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기계 시각과 포스트휴먼 주체: 박경근, 베르토프, 스노우의 카메라와 새로운 시지각

        문혜진 현대미술사학회 2018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4

        This paper started with interest in heterogeneous images and senses produced by machine vision. Since the invention of the camera, human vision has already been encroached by machines as it relies on machines to create and view images. However, the intervention of machines differing from the human eyes alters everything related to the visual system, including the nature of vision, the way of cognition, the attributes of the produced images, the observer's status, and the concept of subject. As a starting point for approaching this huge research topic, this paper cross-compares three film and video works dealing with machine vision based on camera, i.e. 1.6 sec(2016) by Kelvin Kyung Kun Park, La Région Centrale (1971) by Michael Snow and The Man with a Movie Camera (1929) by Dziga Vertov, and analyzes the heterogeneity of imag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machine, the possibility of new visibility and subject in these works. All of these works presents new perspectives that can not be grasped by the naked eye, which breaks the classical visual field and the humanistic visual system. Especially, the way that human factor is mixed with the production and appreciation of machine vision poses various issues about posthuman subject. Other visual machines including CCTV, smart phone, game and social media scattered everywhere are also changing current images and visual experiences. Changing visual perception and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visual system depending on the varying concepts of machine will be left as a future research project. 박경근, 지가 베르토프, 마이클 스노우의 작업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이들 작업에서 드러나는 기계 시각과 이로 인한 새로운 시지각 및 포스트휴먼 주체의 가능성에 대해 논한다. 카메라를 통한 시각의 변형이 인간적 시각과 시각 체제, 나아가 인간-주체 개념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본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경성부 敎派神道의 현황과 활동양상

        문혜진 서울역사편찬원 2019 서울과 역사 Vol.- No.101

        Kyoha shinto advanced into all colonies of the Japanese empire to propagate Japanese shinto instead of State Shinto, memorial service system of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Sinrikyo in 1906, Izumotaisyakyo and Konkokyo in 1908, Tenrikyo in 1909 and Shinshukyo in 1910 entered in Hanseong (Seoul). After Japan's annexation of Korea, Shintohonkoku in 1924, Guromizukyo in 1927, Jikkoukyo in 1929 and Ontakekyo and Fusokyo in 1934 entered in Keijyo(Seoul). Before and after Japanese colonial era, 10 sects of Kyoha shinto advanced in Seoul. Churches of Kyoha shinto in Seoul played a key role as a center of Jose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Kyoha shinto had entered in Seoul and had been active in propagation. Objects of research is Japanese General Government's official gazette, referring Japanese General Government's statistical yearbook, newspapers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etc. After Korean independence, Tenrikyo and Konkokyo have been continued mission activity and are having nationwide churches in South Korea. Nevertheless, historial researches of these sects in both South Korea and Seoul are rare. Therefore, this paper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history of Kyoha shinto in Seoul and religious cultures in colonized Joseon. 교파신도는 일제의 宗祀인 국가신도를 대신하여 해외에서 신도의 포교의 임무를 부여받고 대만을 비롯하여 일제의 제식민지에 진출하였다. 식민지 조선의 경우 한성에 1906년 신리교, 1908년 출운대사교 및 금광교, 1909년 천리교, 1910년 신습교가 진출하였다. 한일병합 이후로는 경성부에 1924년 신도본국, 1927년 흑주교, 1929년 실행교, 1934년 어악교와 부상교가 진출하였다. 일제강점기 전후로 경성에는 10개 종파의 교파신도가 진출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식민지 조선의 교파신도 중 경성의 교파신도가 조선 본부의 역할을 한 점에서 교파신도의 지역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경성부의 교파신도를 연구대상으로 그 진출양상 및 포교활동을 고찰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조선총독부관보』를 주요자료로 하여, 『조선총독부통계연보』, 근대 신문 등을 고찰하였다. 해방 후에도 이들 교파신도 중 천리교와 금광교는 서울에 남아 포교활동을 지속하였으며, 서울지부를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교파신도의 한국에서의 활동에 대한 史的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고 일제강점기 종교문화 현상을 이해하는데 향후 교파신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서울에서의 교파신도의 진출 및 활동양상을 사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KCI우수등재

        창의적 성격용 조건추론검사의 확장: 새로운 정당화 기제 제안 및 타당화

        문혜진,엄정혜,이혜주,장재윤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5 No.1

        The recent call for understanding the implicit and unconscious aspect of personality gave rise to the conceptualization of implicit creative personality. However, to this end, theoretical and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implicit creative personality still lacks.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add a new justification mechanism (the intrinsic motivation bias) to the Conditional Reasoning Test for Creative Personality (CRT-CP; Schoen, Bowler, & Schilpzand, 2018). First, based on the review of the five justification mechanisms included in the CRT-CP and the existing literature on creativity, we introduced the intrinsic motivation bias as an additional justification mechanism of creative people. Building on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intrinsic motivation bias, we created the corresponding Conditional Reasoning items. Using a sample of 240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Korea, we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CRT-Intrinsic Motivation Bias with the CRT-CP, the explicitly measured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explicitly measured in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we sought for evidence of the divergent validity with the personality trait of conscientiousness. Finally, we tested the incremental validity of the CRT-Intrinsic Motivation Bias and the extended CRT-CP, respectively, in the prediction of creative achievement. We discussed implications with respect to the potential extension of the CRT-CP and the usefulness of the CRT-Intrinsic Motivation Bia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성격의 암묵적이고 무의식적 측면에 대한 논의와 함께 최근 암묵적인 창의적 성격에 대한 개념이 제기되어왔으나, 암묵적인 창의적 성격에 대한 개념적, 실증적 이해는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성격용 조건추론검사(Conditional Reasoning Test for Creative Personality; CRT-CP)에 새로운 정당화 기제(내적 동기 편향)를 추가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먼저, Schoen, Bowler와 Schilpzand(2018)에 의해 개발된 CRT-CP의 다섯 가지 정당화 기제에 대한 검토와 기존 창의성 문헌 리뷰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당화 기제로서 내적 동기 편향을 제안하였다. 내적 동기 편향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조건추론 문항을 개발하였고, 총 240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새롭게 개발된 CRT-내적 동기 편향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고, 외현적 및 암묵적 창의적 성격(CRT-CP)과 외현적 내적 동기와의 수렴타당도와 성실성과의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성취에 대한 CRT-내적 동기 편향과 확장형 CRT-CP의 증분타당도를 각각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CRT-CP의 확대 가능성과 CRT-내적 동기 편향의 유용성과 관련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남해안 최영장군 사당과 해양신앙 -경남 및 부산의 최영장군 사당 사례연구-

        문혜진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4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30

        한국의 무속에서 억울하게 죽은 장군을 사후 신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장군신앙이 있는데, 해안지방에 숭배되는 신으로 서해안의 임경업장군과 남해안의 최영장군이 대표적이다. 제주 추자도를 비롯하여 남해안 지역에서 최영장군을 모시는 사당은 여수 남산동 영당, 남해군 미조면 최영장군 사당・남면 장군당, 통영 산양읍 장군당・사량도 최영장군 사당 등이 있는데,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이들 일대가 남해안 멸치어장 지대로서 최영장군은 멸치잡이의 해역신으로 좌정해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남해안의 다른 지역의 최영장군 사당과 달리 부산의 최영 장군 사당, 즉 범일동 최영장군 사당, 수영동・감만동 무민사에만 그 연기설화에서 최영의 왜구 토벌 신화만 강조되어 풍어의 신의 성격을 찾아볼 수 없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경상남도에서 부산에 이르는 남해안 멸치어장의 최영장군 신앙과 부산 지역의 최영장군 사당의 해양 신앙의 상관성에서 경남 및 부산의 최영장군 사당을 둘러싼 종교문화사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부산에만 최영장군이 풍어와 관련된 연기설화나 용왕제가 없었던 이유는 1970년대 이후 부산이 급격히 도시화되면서 마을 앞바다가 개발되면서 어장이 없어지고, 마을 주민들이 더 이상 어업을 생계로 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만동 무민사가 이전 최영 장군을 모신 용왕당이었던 사실에서, 수영동 무민사의 용왕제가 한때 있었고 수영좌수영어방놀이의 용왕제가 남아 있는 사실에서, 범일동 최영장군 사당 이전에 용왕당이 있었던 사실에서, 최영장군과 풍어의 신과의 상관성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남해안에서 실제로 수군 진영이 없었던 곳에는 최영장군을 마을 어장의 풍어의 신으로 모시는 사례는 없었으며, 반드시 멸치어장이 성행한 곳에서만 최영장군을 풍어의 신으로 모신 것도 아니었다. 요컨대 남해안에서 최영장군은 수군 진영이 있었던 곳에 모셔지면서 특정 멸치잡이뿐만 아니라 어장, 어업을 관장하는 신격으로 발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In Korean Shamanism, generals who died unjustly are worshiped as a general god after death. General Lim Kyung-up in the west coast of Korea and General Choi Young in the southern coast are representative gods. The shrines serving General Choi Young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re distributed in Chuja Island of Jeju, Namsan-dong of Yeosu, Mizo-myeon and Nam-myeon of Namhae-gun, Sanyang-eup and Saryang Island of Tongyeong and so 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se shrines are located near anchovy fishing ground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s a result General Choi Young might be developed as a maritime god of anchovy fishing. However, only origin story of General Choi Young's shrine in Busan such as the shrine of General Choi Young in Beomil-dong and Moominsa in Suyeong-dong and Gamman-dong emphasizes only the myth subjugating Japanese pirates; as a result, the character of the god of a good catch has disappeared. Therefore, this paper will examine General Choi Young's belief in anchovy fish farm of Gyeongsangnam-do Province and Busan. And then it will consider religious and cultural history of General Choi Young's shrine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the perspective of worship of sea de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reason why the belief of General Choi Young did not relate to a good catch in the origin stories or the ritual for sea dragons in only Busan was that Busan rapidly urbanized after the 1970s, the fishing grounds disappeared as the coastal waters of the village were developed, and villagers no longer made a living in fishing.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oi Young and the god of a good catch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Moominsa of Gamman-dong was once a shrine for a dragon king, that there was a the ritual for sea dragons in Moominsa of Suyeong-dong as well as Suyeong Jwasuyeong Eobang Nori(Fishing Village Festival) and that there was a a shrine for a dragon king near the shrine of General Choi Young in Beomil-dong. In conclusion,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re was a naval camp near the shrine of General Choi Young, but General Choi Young was not necessarily enshrined as the god of a good catch only in places where anchovy fishing grounds were popular. In other word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General Choi Young was enshrined in the place where the naval camp was located, in which he had been developed as a god in charge of fishing grounds and fishing as well as specific anchovy fis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