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령층 여성의 우울증 여부 및 연령층에 따른 장악력 및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 연구

        문종훈,박경영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treng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depression in middle to older age women. Method : Data were collected from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2,133 women aged 40 and over were analyzed. strength was measured grip streng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by EQ-5D. As a main analysis, comparisons according to depression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 test. Result : The incidence of depression in women aged 40 and over was 7.9%. Women with depression were older than women without depression (p=.002). Women with depression had lower in levels of education (p<.001), right grip strength (p=.001) and left grip strength (p<.001), and EQ-5D index and all subcategory of EQ-5D was low (p<.001) than women without depression. In the sub-analysis by age, Women with depression showed a tendency for limitation of self-care, usual activities, pain/discomfort and decreased grip strength as the age increased compared to women without depression.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of improvement of self-care and daily living and reduction of pain in elderly depressed women is needed. 목적 : 본 연구는 중⋅고령층 여성의 우울증 여부 및 연령층에 따른 장악력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 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자료는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고 40세 이상 여성 2,133명을 추출하여 분 석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EQ-5D로 평가되었고 장악력을 측정하였다. 주요 분석으로, 우울증 여부에 따른 비교는 독립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40세 이상 여성의 우울증 발병률은 7.9%로 나타났다. 우울증이 있는 자는 없는 자에 비해 나이가 많았 고(p=.002), 교육수준이 낮았으며(p<.001), 오른쪽(p=.001) 및 왼쪽 장악력(p<.001), 그리고 EQ-5D index와 모든 하위영역이 낮았다(p<.001). 연령별 하위분석에서, 우울증이 있는 자는 없는 자에 비해 나 이가 들수록 자기관리, 일상생활, 통증/불편의 문제를 나타냈고 장악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울증이 있는 여성노인의 자조관리, 일상생활, 통증의 개선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노인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준과 일상생활 능력에 관한 연구

        문종훈,김예순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abilit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ccording to the disability level in elderly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grade and sub-domain of ADL. Method : Current investigation used raw data from 12th Korea welfare panel study. Among the total of 15,422 subjects, 495 elderly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et as age, gender, income, educational level, and disability grade. The ability of ADL was evaluated as 12 sub-domain of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B-ADL) and 10 sub-domain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In the main analysis, the researchers performed Spearmann correlation analysis an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 : In the correlation analysis, disability grad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bathing of B-ADL(r=-.315, p<.01) and grooming of I-ADL(r =-.302, p<.01). In the B-ADL total score, the probability of 'minimal assis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vere disability group compared to the mild disability group (OR=4.241, 95% CI 1.950-9.224, p<.001) in reference 'independence'. In the I-ADL total score, the probability of 'minimal assist'(OR=2.513, 95% CI 1.311-4.817, p=.005) and ‘maximal assist’(OR=4.837, 95% CI 1.229-19.030, p=.024)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vere disability group compared to the mild disability group in reference 'independence'. Conclusion : The higher the disability grade of elderly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more help was needed for bathing of B-ADL and grooming of I-ADL. The higher the disability grade, the more help was needed for the all sub-domain of AD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to improve ADL ability of elderly with physical disabilities according to disability grade. 목적 : 본 연구는 지체장애 노인의 장애수준에 따른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차이를 확인하고 일상생활의 하위영 역과 장애등급 사이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12차 한국복지패널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총 대상자 15,422명 중 지체장애 노인 495명이 분 석에 포함되었다. 일반적 특성은 나이, 성별, 소득, 교육수준, 장애등급으로 설정하였다. 일상생활 능력 은 기본적 일상생활 12가지 영역과 수단적 일상생활 10가지 영역으로 평가되었다. 주요한 분석으로, 연구자는 상관분석과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상관분석에서 기본적 일상생활 영역의 목욕하기(r=-.315, p<.01), 수단적 일상생활 영역의 몸치장하기 (r=-.302, p<.01)가 장애등급과 가장 높은 연관성을 나타냈다. 기본적 일상생활 총점에서 ‘독립’을 기 준으로 ‘약간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중증일 확률이 경증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OR=4.241, 95% CI 1.950-9.224, p<.001). 수단적 일상생활 총점에서 중증인 사람이 경증인 사람보다 ‘독립’을 기 준으로 ‘약간의 도움’(OR=2.513, 95% CI 1.311-4.817, p=.005)과 ‘최대의 도움’(OR=4.837, 95% CI 1.229-19.030, p=.024)에 속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지체장애 노인의 장애등급이 높을수록 기본적 일상생활에서는 목욕하기, 수단적 일상생활에서는 몸단 장하기에 대한 도움이 필요하였고 장애등급이 높아질수록 일상생활 하위영역에 대한 도움이 필요하였 다. 따라서 장애등급에 따른 지체장애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 작업치료 프 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치매 환자와 함께 거주하는 성인과 일반 성인 사이의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및 삶의 질 비교: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문종훈,김예순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8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and quality of life between general adults and adults living with dementia. Method :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raw data of the 2016 community health survey and compared between 2,592 adults living with dementia patients and 225,840 general adults. health were assessed for sleep time, stress level, depress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EQ-5D. Result : In comparis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and family number of adults living with dementia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adults (p<.001), income and eduation levels were low (p<.001), and marital status was higher rate of living with spouse (p<.05). In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dults living with dementia patients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sleep time than the general adults (p<.001), and stress level was higher (p<.001), the percentage of experience of depression was higher (p<.001), and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worse (p<.001). Adults living with dementia pati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quality of life total score and all sub-domain than general adults (p<.001).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improve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dementia patients' families. 목적본 연구는 치매 환자와 함께 거주하는 성인과 일반 성인 사이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및 삶의질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자료수집은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치매진단을 받은 환자와 함께 거주하는 성인 2,592명과 일반 성인 225,840명을 비교분석하였다. 건강은 수면시간, 스트레스 수준, 우울감 여부, 주관적 건강수준이 평가되었으며, 삶의 질은 EQ-5D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인구사회학적 특성 비교에서 치매 환자와 함께 거주하는 성인은 일반 성인보다 나이와 가구원수가유의하게 많았으며(p<.001), 소득과 교육수준이 낮았고(p<.001), 혼인상태는 배우자와 함께 거주하는비율이 더 높았다(p<.05). 건강에 대한 비교에서 치매 환자와 함께 거주하는 성인은 일반 성인보다수면시간이 길었고(p<.001),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으며(p<.001), 우울감 경험의 비율이 높았고(p<.001),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빴다(p<.001). 치매 환자와 함께 거주하는 성인은 일반 성인보다 삶의 질 총점과 모든 하위영역이 유의하게 낮았다(p<.001). 결론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치매 환자 가족의 건강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성인기 지적장애인과 주부양자의 특성, 사회적지지, 가족기능, 재활의 필요성 사이에 관련성

        문종훈,호승희,홍보균,김예순,오현민 대한통합의학회 2018 대한통합의학회지 Vol.6 No.4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and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social support, family function, and rehabilitation needs in caregivers. Methods : 98 pair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caregiv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caregivers. The evaluation included the level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ability to communicate, the health status of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 family income, the health status, the utility and the need for rehabilitation, the social support (multidimensional scaled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family function (adaptation, partnership, growth, affection, resolve, APGAR index) of caregivers were measu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relationship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social support, family function, rehabilitation needs of caregivers using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Rehabilitation need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p<.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caregivers (p<.05). Education level of caregivers affecte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R2=.058, p=.021). Communication abilit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ffected family function (R2=.071, p=.01). Social support of caregiv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family function (R2=.488, p<.001).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barriers to system of community rehabilitation should be lowered, and the authors discussed the results of present investigation. 본 연구는 성인기 지적장애인과 주부양자의 특성, 사회적지지, 가족기능, 재활의 필요성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성인기 지적장애인과 주부양자 98쌍이 참여하였다. 조사자는 지적장애인과 주부양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측정은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수준, 의사소통능력, 주관적 건강상태, 그리고 주부양자의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지지, 가족기능, 재활의 필요성과 이용여부에 대해 이루어졌다.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변수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재활의 필요성은 지적장애인의 나이(p<.01), 주부양자의 주관적 건강상태(p<.05)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주부양자의 교육수준은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R2=.058, p=.021).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능력은 주부양자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R2=.071, p=.01). 주부양자의 사회적지지는 가족기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R2=.488, p<.001).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 재활체계에 대한 장벽을 낮추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저자들은 현재의 결과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저압용 에어컨 압력센서 개발에 관한 연구

        문종훈,김기화 한국특허학회 2009 특허학연구 : 한국특허학회지 Vol.11 No.4

        최근 국내 산업의 추이는 노동 집약적인 산업에서 기술 집약적인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기술 개발은 더욱 더 필요로 한다. 현재 저압용 에어컨의 압력 조절은 스프링을 이용한 기계식으로 조절하여 사용하였으나 앞으로는 기존의 기계식 방식을 응용한 전자식 방식을 결합하여 센서의 연결을 위하여 파이프 배관의 제작과 함께 센서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자센서에 대한 사양과 회로구성 및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을 분석하고, 그리고 회로 구성과 배관과의 연관 관계에 의한 파이프 배관의 설계를 한다. 이러한 분석을 하고 난 후, 국산화 개발을 위한 모델을 정하고 시제품을 제작하여, 제작된 결과를 바탕으로 저압용 에어컨 압력 센서를 개발한다.

      • KCI등재

        건강관련 변수를 포함하여 결혼 필요성 인식 영향 요인 : 20-30대 미혼남녀 근로자를 대상으로

        문종훈,김예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s on perception of marriage needs in 20-30s unmarried workers. This study used raw data from the survey on the actual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of the youth of 2016. Among the 2,534 subjects, 904 unmarried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ependent variables were marriage needs,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age, sex, height, weight, education level, monthly income, parents' economic level, and health-related variables were self-rate health, stress, regular exercise, and life satisfaction includ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results, there were no factors influencing perception of marriage needs in 20s men, and Education was a predictor in 20s women. In 30s men, the more regular exercise, the less the monthly income,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marriage needs was. In the 30s women, the better the self-rate health,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marriage needs wa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ealth may affect the marriage perception of 30s unmarried workers. 본 연구는 20-30대 미혼남녀 근로자의 결혼 필요성 인식 영향 요인으로 건강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6년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2,534명의 대상자 중 현재 근로자이며, 20-30대 미혼 남녀 904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종속변수는 결혼 필요성 인식여부이고, 독립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나이, 성별, 키, 몸무게, 학력, 본인의 월 평균 소득, 부모님의 경제적 수준이었고, 건강관련 변수로는 주관적 건강, 일상생활 스트레스, 규칙적인 운동 여부 및 삶 만족도가 포함되었다. 통계분석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20대 남성의 결혼 필요성 인식 영향 요인 변수는 발견되지 않았던 반면 20대 여성에서는 학력으로 나타났다. 30대 남성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할수록, 월 소득이 적을수록 결혼 필요성 인식에 긍정적이었다. 30대 여성에서 주관적 건강이 좋을수록 결혼 필요성 인식에 긍정적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30대 미혼남녀 근로자의 결혼인식에 건강이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