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판 청소년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I(K-SSRS:중고생용I)의 표준화:신뢰도와 타당도 그리고 유용성

        문성원 한국상담심리학회 200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5 No.2

        This study explored the validity and the ut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 - Secondary Student Form(SSRS-S Secondary Level; Gresham & Elliot, 1991). The SSRS-S Secondary Level was translated into Korean(K-SSRS: S Secondary Level I) and administered to 402 students at the secondary level. And they also completed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Loneliness Scale, SCL-90-R. Factor analysis of the K-SSRS resulted in four interrelated factors, 1 implying 'empathy', 2 'assertion', 3 'self-control', 4 'cooperation'. K-SSRS: S Secondary Level I correlated positively with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negatively with loneliness, and psychological symptoms. The implications of the cultural difference in social skills and the differential relationships of social skills to adjustment indexes, and the planning of preventive interven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Gresham과 Elliot(1990)의 중고등학생용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Social Skill Rating System; SSRS)를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학생용, 부모용, 교사용으로 이루어진 중고등학생용 SSRS중에서 학생용을 중고생용I로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고등학생 402명에게 K-SSRS:중고생용I을 실시하였는데,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요인 분석 결과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4 요인이 추출되었다. K-SSRS:중고생용I의 4 요인은, 공감, 주장성, 자기조절, 협동성으로 명명되었다. K-SSRS:중고생용I에 대한 부가적 타당도 자료를 얻기 위해서 K-SSRS:중고생용I과 더불어, 사회적 문제 해결 질문지, 고독감 척도, 간이 정신 진단 검사를 함께 실시하였다. K-SSRS:중고생용I에 의해 평가된 사회적 기술은 사회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해서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고독감이나 심리적 증상 차원들에 대해서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문화에 따른 SSRS 하위 구인문화에 따른 개념적 차이와, K-SSRS:중고생용I의 하위 구인들이 예방적 개입 프로그램의 계획 및 적용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응용적 의미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대·중소기업의 파트너십 강화요인이 SCM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성원,길종구,배한수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무한경쟁의 체제하에서 기업경영 패러다임이 개별 기업 간 경쟁에서 공급사슬 간 협력 네트워크의 경쟁으로 변하고,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 모델을 구축하는 연구의 필요성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기업의 SCM성과 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간 파트너십 속성요인을 선행변수로 하여 SCM 성과의 결과변수 사이의 상호연관성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협력기업 간의 파트너십을 더욱 공고히 하는 강화요인의 감정요인(신뢰, 관계몰입)이 행위요인(협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트너십 강화요인의 향상이 기업들 의 SCM성과와 경쟁력 향상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행위요인이 감정요인과 SCM성과 간의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분석하 는 것이다. 또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양극화 현상 해소로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는 기업 간 네트워크의 협력을 통해 자사의 핵심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상호 동반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공급사슬관리 전반에서 협력이 강조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파트너십의 속성이 SCM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상생협력 활동을 통한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협력을 맺는 것만으로 파트너십이 강화되지 않으므로 파 트너십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보다는 상호신뢰와 관계몰입을 기반으로 한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둘째, 협력이 더욱 강화될수록 재무성과와 비재 무성과가 향상되는 만큼 협력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노력과 실행이 필요하며, 셋째,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감정속성(신뢰, 관계몰입)만으로 SCM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고, 넷째, 협력을 통해 공급사슬 파트너가 시너지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했으나 협력이 신뢰 및 몰입과 SCM성과 간에 매개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 따라서 이러한 협력관계를 통해 상호호혜적 관계로 발전하여 협력기업 모두에게 성장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상생협력의 동반성장 모형의 적 용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파트너십 속성 중 어떤 요인이 구체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향후 분석 기업을 좀 더 다각적으 로 확대하고 구매업체와 공급업체의 관점에서 체계적인 분석과 검증을 수행해 나가야 한다는 한계점도 파악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need fo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existence and cooperation model between large corporations and SMBs to occupy the competitive edge when the paradigm of corporate competition is changing from the competition between individual companies into the competition between cooperative networks under the system of unlimited competi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partnership attributes between companies, which affected the achievement of SCM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were taken as the antecedents to analyze their interrelationship with the outcome variables of the SCM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se factors influence the emotional factors (trust, relationship commitment) and behavioral factors (cooperation) of the factors that intensify the partnership between cooperating companies, whether the enhancement of the partnership intensifying factors have significant impact on enhancing SCM performance and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ies, and whether the behavioral factors play the intermediary role between emotional factors and SCM performance.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mutual coexistence and growth by intensifying the company’s own core competences through the inter-corporate cooperation to contribute to securing corporate global competitiveness by eliminating the increasing polarization between large corporations and SMB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how the partnership attributes of large corporations and SMBs, whose cooperation is emphasized throughout SCM, influence SCM performance. The following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the result of cooperation for coexistence; First, the partnership is not intensified simply by signing a cooperation agreement, in that it is necessary to intensify cooperation based on mutual trust and relationship commitment instead of blind expectations for partnership.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and take actions to solidify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as much as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s would improve with stronger cooperation. Third, it is difficult to expect SCM performance solely based on the partnership intensifying emotional attributes (trust, relationship commitment). Fourth, it was expected that the cooperation would raise synergy effect for supply chain partners, however, could not play the intermediary role between trust-commitment and SCMperformance. This study proposed the possible application of the cooperation-based coexistence and co-growth model based on the idea that companies would develop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through a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provide all cooperating companies the chance for growth and derived the results by considering findings as well as limitations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ompanies analyzed in a more multilateral manner and to carry out systematic analysis and verification in the viewpoint of purchasers and suppliers in the future to verify which factor among the partnership attributes specifically has an impact.

      • KCI등재후보

        청소년을 위한 다차원적 병리적 인터넷 이용 증상척도(MSPIUA-S)의 개발 및 타당화

        문성원,김성식,이봉건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4 청소년상담연구 Vol.12 No.2

        This article describe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for Adolescent, Part I: Symptoms of pathological Internet use(MSPIUA-S). The MSPIUA is a self-report measure and consists of three parts. This study dealt with the MSPIUA-S of the total MSPIUA. In the first step, the total item pools of MSPIUA-S were developed and the content validity of preliminary versions of MSPIUA-S were examined. In the second step, item analysis,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were examined in the national sample of adolescents. The 9 sub-scales of MSPIUA-S were Academic Failure, Heavily Engrossed in Internet Login, Engrossed in Porn, Health Problems, Loss of Self-Control, Impaired Social Relationships, Virtual Relationship Orientation, Escape from Reality, Compulsive Preoccupation in Cyberspace. They had sufficient reliability. Evidence for its usefulness as a rating scale is presented. The results provide support for the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and content related validity of MSPIUA-S and demonstrated its versatility as a measure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이 연구는 청소년의 병리적인 인터넷 이용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MSPIUA)를 개발하고 그 타당 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총 3 부로 구성된 MSPIUA에서 증상척도(MSPIUA-S)에 대한 문항 개발 및 타당도 검증 과정이 연구 문제 1과 연구 문제 2를 통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연구 문제 1에 따라 문항의 개발 과 개발된 문항에 대한 전문가 평정 과정을 실시하였고, 얻어진 예비 문항에 대해 연구 문제 2에 따라서 전국 의 남녀 중고등학생들 819명을 대상으로 문항분석, 요인분석, 준거관련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었다. 연구 결과, 병리적 인터넷 이용으로 인한 증상들을 평가하기 위해서 개발된 MSPIUA-S는 이에 관한 매우 신뢰로운 방법 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문항들간의 내적 합치도 수준이 높았고 개별 문항들과 전체문항간의 문항-총점 상관이 높았으며, 요인분석에서는 학업적 실패, 과몰입적 접속, 음란물 몰입, 신체건강상의 문제, 자기 통제력 상실, 대인관계 손상, 가상의 대인관계 지향성, 현실도피, 인터넷에 대한 강박적 몰두의 9요인이 확인되 었다. Young의 인터넷 중독 척도와의 상관이 검토되었는데 MSPIUA-S는 Young의 인터넷 중독과 매우 높은 정도의 유의미한 상관을 형성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Young의 인터넷 중독 척도가 다루지 못하고 있던 의미있는 증상 차원들인 자기통제력, 현실도피, 신체적 문제등을 고르게 척도 내에 포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책임 문제에 대한 철학적 일고찰

        문성원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1 시대와 철학 Vol.12 No.1

        책임은 권한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제도적인 통념을 넘어, 근원적인 면에서 책임이 권한보다 우선하는 것임을 지적하고, 우리 책임의 범위가 과연 어디까지 미칠 수 있는 것인지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책임을 '응답'으로 해석하는 관점을 받아들인다. 이럴 때, 우리는 책임에서 행위 결과에 대한 고려보다 타자의 요구나 호소에 대한 고려를 앞세울 수 있다. 그 경우, 책임은 계산 가능성이나 대체 가능성, 호혜성 등을 넘어선다. 그러나 책임의 이 같은 면에 주목하면 책임짐을 일종의 희생으로 받아들일 여지가 크다. 여기에 대해 본 논문은, 자크 데리다의 논의를 빌어, 책임짐과 관련된 모든 행위가 오히려 타자를 회생시키는 면이 있음을 지적한다. 타자에 대한 우리의 응답은 한정되어 있는 까닭이다. 결국 본 논문은, 우리가 타자와의 관계를 열어 놓는 한, 우리의 책임은 지속적으로 무한한 것이 될 수밖에 없음을 시사한다. It is said that responsibility is a function of rights. But relation to the other, our responsibility is to be accepted as infinite. this is a judicial view which has no insight into the deepest meaning of responsibility. Philosophically considered, the responsibility is prior to any right. It can be understood as a response to the other. Such a responsibility exceeds the consideration of results, the possibility of calculation, and the substitutional reciprocity. Then, isn't it a sacrifice of oneself to the other? According to Jacques Derrida, however, all of our deeds of responsibility rather sacrifices the others, because our response is always limited. "Tout autre est tout autre"(Every other one is every bit other). So it is suggested that if we are open to the

      • KCI등재후보

        청소년을 위한 다차원 병리적 인터넷 이용 척도(MSPIUA)의 개발 및 타당화 : 2부-심리적 원인 척도(MSPIUA-C)

        문성원,김성식,이봉건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5 청소년상담연구 Vol.13 No.1

        This article described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for adolescent(MSPIUA) - Part II(MSPIUA-C). The MSPIUA-C was a self-report measure and assessed the psychological causes of the pathological Internet use. The total item pools of MSPIUA-Part II were developed and the content validity of preliminary versions of MSPIUA-C was examined. Item analysis,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MSPIUA-C,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SPIUA-C and MSPIUA-S were also examined in the national sample of 819 adolescents. The 9 sub-scales of MSPIUA-C were Self-Efficacy, Impulsivity, Family Cohesiveness, Teacher Support, Problem Solving, Peer Support, Helplessness/Low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Low Anger-Control. They had sufficient reliability. Evidence for its usefulness as a rating scale was presented. The results provide support for the reliability and the construct validity and demonstrated its versatility as a measure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이 연구는 청소년의 병리적인 인터넷 이용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MSPIUA)를 개발하고 그 타당 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총3부로 구성된 MSPIUA에서 2부: 심리적 원인 척도(MSPIUA-C)에 대한 문항 개발 및 타당도 검증 과정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연구진이 개발한 잠정적 문항들을 전문가 평정을 거친 후 예비 척도로 정리하여, 전국의 남녀 중고등학생 819명에게 실시하고 문항분석 및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 인분석에서는 자기 효능감, 충동성, 가족 응집성, 교사 지지, 문제 해결 능력, 친구 지지, 무기력/낮은 자존감, 사 회적 유능감, 낮은 분노 조절능력의 9요인이 확인되었고, 이들 9개 요인을 대상으로 한 상위 요인 분석에서는 보호 요인과 위험 요인으로 이루어진 2 요인 구조가 밝혀졌다. 요인 분석을 통해 확인된 심리적 원인 척도가 증 상 척도와 구체적으로 어떠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각각의 소척도를 이용한 중다회귀분석 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MSPIUA 2부 척도와 1부 척도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으며, 소척도별로는 MSPIUA-C중 요인1, 요인2, 요인3, 요인5, 요인6, 요인7, 요인8과 1부 척도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병리 적 인터넷 이용에 대한 원인론으로서의 심리적 특성들이 증상에 대하여 가지는 기여 정도가 논의되었고, 3부 척 도와 관련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