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The Public Knowledge of the Jeongsindae as Forcefully Mobilized “Comfort Women” in Korea

        민병갑,이현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21 No.1

        The so-called “comfort women” issue includes two dozen controversial issues that are both practically and academically important. Two related important issues are: whether or not most Koreans were aware of the forceful mobilization of many young Korean women to Japanese military brothels in the post-war period (1946-1989); and whether or not the Japanese military used the jeongsindae (the Korean word for “voluntary labor corps”) as a mechanism for forcefully mobilizing young Korean “comfort women.” Korean redress movement readers and a few scholars have given affirmative answers to both questions, mainly using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daily newspapers in the post-war period. Using 104 testimonies given by Korean “comfort women” survivors, this paper intends to show that (1) Korean “comfort women,” their parents, and their neighbors were well aware of the forced mobilization of young Korean women in the name of the jeongsindae or cheonyeogongchul in the 1930s and early 1940s, and that therefore they made great efforts to escape from the forced mobilization, and (2) there is evidence that Japanese military used the teishintai (jeongsindae) as a mechanism to forcefully mobilize Korean “comfort women.” By showing these two facts, this paper intends to refute C. Sarah Soh’s claim that Korean redress movement leaders and Korean scholars conflated the jeongsindae with Korean “comfort women” with no factual evidence.

      • KCI등재
      • KCI등재

        The Immigration of Koreans to the United States: A Review of 45 Year (1965-2009) Trends

        민병갑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1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0 No.2

        This paper reviews changes in patterns of Koreans’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between 1965 and 2009 based on annual statistical reports by the immigration office. This review captures changes in the annual number of Korean immigrants, their immigration mechanisms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roportion of status adjusters. The annual number of Korean immigrants gradually increased for the first ten years, reached the peak between 1976 and 1990, gradually decreased in the 1990s, and slightly increased in the 2000s again. At the end of the 1960s and early 1970s, professionals, especially medical professionals, composed a significant proportion of Korean immigrants. The proportion of Korean immigrants in specialty occupations declined in the late 1970s and early 1980, with a concomitant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family-based immigrants. But the trend reversed beginning in the early 1990s, with the gradual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Korean specialty immigrants and the radical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family-based immigrants. The predominant majority of Korean immigrants during recent years are status adjusters. The presence of an increasing number of non-immigrant temporary residents in the Korean community, along with great technological advances, has helped Korean residents maintain strong transnational ties to their homeland.

      • KCI등재

        The Korean Community in the New York-New Jersey Area in the 1980s

        민병갑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2 중앙사론 Vol.0 No.36

        이 논문은 뉴욕․뉴저지 지역의 1980년대 역사를 검토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1980년대 뉴욕․뉴저지 지역 한인사회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다음의 네 가지를 주로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인의 미국 이민 증가에 의한 이 지역의 교포 인구 증가, 둘째는 교포 이민자의 이 지역에서 정착 양상과 한인타운 건설, 셋째는 이 지역 교포의 1980년대의 상업활동, 그리고 마지막으로 교포의 상업활동상과 관련된 타민족과의 갈등 및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과정에서의 민족단결이다. 1980년대는 한국인의 미국 이민 절정시기였는데, 그 결과 뉴욕, 뉴저지 지역의 한인 인구도 1980년에 4천명 미만에서 1990년에 12만 명 가까이로 성장해 10년 동안 32배로 증가했다. 이 기간에 퀸즈가 한인 거주지의 중심이 되었으며, 플러싱 지역 한인타운이 한인 상가와 함께 개발되었다. 또한 맨하탄 브로드웨이의 한인 도매상가도 이 10년 기간에 절정을 이루었다. 동시에 이미 1980년대 말부터 교포의 교외로의 거주지 이동이 시작되어 뉴저지 버겐 카운티의 여러 지역에 교포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롱아일랜드 나소 카운티와 북부 뉴욕주 웨체스터 카운티도 교포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현재의 뉴욕, 뉴저지 지역의 교포의 주요 사업체인 잡화 도매상 및 소매상, 봉제업, 청과업, 식품업, 세탁업 및 네일업 등이 1980년대에 완전히 개발되었다. 센서스 자료는1980년과 1990년의 뉴욕 교포의 자영업율이 2000년 보다 높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1980년대 말까지 뉴욕, 뉴저지 지역에서 중요한 사업협회가 설립되어 한인사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한국에서는 기혼여성이 거의 경제활동을 하지 않던 시기였는데, 70% 이상의 교포 기혼 여성이 주로 가족단위의 사업체나 다른 한인 가게에 고용되어 가정 경제에 큰 공헌을 했다. 1980년대 이 지역의 교포 상인은 주로 소매업에 종사하고 특히 대자본이나 백인이 투자를 꺼리는 흑인이나 라틴계 소수민족 거주지역에서 소매업에 종사했다. 그 결과 여러 흑인지역의 한인 청과상 및 식품점은 흑인에 의한 장기 불매운동을 당하기도 했다. 교포가 경영하는 청과, 식품 및 생선 소매상들은 미국 백인 도매상에 의존했기 때문에 그들에게 많은 인종차별을 받았다. 특히, 헌츠포인트 도매상에 가서 청과물을 사오는 교포 청과업자들은 차별 뿐만 아니라 도매상 고용인들로부터 폭력의 피해를 자주 입었다. 교포 청과 소매인들은 이에 대항하기 위해 청과협회를 통해 백인 도매상 불매운동을 여러 번 조직했다. 교포상인이 도매상의 고객의 50-60%를 차지했기 때문에 불매운동 대상 도매상은 대략 불매운동 1주일 안에 손을 들고 사과와 함께 청과협회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대부분 수락했다. 흑인불매운동 및 백인 도매상과 대항하고 교섭하는 과정에서 교포 상인 및 한인사회가 전체적으로 단결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교포 지도자들은 정치적 협상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 뉴욕 플러싱, 베이사이드 지역의 한인타운

        민병갑,주동완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5

        뉴욕의 플러싱-베이사이드(Flushing-Bayside) 지역에 형성된 한인타운은 미 동부에서 가장 큰 한인타운이며 미국에서 LA 코리아 타운 다음으로 큰 한인타운이다. 이 논문은 플러싱-베이사이드 한인타운을 자세히 소개하는데 다음의 세 가지를 중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는 플러싱 지역에서 한인타운이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가를 검토하고 플러싱-베이사이드 지역의 인구 분포를 설명한다. 둘째는 플러싱-베이사이드 지역의 한인 상업 지역의 여러 한인 가게들을 종목별로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플러싱 지역에서 매일 일어나는 여러 가지 한국 문화 행사와 한인 모임을 자세히 검토한다. 이 논문에 쓰여진 자료는 미국 인구 조사국 통계, 두 저자가 20여년 동안 이 지역을 보아 온 참여 관찰 및 2007년 뉴욕 중앙일보사가 발행한 한인 업소록 등이다. The Flushing-Bayside Koreatown is the largest Koreatown in the East Coast and the second largest Koreatown in the United States, next to Koreatown in Los Angeles. This paper examines the Flushing-Bayside Koreatown with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areas. First, it examines the origin of the Koretown an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the Flushing-Bayside area. Second, it examines major types of Korean businesses in the Flushing-Bayside Korean business district. Finally, this paper examines various Korean cultural and social events that occur every day in the Flushing Koreat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