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네덜란드의 파프리카 재배온실의 시설 내ㆍ외부 기상환경 비교

        정원주(Won-Ju Jeong),명동주(Dong-Ju Myoung),이정현(Jeong-Hyun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네덜란드의 상업적인 온실에서 파프리카의 전체 재배기간 동안 시설 내ㆍ외부 기상환경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간 생산량 차이 원인 분석을 함으로써 우리나라 파프리카의 시설내부 재배환경조건을 최적화 하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온실 모두 ‘Derby’를 공시하여 우리나라는 3.75주/㎡(2 stems), 네덜란드는 2.5주/㎡(3 stems), 1.875주/㎡(4 stems)로 암면에 수경재배 하였다. 두 온실 모두 재식주수는 상이하였지만, 줄기밀도는 7.5㎡/stems로 같았다. 양국의 파프리카 주별 생장량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전체 마디 대비 수확마디는 네덜란드가 우리나라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았다. 전체 재배기간 동안 일중 평균 광량은 우리나라 14.5MJ/㎡/day, 네덜란드 12.1MJ/㎡/day로 우리나라가 19.8% 높았다. 시설내부 24시간 평균온도는 우리니라 21.6℃, 네덜란드 21.2℃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지만, 우리나라의 시설내부 온도관리가 변화폭이 심하였다. 전체 작기의 시설내부 수분부족분(HD)은 우리나라 4.5g/㎥, 네덜란드 3.5g/㎥로 우리나라의 시설내부가 더 건조하게 관리되었다. 특히 우리나라 야간의 수분부족분은 매우 변화폭이 컸다. 주간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는 우리나라와 네덜란드가 반대의 경향으로 관리되었고 이는 네덜란드의 겨울철 난방 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시설내부로 시용한 결과에 기인한다. 일중 외부 광량 대비 시설내부 24시간 평균온도와 주간 이산화탄소 농도는 우리나라는 매우 불균일하게 관리되었지만 네덜란드의 경우 균일하게 관리되었다. 네덜란드의 시설 내ㆍ외부 환경은 우리나라에 비해 균일하게 관리되었고, 우리나라의 불균일한 시설내부 환경은 작물의 불균일한 생육을 유도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ims at comparison of climatic conditions of sweet pepper's greenhouse between Korea (KOR) and the Netherlands (NL) to find out the reason of much lower yield in KOR than NL focusing on greenhouse climatic conditions. Hence, greenhouse climate data were obtained from each one commercial glasshouse in both countries. The crops (cv. 'Derby') were grown on rockwool slab with two stems per plant with 3.75plants/㎡ in KOR and three stems per plant with 2.5plants/㎡ or four stems per plant with 1.875plants/㎡ in NL. Even though plant density was differed but stem density was on the same to 7.5stems/㎡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on weekly growth of sweet pepper plant both countries, whereas harvested nodes to whole nodes of NL's plant was more than two times higher compared to KOR. The averaged daily global radiation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s was 14.5MJ/㎡/day in KOR and 12.1MJ/㎡/day in NL. Averaged 24h temperature was similar to both glasshouse as 21.6℃ in KOR and 21.2℃ in NL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s, however the variance was higher in KOR than NL. Humidity deficit (HD) was observed higher in KOR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s. Averaged day CO₂ concentration was measured contrary pattern in both countries because of heating to greenhouse on NL winter season. Averaged 24h temperature and day CO₂ concentration to daily global radiation was regular pattern in NL, whereas there are large scatter in KOR. Consequently, more irregular greenhouse climate condition in KOR could be induced irregularly crop growth.

      • KCI등재

        파프리카의 생육 및 환경 요인과 증산량과의 관계 분석

        뉴엔타이(Nguyen Huy Tai),박종석(Jong Seok Park),안태인(Tae In Ahn),이정현(Jeong Hyun Lee),명동주(Dong Ju Myoung),조영열(Young Yeol Cho),손정익(Jung Eek Son)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1

        수경재배에서는 배지의 수분 보유력이 낮고, 배지 용량이 작기 때문에 정확한 증발산 추정을 통한 관수 조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육단계에 따른 관수조절을 위하여 누적 증산량과 일사량 및 VPD와의 관계 및 누적 관수량과 배수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파프리카(Capsicum annuum L. cv. Cupura)를 4.05주/㎡로 정식하였다. 엽면적은 1개월 단위로 파괴적으로 샘플링하였다. 생육단계 별 작물의 생체중, 엽면적, LAI가 증가하였다. 증산량은 슬라브의 무게, 관수 및 배수량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증산속도는 일중의 일사량 변화에 비례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주간의 누적 증산량은 누적 일사량으로 추정하였다. 생육 단계별 1일 누적 일사량과 누적 증산량은 2차 선형식으로 근사되었으며, 누적 VPD와 누적 증산량은 1차 선형식으로 근사되었다. LAI의 증가에 따라서 누적 관수량, 증산량, 배수량이 증가하였다. 세부적으로 누적 관수, 배수 곡선의 경사와 두 곡선의 경사의 차는 각각 0.312로부터 0.611, 0.154로부터 0.358, 0.158로부터 0.253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생육단계별 증산량 추정을 위한 방법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방법은 추후 생육 요인과 환경 요인에 따른 적정 관수량 결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n accurate moisture control with precise estimation of transpiration of plants is required for low capacity and small size of growing substrate in soilless culture. In this study, a relationship among cumulative transpiration, radiation, vapor pressure deficit, and a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irrigation and drainage with growth stage were analyzed for development of an optimum irrigation system. Paprika (Capsicum annuum L., cv. Cupura) plants were grown with a plant density of 4.05 plants/㎡. For obtaining leaf area index (LAI), leaves were sampled every month. The LAI increased from 2.39 to 3.51 for 4 months, reflecting growth stage. Cumulative transpiration wa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sum of cumulative drainage and an increase in slab weight from cumulative irrigation. Transpiration rate was changed responding proportionally to irradiation. By detailed analysis of transpiration and radiation, cumulative transpiration was regressed well with radiation integral by 2nd-order linear equations in different growth stages, while those with cumulative vapor pressure deficit was regressed by 1st-order linear equations. With increase of LAI, the slopes of cumulative irrigation and drainage curv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slopes increased from 0.312 to 0.611, from 0.154 to 0.358, and from 0.158 to 0.253,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estimated cumulative transpiration of paprika with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 plant growth stage and expect this data will contribute to making accurate irrigation strategy based on environmental and growing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