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재가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작업수행 기술에 미치는 효과

        문광태(Moon Kwang-Tae),박혜연(Park Hae Yean),김종배(Kim Jong-Bae)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2

        목적 :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뇌졸중 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장애인의작업수행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작업 수행의 질과 만족도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고, 뇌졸중 진단을 받은 심한장애인 1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과정은 2019년 5월 21일부터 2019년 9월 7일까지 17주간 총 25회기(기초선 A 5회기, 중재 기간 B 14회기, 기초선 기간 A’ 5회기, 추적 기간 1회기)로 진행하였다. 중재는 연구자가대상자의 집으로 방문하여 진행되었다.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에 따라 중재 모델 선정 및 적용하였으며, 중재에는 과제 제공 및 피드백, 관련 정보 교육, 가정환경 수정, 지역자원 연계가 포함되었다. 작업기반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한 이후 일상생활에서 작업수행기술의 빈도 변화, 작업수행 만족도,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는 선형그래프와 막대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손 닿는 곳의 상의 입기, 침대에서 양말과 실내화신기, 의자에 앉아 신발 신기 기술과 일상생활활동이 향상되었다. 작업수행기술 평가 결과 대상자의작업수행 기술의 질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작업수행 만족도 또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작업수행기술을 향상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작업수행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뇌졸중 대상자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애 유형별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보편화 되기를 기대해 본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on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disabled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occupation quality and satisfaction. Methods : In this single-subject ABA design study with follow-up evaluation, one severely disabled person diagnosed with stroke who lived in the community was recruited. The procedure consisted of a total of 25 sessions for 17 weeks. Intervention was according to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and the researcher visited the subject’s home. Individualized intervention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OTIPM. The intervention was composed of task assignment and feedback,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information-related caregiver education, and community resource network. The evaluation of each session included the changes in the frequenc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in daily life, and the changes in occupational satisfa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and maintenance of i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during follow-up. The results were visually analyzed using a bar graph and a linear graph.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improv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uch as putting on socks, shoes slip-on, and upper body dressing garment within reach.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MPS, it was confirmed that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was improved in all the subject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lso improved.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occupation-based rehabilitation can improve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of stroke home disabled people positively affect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in daily life. Therefore, I think it is meaningful that useful for them.

      • KCI등재

        코로나 시대의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기기 적용의 사례연구

        양승완(Yang, Seung Wan),문광태(Moon, Kwang Tae),김종배(Kim, Jong Ba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현상으로 인하여 건강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에게 디지털 헬스케어기기를 적용하여 변화를 확인하고 인터뷰를 통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장애인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건강관리와 삶의 질의 융복합적인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효율적인 전략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를 받는 장애인 2명을 대상으로 산소포화도, 폐활량, 맥박, 혈압, 온도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헬스케어기기를 적용하여 이에 따른 삶의 질을 관찰하였다. 폐의 기능을 관찰하기 위해서 폐활량측정기 PF-200을 사용하여 최대호식기류(PEF),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을 측정하였으며 산소포화도와 맥박을 측정할 때에는 델로나 산소포화도 맥박측정기를 사용하였다. 혈압 측정에 사용된 기기는 오므론 혈압측정기 HEM-7121이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세이프스타트 온도측정계를 사용하였다.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척도로는 삶의 질 척도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디지털 헬스케어기기가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차이점을 확인하였으며 평가 후 인터뷰를 통하여 장애인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기기의 적용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기기를 선정하여 제공하는 것보다 대상자에게 맞는 적절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를 적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또한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수를 증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perform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disabled by applying digital health care devices to the disabled who have difficulties in health management due to the COVID-19 phenomenon, confirming changes, and conducting case studies through interviews.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bout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are and quality of life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effective strategies for integrated care in the local community. The quality of life was observed by applying a digital health care device capable of measuring oxygen saturation, lung capacity, pulse, blood pressure, and temperature for two persons with disabilities receiving integrated care in the local community. To observe lung function, the maximum expiratory flow (PEF)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FEV1) in 1 second were measured using a spirometry PF-200. When measuring oxygen saturation and pulse rate, a Delona oxygen saturation pulse meter was used. The device used to measure blood pressure was an OMRON blood pressure monitor HEM-7121, and a Safe Start therm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The quality of life scale WHOQOL-BREF was used as an evaluation scale to measure quality of life. In order to find out how digital healthcare devices affect the quality of life, the differences were checked before and after the evaluation,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disabled through interviews after evaluation.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digital health care devi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future research, it will be necessary to apply a suitable digital health care device to the target person rather than select and provide a digital health care device.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a study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ubjects is necessary to generalize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