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이야기 속의 이야기〉 사운드 분석

        목혜정(Haejung Mo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0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0

        애니메이션은 일반 영화와 마찬가지로 이미지와 사운드가 결합하여 의미와 감동을 만들어낸다. 유리 노르슈테인의 〈이야기 속의 이야기〉는 다양한 음악과 음향효과가 이미지와 잘 결합했다는 점에서, 애니메이션 사운드분석의 좋은 사례가 되는 작품이다. 본 연구는 이 작품 속에서 사운드가 어떤 기능을 하면서 의미를 만드는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일반적으로 사운드는 대사, 음악, 음향효과라는 세 개의 영역으로 나눠지며, 애니메이션은 각 영역에 독특한 미학적 특성이 있다. 대사에 사용되는 목소리는 캐릭터의 이미지에 맞춰 창조되며, 음악에서는 특별히 이미지와 리듬의 결합이 중요하다. 음향효과 면에서도 애니메이션에서는 단순한 소리의 모사가 아닌 움직임의 묘사라는 성격이 강하다. 본 연구는 이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눠 사용된 사운드를 분석하되, 청점과 주관적 사운드, 사이음의 개념도 분석을 위해 사용했다. 작품에 사용된 러시아 자장가는 멜로디의 변주와 반복을 통해 전체 내러티브의 모티브로 기능을 한다. 아기와 늑대의 청점을 통한 주관적 사운드의 사용은 작품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캐릭터에 특별한 위상을 부여한다. 음악과 이미지의 반복적 결합, 음향효과의 언어적이고 주석적인 기능, 그리고 비교적 관습적인 음악과 음향사용은 작품의 가독성과 감동을 높여준다는 것들은 이 작품의 전체적 사운드사용의 특징이다. Animation creates meaning and affection by combinig image and sound like film. 〈Tale of tales〉 directed by Yuri Norstein is a good text for analyzing animation sound in that it combines image and various music and sound effects well.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way that sound function to make meaning in this text. Generally sound is categorized into dialogue, music, and sound effect. And animation has its own characteristic in each category. The voice for dialogue is created corresponding to the image of the character and the rhythm is very important in Animation. Plus Sound effect in animation can be said to mimic not just sound but also movement. This study analyzes sound based on three sound factors and the concepts of the point of listening, subjective sound, and sound bridge. Subjective sound using the point of listening of the wolf and the baby bestows a special position on the main characters in the text. It is the overall characteristic of the sound use of this text that the repetitive combination of sound and image, the linguistic and annotative function of sound effect, and comparatively conventional use of music and sound effect enhance the affection and readability.

      • 김기영 〈하녀〉와 임상수 〈하녀〉의 사운드 비교분석

        목혜정(Mok Haejung)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0 씨네포럼 Vol.0 No.11

        2010년 임상수의 〈하녀〉가 김기영의 〈하녀〉의 리메이크임을 표방하면서 임상수의 〈하녀〉는 김기영의 〈하녀〉의 어떤 부분을 계승했으며 어떤 점이 다른지에 대한 논의가 자연스럽게 촉발되었다. 주로 제기된 논점은 장르적 특성과, 시대성을 영화에 담아냈는가의 문제, 관객성의 문제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점에 사운드를 통해 접근하여 하나의 의견을 제시한다. 장르적 성격이 강한 영화는 관습화된 음악과 음향을 사용하며 그 사용 빈도도 높다. 김기영의 〈하녀〉는 불협화음과 무조성의 음악이 영화 전체에 지속적으로 쓰이고 임상수의 〈하녀〉는 주로 서정적 스코어 음악과 클래식 음악이 사용된다. 음향도 일정한 시대성을 담으며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관객 또한 이런 관습적 음향사용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작품의 내러티브와 관객의 동일화를 이해하기 위해 이 두 작품은 사운드 분석이라는 방법이 유효하다. 사운드를 분석한 결과 김기영의 〈하녀〉는 공포영화의 장르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공포를 일으키는 자는 중산층 가정에 위협을 주는 하녀지만 하녀는 거꾸로 공포를 느끼는 자일 수도 있는 틈새가 있으며 이를 통해 근대가 낳은 다층적 하이어라키에서의 대립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공포영화의 관객의 동일화가 공포를 받는 사람들에게 향한다고 볼 때 관객은 중산층 가족에게 동일시를 느끼겠지만 역시 그 역의 동일화도 존재할 수 있으며, 영화가 흥행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동일화가 동시대 사람들의 삶의 모습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분석했다. 임상수의 〈하녀〉는 스코어 음악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서정적 음악이 주로 사용되는 멜로드라마적 특성이 강하며 클래식 음악은 상류계급의 위선을 풍자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시대를 표현하는 앰비인스 소리를 사용했지만 전체 내러티브와의 연결이 되지 않아 시대성을 잘 담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그리고 영화 중 하녀의 캐릭터가 불분명함으로 인해 멜로드라마로서의 약자의 동일시나, 동시대적 인물로서의 관객 동일화가 쉽지 않았음을 지적했다. The discussion of where 〈The Housemaid〉 by Im Sang-Soo succeed to The Housemaid〉 by Kim Ki-Young and wher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m has been made, the one claiming to remake the other. The points at issue raised are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the trait of the times, and spectatorship. This study will suggest an opinion about these points of issue through the analysis of sound. The movies which have the strong characteristics of genre use conventional music and sound effects and also use them frequently. The music pieces of atonality and discord are used continuously in 〈The Housemaid〉 by Kim Ki-Young. And lyrical score pieces and classics are used in 〈The Housemaid〉 by Im Sang-Soo. There are many cases where sound effects contain kind of traits of times and convention. So Spectators are also influenced by these music and sound effects. That’s why it is valid to analyze sound to understand the narrative and the identification of spectator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sound, 〈the Housemaid〉 by Kim Ki-Young has the characteristics of horror movie and that the one arousing horror is the housemaid threatening a middle class family but the housemaid can also be threatened, so there is the confrontation among classes in layered hierarchy in modernity hence the possibility that the identification of spectators are towards both the threatening and the threatened. And the most importantly this movie is based on coeval story and class. 〈The Housemaid〉 by Im Sang-Soo has the characteristics of melodrama mainly using lyrical score pieces and classic music, and classic music is read satirizing the hypocrisy of the highest class. And it does not contain the trait of the times in that the ambience sound is not interwoven into narrative. Also there is the difficulty of identification because of the ambiguit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roin.

      • KCI등재

        한국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김윤아(Kim Yoona),목혜정(Haejung Mo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6

        이 논문의 목적은 <마당을 나온 암탉>의 성공요인을 분석하여 한국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2011년 개봉한 <마당을 나온 암탉>은 1976년 76만 관객을 동원한 <로보트 태권V> 이후 200만 관객 동원이라는 새로운 흥행 기록을 달성하며 기획력과 시나리오 부재, 하청 중심의 제작환경 등으로 지지부진하던 한국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에 성공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흥행 성공은 영화와 애니메이션 간의 산업적 분업이 있어 가능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분석을 위해 여러 매체의 자료들과 <마당을 나온 암탉>의 김선구 프로듀서의 심층 인터뷰를 행했다. 분석 결과, 다음의 다섯 가지 성공요인을 찾을 수 있었고 각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논증과 분석으로 논문의 본론을 구성하였다. 1.제작 방식은 상업영화와 같이 철저한 기획에 의해 시작되고 진행되었다는 것, 2.제작에 있어서도 전문적인 세부 전공에 따라 분업화된 업무 분담이 있었다는 것, 3.투자자의 성격에 따른 순차적 자본의 유치가 가능했던 점, 4. 롯데, CJ 같은 배급사를 통한 대규모 스크린 수를 확보하는 배급망이 구축됐던 점, 5.영화와 애니메이션 두 분야를 조율하는 프로듀서가 있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의 발전을 위해 산업적 측면과 인력양성의 측면에서 제언을 하였다. 산업적 측면에서는 투자 배급 라인을 가진 영화산업과의 과도기적 협업 혹은 연대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기획, 투자, 배급, 마케팅과 같은 산업적 접근은 실사 영화와 경쟁관계에 있는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의 성공에서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또 인력양성의 측면에서는 대학교육의 커리큘럼 제고를 제안하였다. 단시간 내에 이루어지기는 쉽지 않겠지만, 애니메이션 업계 내부에서 재능과 열정이 있는 인재 양성이 무엇보다 절실하며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애니메이션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feature length animation for movie theater by analyzing of the reasons of the success of <Leafle, A Hen into The Wild>. <Leafle, A Hen into The Wild> released in 2011 has broken box office records by drawing 2 millions since <Robot Taekwon V> drew 760 thousands in 1976. This can be one of the success model of the animation for movie theater, considering it has had trouble not only in planning ability and scenario power but also in producing environment where subcontracts are prevalent. This box office hit seems to have been possible through cooperation and division of movie crews and animation crews. Many kinds of materials are reviewed and producer Kim Seonku was interviewed for analysis of the reasons of box office success. Followings are five reasons of success found as the result of analysis and the body of this article is composed of the argument and analysis of each. 1.This animation was planned and produced in the same way of commercial feature films. 2.There was detailed division of work while producing 3. Various kinds of investments were made sequentially, 4. Major film distributor like Lotte and CJ could be motivated 5. There were producers who can mediate between the animation and film field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both in the aspect of industry and the aspect of training professionals as the result of analysis. In the industrial aspect, transitional cooperation is needed between animation filed and film field which can motivate distributor. Industrial approach like planning, investment, distribution and marketing is absolute for the success of animation for movie theater. Also in the aspect of training professionals, curriculum needs to be improved in the university because the ability and passion of the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animation industry are the most important and education is the most approachabl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