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음악과 교육과정의 역사적 고찰

        오지향(Oh, JiHyang),문경숙(Moon, Kyungsuk),최미영(Choi, M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본고는 제1차 교육과정에서 현행 2009 개정에 이르는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개념적 접근법’의 도입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살펴보고, ‘개념적 접근’으로 인한 음악교육과정의 체제 및 내용의 변화에 대해 역사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미국에 서 시작된 ‘개념적 접근법’은 음악의 내재적이고 본질적인 가치가 교과 목표로 강조되기 시작한 제4차 시기에 도입이 시도되어 제7차까지 ‘이해영역’으로서 지속적으로 계승 발전되었으며 한국의 음악교육에 중요하게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음악의 외적 가치가 교과 목표로 주요하게 반영되기 시작한 2007 개정 이후 현행 2009 개정에 이르기까지 음악개념지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하향 조정되는 추세에 있다. 이는, 현행교육과정에서 오랜 기간 동안 음악개념지도가 반영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음 악개념지도가 한국 음악교육에 완전하게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한국의 음악교육에 음악개념지도를 적용하는 문제는 단순히 교육과정의 문제로만 검토가 이루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음악 교과서와 같은 실제 적인 교수․학습 자료의 효율성 문제와 함께 면밀하게 살펴보고 검토가 이루어져야한다. ‘개념적 접근법’을 대체할 만한 대안적인 이론이 확립되지 않은 현 단계에서 이해 영역’의 취사선택은 성급한 시도이며, 교육과정이 바뀔 때마다 음악개념에 대 한 내용을 변경하기 보다는 한국의 음악교육환경에 맞는 음악개념을 선정하고 교수 학습방법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transition of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current 2009 amendment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was examined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time period prior to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ceptual approach” and studied the changes in the system and the content of the music curriculum brought about by this conceptual approach.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ual approach”, which was first implemented in the U.S. ,was tried during the fourth curriculum period when the intrinsic and essential value of the music came to be emphasized as a curriculum objective. The approach was continuously developed as an “area of understanding” up to the seventh curriculum period and has been established as an important part of music education in Korea. Since the 2007 amendment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when the external value of music started to be viewed as a key curriculum objective, until the current 2009 amendment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music instruction using the conceptual approach has diminished. This seems to because music instruction using the conceptual approach has not fully taken root in Korean music education, although such instruction has been reflected in the current curriculum for a long time.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o consider the issue of applying the conceptual approach to Korean Music education simply as a matter of formulating the right curriculum; careful review of such an educational approach should be undertaken together with an examination of the efficiency of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ch as music textbooks. Currently, as an alternative theory to the conceptual approach has not been established, selecting another “area of understanding” would be a rash. Rather than changing the content of musical concepts every tine the curriculum changes,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musical concept appropriate for Korea’s music education environment and continuously investigate the releva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핵심역량에 대한 공주교육대학교 구성원의 인식 조사

        권성룡(Sungyong Kwon),문경숙(Kyungsuk Moon),김창현(Changhyun Kim),서장원(Jangwon Seo),김현주(Hyunju Kim),손재천(Jaecheon Sohn),이우진(Woojin Lee)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敎育論叢 Vol.56 No.3

        본 논문은 공주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을 역량중심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공주교육대학교의 구성원들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기 위해 전임교원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참여인원은 전임교원의 경우 전체 73.5%에 해당하는 61명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재학생은 약 25%에 해당하는 353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전임교원의 경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가장 필요한 역량으로 창의적 사고 역량(28.6%), 공동체 역량(21%), 의사소통 역량(20.2%)으로 답하였다. 우리학생들에게 가장 부족한 역량으로는 공동체 역량(24%), 자기관리 역량(20.7%), 창의적 사고 역량(19.8%)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정서, 의사소통, 사회적 역량(28.2%), 태도, 윤리 및 가치 역량(24.7%), 문화 및 다문화 역량(14.4%) 순으로 나타났다. 재학생의 경우,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6가지 핵심역량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역량은 자기관리 역량(30.6%), 의사소통 역량(28.6%), 창의적 사고 역량(21.0%)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실시중인 역량계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35.1%의 학생들이 학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프로그램에 대해 알지 못한다.’는 반응이 4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 외에 ‘참여할 시간이 없다.’(26.7%),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이 없다.’(9.2%),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제한이 많다.’(8.4%)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런 반응에 대해서도 추후 프로그램 계획이나 실행에서 참고할 필요가 있다. This survey was done as part of the basic research to transform our university curriculum into a competency-based. To examine the members awareness of core competenc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full-time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Sixty-one full-time lecturers(73.5%)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le 353 students(about 25%)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 the case of full-time faculty members, respondents answered that creative thinking competence(28.6%), community competence(21%) and communication competence(20.2%) were the most necessary competencie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the question of the most deficient competencies to our students, they answered in the order of community competence(24%), self-management competency(20.7%), and creative thinking competence(19.8%). For the questions about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pre-service teachers, the answer was in the order of emotion, communication, social competence (28.2%), attitude, ethics and value competency (24.7%) and culture and multicultural competency (14.4%). In the case of students, respondents answered that among the six core competenc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lf-management competence(30.6%), communication competence(28.6%), creative thinking competence(21.0%) were the most important competencies. As for the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being implemented at the school, 35.1%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participated in various programs provided by the school. The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45.8%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did not know about the program. This suggests a lack of publicity for the programs offered by schools. In addition, 26.7% said they don t have time to participate, 9.2% said they don t have a program they like, and 8.4% said they have a lot of restrictions on their participation. This response also needs to be considered in future program planning or imple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