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증예(症例) : 혈액투석 도관 거치시 발생한 유도도선 (guide wire)의 대퇴정맥 내 삽입

        최혜은 ( Hye Eun Choi ),류제영 ( Jay Young Rhew ),선인호 ( In O Sun ),이신은 ( Shin Eun Lee ),이영재 ( Young Jae Lee ),최진화 ( Jin Hwa Choi ),이은영 ( Eun Young Lee ),김정화 ( Jung Wha Kim ),이광영 ( Kwang Young Lee )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6 全北醫大論文集 Vol.30 No.1

        When a hemodialysis catheter is placed a guide wire is inserted into a central vein first. The dialysis catheter is advanced over the guide wire. After the insertion of the catheter, the guide wire is removed. We experienced a case of accidental insertion of the entire guide wire, which was not removed by mistake soon after the placement of a temporary hemodialysis catheter into the right femoral vein. After 4 months chest X-ray revealed the guide wire in the right femoral through internal jugular veins. It was removed successfully via nonsurgical percutaneous retrieval with a loop snare with internal jugular approach.

      • KCI등재후보

        증가된 C - Reactive Protein 은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재협착에 대한 유일한 예측인자

        정우곤(Woo Kon Jeong),정명호(Myung Ho Jeong),김계훈(Kye Hun Kim),이상록(Sang Rok Lee),박옥영(Ok Young Park),염주협(Ju Hyup Yum),김원(Won Kim),김주한(Ju Han Kim),류제영(Jae Young Rhew),안영근(Youn Keun Ahn),조정관(Jeong Gwan Cho),안병희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2 No.4

        연구배경: 최근에 동맥경화 및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감염 및 염증인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 중재술 후 발생하는 재협착과 염증인자의 상관관계 및 CMV, C. pneumoniae, H. pylori 등의 감염과 상관관계에 대해서 전향적 조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9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처음으로 관상동맥 질환으로 진단된 후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후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받았던 272예 중 재협착이 발생하였던 재협착군 (99명, 134병변, 59.5±10.8세)과 재협착이 발생하지 않았던 비재협착군 (173명, 211병변, 58.8±10.2세)으로 나누어, 양군간의 세 가지 감염항체의 양성률 및 역가와 CRP를 측정하여 재협착과 연관성 등을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결과: 재협착군과 비재협착군에서 C. pneumoniae, H. pylori, CMV의 항체 양성률은 각각 27.3%와 26.0%, 61.6%와 63.6%, 100%와 100%로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CRP의 양성률은 재협착군과 비재협착군에서 각각 57.6%와 36.4%로서 재협착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p=0.001), CRP의 측정치는 3.38±5.80 mg/dL와 1.36±2.62 mg/dL로서 재협착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0.001). 관상동맥 재협착 예측인자에 대한 다변량 회귀 분석에서 CRP는 상대위험도 2.1169, 95% 신뢰구간 1.2062∼3.7154 (p=0.009)로서 재협착 발생에 대한 유일한 독립적인 위험인자이었다. 결론: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상 재협착군과 비재협착군에서 C. pneumoniae, H. pylori, CMV의 항체 양성률은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CRP의 양성률, 측정치 모두 유의하게 높았고, CRP는 재협착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일한 인자이었다. Background: Current techniques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s (PCI) remain limited by the restenosis. Recent studies provide evidence that inflammation plays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cardiovascular disease. Methods: We prospectively tested whether inflammatory markers are predictors of subsequent restenosis in 272 consecutive patients with angiographically proved coronary artery disease. The patients who underwent PCI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Sep. 1999 and Mar. 2001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restenosis on follow-up coronary angiogram: patients with restenosis (Group I: n=99, 59.5×10.8 years, M:F=77:22) and patients without restenosis (Group II: n=173, 58.8×10.2 years, M:F=131:42). IgG seropositivity and titer of CMV, C. pneumoniae, H. pylori, levels of C-reactive protein (CRP)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seropositivity of CMV IgG, C. pneumoniae IgG, H. pylori IgG between two groups (Group I vs. II: 100% vs. 100%, 24.7% vs. 25.7%, 62.2% vs. 63.7% in group I vs. II respectively). Among angiographic parameters, low TIMI flow (TIMI 0 or I) was more common in Group I than in Group II (p=0.038). The patients with elevated CRP (>0.5 mg/dL) were more common in Group I than those in Group II (57.6% vs. 36.4%, p=0.001) and the value of CRP was higher in Group I than in Group II (3.3±5.8 mg/dL vs. 1.3±2.6 mg/dL, p=0.001).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RP was the only predictor of restenosis with odd ratio of 2.1169 (95% C.I. 1.2062-3.7154, p=0.009). Conclusion: The value of CRP i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restenosis after PCI. (Korean J Med 62:405-414, 200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