items for the in-depth analysis. The selected items were those that showed lowest correct percentage and that were severely influenced by the family type or the mothers` Korean proficiency level. With this analysis, we suggested some characteristics of the reading competence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We finally derived some implications for teaching students who did not reach the criterion scores.

      • KCI등재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중심에 둔 교사의 최적화 행동 연구: 국어 수업에서 ‘구성적 불일치’ 사례를 바탕으로

        유상희 ( Sanghee Ryu ),정혜승 ( Hyeseung Chung ),민병곤 ( Byeonggon Mi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4

        최근 우리나라 교육 정책은 학생의 성취기준 도달과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관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국어과 수업 사례를 교사의 최적화 행동 개념을 사용하여 미시문화기술지적 담화분석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정책이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그러한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 수업에서 교사는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지향하면서 활동 중심 수업의 구성, 학습 과정에서 수행평가 실시 및 피드백 제공 등 학생 중심의 수업을 실행하였다. 그러나 학습 목표 달성 의미의 제한적 설정, 지식의 단순화, 목표와 직접 관련되지 않은 담화의 배제, 정답이 있는 수행평가 실행 등의 최적화 행동도 나타나 교육 정책과 ‘구성적 불일치’를 보였다. 교육 정책에서 지향한 긍정적 요소들이 실제 수업에서 다양한 맥락의 영향을 받으며 문제적 양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구체적 방향이나 실질적 지원이 없는 상태에서의 교육 정책의 선언적 강조에 대한 재고, 성취기준과 교육 목표의 유기적 연계 강화, 국어 교육에서 인식론적 지식에 대한 접근,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계발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Our education policy has emphasized the consistency of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and students’ achievement of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policy is implemented in a Korean language class and the elements affecting the policy in order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pplying micro-ethnographic discourse analysis with the concept of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In this class, the teacher aiming to integrate the curriculuminstruction- evaluation conducted student-centered instructions consisting of an activity-oriented class and process-oriented assessment with feedback. However, a constructive inconsistency has been found in the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in limited settings of the meaning of achieving learning goals, simplification of knowledge, exclusion of discours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goal, and execution of a performance evaluation with correct answers. The positive elements within our education policy actually appeared in problematic patterns under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and various contexts in the class.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of the actual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her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reconsideration of declarative emphasis on educational policy in the absence of specific direction or practical support, strengthening organic linkage between standards and educational goals, and developing teacher curriculum literacy.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논증 기반 타당화 연구 ― 외삽 추론을 중심으로

        이성준 ( Lee Sunjun ),홍은실 ( Hong Eunsil ),오예림 ( Oh Yelim ),이승원 ( Lee Seungwon ),조수진 ( Cho Sujin ),민병곤 ( Min Byeonggon ) 국어교육학회 2021 國語敎育學硏究 Vol.56 No.1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코스탭)가 실제적인 맥락에서 유학생의 학문 목적 말하기 과제 수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외삽 추론의 타당성을 갖추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논증 기반 타당화 체계 가운데 외삽 추론의 논증 구조를 수립하고, 툴민의 논증 요소를 기반으로 이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를 설계하였다. 외삽 추론의 타당도 증거는 이론적인 검토와 코스탭 결과와 실제 목표 영역에서의 학습자의 수행 결과의 비교를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 참여자인 유학생은 모의 수업 상황에서 강의를 듣고 그에 관한 말하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코스탭과 실제 말하기 과제 수행 간에 보통 수준의 상관이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교육 측정 및 언어 평가 이론의 지지와 함께 대학 강의 맥락과 관련하여 실제적인 학문 목적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서 코스탭이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또한 타당화 과정에서 확인한 코스탭 본 검사 결과, 기준 설정 결과에 따른 수학 가능성 평정과의 유사성 증거 등은 향후 코스탭의 유용성과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extrapolation inference for the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KoSTAP) in relation to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academic speaking tasks in practical contexts. The Argument schemes of extrapolation inference and validation study were designed based on the argument-based approach. Evidence of extrapolation inference was collected by comparing the KoSTAP scores with learners’ performance in the real-world target domain. Internationa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listened to a lecture in a simulated class and performed related speaking tasks. The extrapolation inference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of the speaking task evaluation and the KoSTAP score. This study shows that KoSTAP functions as a tool to evaluate the practical academic speaking skills required by universities in relation to the lecture context. It also presents the future usefulness of KoSTA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