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반도 모자이크 영상의 분류 정확도 향상 기법 연구: PCA 기법과 RGB 지수를 활용하여

        문지윤,이광재,Moon, Jiyoon,Lee, Kwangjae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6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produces mosaic images of the Korean Peninsula every year to promote the use of satellite images and provides them to users in the public sector. However, since the pan-sharpening and color balancing methodologies are applied during the mosaic image processing, the original spectral information is distorted.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analyze using mosaic images as mosaic images provide only Red, Green and Blue bands excluding Near Infrared (NIR) band. 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pplie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echnique and indices extracted from R, G, B bands together for image classification and compared the classific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ccuracy of the mosaic image classification result was about 67.51%, while the accuracy of the image classification result using both PCA and RGB indices was about 75.86%, confirming that the accuracy of the image classification result can be improv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CA and the RGB indices, the accuracy of the image classification result was about 64.10% and 74.05% respectivel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lassification accuracy using the RGB indices was higher among the two techniques,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that it was important to use high quality reference or supplementary data. In the future, additional indices and techniques are needed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results of mosaic images, and related research is expect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images that provide only R, G, B or limited spectral information.

      • KCI등재후보

        동시대 안무 실험의 ‘이중적 쓰기’ : 예술적 발화와 수행성 개념과의 조우에 대하여

        문지윤(JeYun Moon) 한국문화연구학회 2021 문화연구 Vol.9 No.1

        2000년대 이후 동시대 예술 생산 현장에서 주목할 만한 현상 중에 하나는 퍼포먼스 지향적 작업의 분출이다. 이러한 예술 실천의 패러다임의 전환은 1960년대의 예술 생산 현장에서 목격되었던 퍼포먼스 작업의 분출과의 차별화를 위해 “제 2의 수행적 전환(the second performative turn)”이라 불렸다. 이 글은 동시대 예술 실천과 이론 생산의 “수행적 전환”의 국면에서 일상 언어 발화의 실천적 효과를 설명하는 수행성(performativity)이라는 개념이 예술적 실천으로서의 퍼포먼스(performance)와의 어원적 유사성으로 인해 퍼포먼스 지향적 작업의 일반적 특성으로 오해되고 무비판적으로 통용되는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수행성 이론이 근거하고 있는 일상 언어 발화와 예술적 발화로서의 퍼포먼스의 존재론적, 인식론적 차이점을 살펴보고 수행성 개념과 예술적 발화의 관계성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수행성 개념의 기원인 제이엘 오스틴(J.L. Austin)의 수행문(the performative) 개념은 행위를 불러오는 일상 언어 발화의 실천적 효과를 강조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이를 위해 오스틴은 연극 무대나 시인의 낭송과 같은 예술적 발화를 수행문 개념에서 제외시키며, 예술적 발화는 허구적 발화이고 이는 실천적 행위를 동반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일상 언어의 실천적 효과를 설명하는 개념어로 무대에서의 행위를 뜻하는 퍼포먼스라는 용어를 차용함으로써 오스틴 스스로가 수행문 개념에 대한 오해의 소지를 남겼다. 이 글에서는 그동안 간과되었던 예술적 발화로서의 퍼포먼스에 대한 오스틴의 이러한 모순적 태도에 주목한다. 오스틴이 일상 언어 발화와 차별화하기 위해 진지하지 못하다고 단정한 예술적 발화는 마치 메시지가 담긴 병을 누군가 꼭 발견할 것이라는 믿음으로 바다에 던지는 행위처럼, 누가, 언제, 어떻게 발견할지 알지 못한 상황을 감수하는 ‘진지한’ 행위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술적 발화는 오스틴의 ‘불발’ 개념에 부합하며, 이것은 오스틴의 수행문 개념을 확장시킨 데리다가 <서명사건 문맥>(Signature Event Context)에서 발전시킨 ‘이중적 쓰기’ 개념과 공명한다. 데리다는 오스틴의 수행문 개념이 특정한 문맥을 전제한다고 지적하고, 특정한 문맥을 너머 작동하는 발화를 ‘쓰기’로 설명한다. 이러한 ‘쓰기’는 발신자와 수신자가 부재한 상태에서도 ‘쓰기’로 작동해야 하는 이중성을 내포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이중적 쓰기’의 수행적 효과는 새로운 주체성의 가능성이다. 이 글에서는 데리다가 주장한 ‘이중적 쓰기’의 수행적 효과에 대한 논의를 구체화하기 위해 동시대안무 실험들의 구체적 사례들을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데리다를 통해 해체적으로 재구성된 수행성 이론이 어떻게 예술적 발화로서의 퍼포먼스 지향적 안무 실험을 분석하는 개념적 틀로 차용될 수 있는지 드러낼 것이다. 제롬 벨(Jérôme Bel)의 <제롬 벨>, 자비아 르 루아(Xavier Le Roy)의 <회고전>, 안나 테레사 키르스메커(Anna Teresa Keersmaeker)의 <작업/작업/작업>, 에스터 솔로몬(Eszter Salamon)의 <무의를 위한 춤>를 분석하면서, 안무적 실험에서 작동하는 ‘이중적 쓰기’의 수행적 효과로 인해 어떻게 근대 무용 제도에서 보장된 안무가-주체 개념에 균열이 가해지는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안무가-주체가 탈중심적이며 상황에 열려있는 상태의 ‘관객-주체성’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드러낼 것이다. This article departs from the problematics of the ways in which the notion of performativity is consumed in contemporary art without critical reflection. The term “the performative” was produced in a linguistic philosophical debate, prompted by J. L. Austin. Echoing Jacques Derrida’s attempt to expand Austin’s notion of the performative to écriture in “Signature Event Context”, it aims to expand Austin’s notion of misfires in relation to what I would call “artistic utterances”. Austin articulates “misfires” as a breach of speech-acts that becomes infelicitous. Speech-acts turns it to be infelicitous as long as it presupposes empirically determined subjects (both receiver and sender) in the communication. In contrast, Austin’s “misfires”becomes felicitous in artistic communication if we understand artistic utterances in a different way from linguistic utterances in everyday language. Artistic utterances is like a throwing a bottle with a secret message into the ocean. Neither sender nor receiver knows when, if, how, or to whom this message will arrive, but this act of throwing a bottle demonstrates a serious will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Furthering investigation of artistic utterances with an operational mechanism that echoes Derrida’s articulation of écriture, this article develops an analysis of contemporary choreographic experiments such Jérôme Bel’s Jérôme Bel, Xaiver Le Roy’s Retrospective and Anna Teresa Keersmaeker’s Work/Travail/Arbeid. By doing so, it highlights how choreography as a particular technique developed to be a ‘double-writing’ contributes to decentralized and open-ended subjectivity that goes beyond a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a choreographeras a master of movement that he or she produces. I will articulate the urgency of this decentralized subjectivity in contemporary choreographic experiments as“audience-subjectivity”. Audience-subjectivity in contemporary choreographic experiments blurs the boundary between sender and receiver in artistic utterances.

      • KCI등재

        메타강화학습을 이용한 수중로봇 매니퓰레이터 제어

        문지윤(Ji-Youn Moon),문장혁(Jang-Hyuk Moon),배성훈(Sung-Hoon Bae) 한국전자통신학회 2021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6 No.1

        본 논문에서는 수중 건설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모델 기반 메타 강화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모델 기반 메타 강화 학습은 실제 응용 프로그램의 최근 경험을 사용하여 모델을 빠르게 업데이트한다. 다음으로, 대상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매니퓰레이터의 제어 입력을 계산하는 모델 예측 제어로 모델을 전송한다. MuJoCo 및 Gazebo를 사용하여 모델 기반 메타 강화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수중 건설 로봇의 실제 제어 환경에서의 모델 불확실성을 포함하여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introduces model-based meta reinforcement learning as a control for the manipulator of an underwater construction robot. Model-based meta reinforcement learning updates the model fast using recent experience in a real application and transfers the model to model predictive control which computes control inputs of the manipulator to reach the target position. The simulation environment for model-based meta reinforcement learning is established using MuJoCo and Gazebo. The real environment of manipulator control for underwater construction robot is set to deal with model uncertainties.

      • KCI등재

        나는 어떻게 연구자가 되는가? : 교육학 박사과정 대학원생의 자문화기술지

        문지윤(Moon Gi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학 전공 대학원생의 교육경험과 그들의 삶을 통해 어떻게 연구자가 되는지를 내부자적인 시선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이자 연구참여자인 나의 경험에 대한 자기성찰과 또 다른 내부자 2인을 2019년 4월, 5월인 약 2개월간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하여 자문화기술지(auto-enthnography) 방법으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전일제 대학원생은 ‘대학원으로 발 들이기’, ‘연구경험 쌓기’, ‘부족한 대학원 시스템’을 경험하면서 연구자가 되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삶은 공부하는 곳이자 일터이기도 한 학교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졸업 후 진로 문제 등 여러 가지 견뎌야 하는 것들로 드러났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학 전공을 비롯한 인문사회 계열 전일제 대학원생의 경험과 의미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속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이나 개선점들을 발견하여, 이를 개선하고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graduate students working towards their Ph.D in Education transform into researchers by closely studying their experiences in education and life. Participatory observations, depth interviews and self-examination were administered between April and May of 2019 as ways of auto-enthnography on 3 participants: the researcher of the study and 2 other graduate students in Ph.D program in Education. Furthermore, all 3 participants are full-time graduate students who fulfills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of graduate school and its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tudents entered the Ph.D program in hopes to become researchers; and accumulate research experiences by participating in various research programs. It was also discovered that the students were struggling within a school system with almost non-existing resources for them and their colleagu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were working part-time jobs at research center and laboratories on campus in order to pay for their tuition. They were also found to be fighting fears and anxiety stemming from the thoughts of uncertain future after the program. The current study is meaningful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results may help decision-makers such as policy administrator, principles, professors, as well as pre-graduate students who are considering joining the program. Two, it may be helpful for future study searching for ways to make improvements in experience and life of graduate students working towards their Ph.D in Education.

      • KCI등재

        대학 수업 조별과제의 집단효능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문지윤(Gi Yoon Moon),신태섭(Tae Seob Shi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에서 조별과제를 경험한 학생을 대상으로 조별과제에서 나타나는 집단 효능감 경험의 특성을 파악하고 집단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Bandura의 사회인지이론에 근거하여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조별과제를 경험한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조별과제 시 집단효능감이 높았을 때의 경험과 집단효능감이 낮았을 때 경험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본 후 조별과제 집단효능감의 원천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조별과제에서 지각된 높은 집단효능감과 낮은 집단효능감 간의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은 개인 책무성과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에서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높은 집단효능감의 원천으로는 Bandura가 제시한 효능감의 원천 4가지인 과거의 성공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 각성에 대한 요인이 모두 확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가지 원천 이외에 높은 집단효능감의 원천으로 자기효능감이 탐색되었다. 한편, 낮은 집단효능감의 원천으로는 Bandura의 효능감 원천 4가지 중 과거의 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 각성이 확인되었으며, 대리경험과 그 밖의 기타 요인은 보고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집단효능 감의 원천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조별과제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efficacy in team projects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collective-efficacy based on Bandura``s social cognitive theory. For this study, 1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face-to-face interviews. In research question 1, students`` team project experiences were examined for two conditions; when collective-efficacy was high and when collective-efficacy was low. It was found that individual accountability and the differences in interaction among team members were the source of differences in collective-efficacy level in team projects. For groups with high levels of collective-efficacy, members worked on assigned tasks sincerely with responsibility and exhibited fluid communication with one another while acknowledging and respecting each other``s strengths. By contrast, those with low levels of collective-efficacy lacked sincerity with the assigned tasks as well as problems in communication. Moreover, som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were only reported from the groups with high levels of collective-efficacy include holding trust and faith for other team members and transforming negative situation into positive one that could arise while working on a team project. In research question 2, the sources of the high/low collective-efficacy that appear in team projects were examined. All four sources of efficacy that were proposed by Bandura himself were confirmed as the sources of high collective-efficacy. As for the sources of the low collective-efficacy, only the previous experiences, verbal persuasion, and physiological arousal were reported.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team projects while exploring the sources of collective-efficacy.

      • KCI등재

        중학교 수업에서 교사리더십 발휘 과정에 대한 질적분석 연구

        문지윤(Moon, Giyoon),김병찬(Kim, Byeongchan)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에서 교사리더십을 발휘하는 교사들의 구체적인 교사리더십 발휘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실제적인 교육현장에서의 교사리더십 발휘 모습의 특징과 의미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동료 교사로부터 교사리더십이 있다고 추천받은 중학교 교사 8인을 대상으로 하여 질적연구방법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업에서 교사리더십을 발휘하는 교사들은 수업 도입 과정에서의 리더십으로 씨 뿌리기, 관계 만들기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전개 과정에서의 리더십은 “공간” 만들어주기, 같이하게 하기, 주인되게 하기의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마무리 과정에서의 리더십은 반복해서 채워주기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에서의 교사리더십 발휘 과정의 특징은 도입 과정에서 학생과 친밀한 관계형성을 하고 있었으며, 전개 과정에서는 적극적인 학생 참여를 촉진하고, 학생과 든든한 동행을 하며 상호작용을 하였다. 마무리 과정에서는 투철한 책임의식을 보여주는 특징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에서 교사리더십 발휘는 수업전문성의 확대를 의미하며, 이는 기존에 논의되었던 수업전문성만이 아닌 수업전문성의 영역을 넓혀 교사리더십이 동반되어야 함을 말한다. 또한 수업에서의 교사리더십 발휘는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서의 교사 역할 인식과,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의미하는 바이다. 마지막으로, 중학교는 과정중심평가와 절대평가를 실시하므로 여러번의 기회를 주어 학생을 편안하게 해주는 등 중학교 교사에게 주요하게 드러나는 교사리더십 모습이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리더십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해주며 기존의 수업전문성 개념을 확대하여 교사리더십의 필요성을 조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and its meaning of teacher leadership displayed in actual classes by examining sequences and processes of specific teacher leadership display of teachers who actually said to display teacher leadership in their classrooms. For this purpose, eight middle school teachers recommended by their colleagues for their teacher leadership display were chosen for this stud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dminister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ported that teachers who display teacher leadership in classroom tend to exercise their leadership during introductory phase of the class through seeding and building relationships. During its development phase, leadership were displayed in forms of making space, encouraging students to engage in group activities and assisting students to take ownership. Lastly, during the wrap-up phase, leadership was displayed by filling students’needs repeatedly.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display process of teacher leadership in classroom, during the introductory phase, teachers worked hard to build friendly and close relationship with students; whereas, during its development phase, teachers actively encouraged students’participation and formed close bond with active interactions. Lastly, during the wrap-up phase, teachers exhibited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s their students. Third, displaying teacher leadership in classroom refers to an expansion of teaching competence; accompanying teacher leadership that goes above and beyond the known aspects of teaching competence. Moreover, regarding teacher leadership display in classroom, it refers to teacher’s role awareness withi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s well as interactions. Lastly, a certain meaningful characteristic was examined from the middle school teachers. The present study shed lights on understanding what teacher leadership is and holds significance as it expanded the concept of teaching competence; going further from the previous findings and suggesting its need. Lastly, there were certain characteristics that were examined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ir teacher leadership.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hed lights on understanding what teacher leadership is; and expanded the concept of teaching competence by going further from the previous findings; and lastly, it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eacher leadership.

      • KCI등재

        비정형 환경에서 스마트 건설을 위한 이동 플랫폼 구현

        문지윤(Ji-Youn Moon),박용구(Yong-Gu Park) 한국전자통신학회 202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6

        비정형 환경인 건설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이동 플랫폼은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건설 현장 지형정보 수집 지원을 위해 비정형 환경에서도 강인하게 주행할 수 있는 이동 로봇 플랫폼을 소개한다. 제안한 이동 플랫폼은 종경사 뿐만이 아닌 횡경사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제안한 플랫폼의 단차 극복성능을 분석하였다. A mobile platform that can robustly operate in unstructured environments such as construction sites is an essential problem for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obile robot platform that can be applied to the unstructured environment to support the collection of geographical information at construction sites. The proposed mobile platform is designed to cope with not only vertical slopes but also side slopes, and the performance of overcoming the step difference of the proposed platform was analyzed through simulation experim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