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카페(online cafe) 활용 체육수업을 통한 여고생들의 교실공동체, 상호학습 및 수업 만족도

        류민정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여고생들의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대안적인 교수법으로 온라인 카페를 활용한 체육수업을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여고생들이 인식하는 교실공동체, 상호학습 그리고 수업 만족도는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S시 성숙여자고등학교(가칭)에 재학 중인 총38명(2개반)의여고생들이 온라인 카페 활용 체육수업에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Rovai(2002)의 교실공동체(classroom community) 척도와 Summers와 Svinicki(2007)의 상호학습(interactive learning)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체육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안성빈, 허만동, 류민정(2012)의 연구에서 사용된 체육수업 만족도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각 설문지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 회의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사하였으며, 문항 간 신뢰성을알아보기 위해 내적 일치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온라인 카페 활용 체육수업 전과 후(사전/사후)의 점수를 상호 비교하고자 대응표본 t-test(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카페를 활용한 체육수업을 통해 여고생들은 교실 내에서 ‘우리’라는 교실공동체 의식을 높일 수 있었고, 서로 도와가며 함께 상호학습 할 수 있었으며, 체육수업에 대해 더욱 만족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체육수업에서의 온라인 카페 활용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차후 많은 체육교사들이 여고생들의 체육수업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온라인 학습을 활용해 볼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class community, interactive learning, and class satisfaction when implementing online-cafes among highschool female students. For this study, 68 female students were involved and three kinds of test instruments were employed: Rovai(2002)’s class community scale, Summers and Svinicki(2007)' interactive learning sub-scale, and class satisfaction used in An, Huh, & Lyu(2012)’ study. To analyze the data, a series of paired t-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 indicated that female students were more intimate with and dependent on each other after implementing online-cafe classes. Also, their interactive learning and class satisfaction develop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online-cafe classes.

      • KCI등재

        예비 체육교사를 위한 전공 교과 논술 수업에 대한 고민과 탐색 : 한 대학의 ‘체육교과 논리 및 논술’ 강좌의 사례를 중심으로

        류민정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2

        All pre-service teachers are required to demonstrate logical thought and writing ability to express the focus of their work in today’s society. To decide if they can be a future teacher, the most important and most difficult exam component is an essay test in the national level qualifying test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 candidates of secondary schools. Recently, Universities have opened essay and writing classes in their majors for pre-service teachers. However, various professors and students have found challenges in the areas of essay and writing class in their majors because there are no preparatory classes related to these kinds of skill needs so 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eed for expanded essay and writing curriculum for physical education majors for pre-service teachers. Thus, this paper is described in terms of the methodological aspects and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in relation to this class. In this class, pre-service teachers listen to lectures which stimulate their thought processes and create opportunities for them to speak their opinions in the class. As a result, they can then understand each other in an online cafe and have opportunity to share their thoughts with each other and to discuss their opinions on particular topics. They organize their thoughts and opinions in the writing and make a group presentation in front of their peers. These activities and experiences create a foundation of basic skills and knowledge which will help professors organize and manage major essay and writing classes. 이제는 모든 예비교사들에게 논리적인 사고와 논술 능력을 요구하는 시대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중등교사를 선정하는 임용고사에서도 논술시험이 시행되고 있으며, 예비교사들을 양성하는 각 대학에서도 전공 교과 논술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껏 전공 교과에 대한 논술 강좌를 운영해보지 못한 많은 교수자들과 학생들은 논술 교육에 큰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 체육교사들을 위한 전공 교과 논술 수업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시작해보고자진행되었다. 체육 교과 논술 수업에 대한 하나의 사례 연구로써, 해당 수업의 운영․방법론적 측면에서 전공 교과 논술 수업을 이해하고, 학생들의 경험을 통해 학습활동과 과제들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예비 체육교사들이 경험한 다양한 활동을 살펴보면, 생각을 깨우며 말해보기로 시작하는 이론 강의를 통해 논술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이해하고, 우리만의 공간 온라인 카페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원활한 관계 형성 속에서 서로를 알아가고, 네 생각과 내 생각을 공유하며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고 이해하는 토론과 논쟁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내 생각을 말하기에서 글로 풀어내는 글쓰기 논술을 수행하고, 타인과 함께 계획하고 구성하는 그룹발표를 통해 논리와 논술 수업의 꽃을 피우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과 경험에 대한 정보들은 차후 체육 교과 전공 논술 강좌를 구성하고 운영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Gender, School Year, BMI, Perceived Weight, and Body Image in Korean Adolescent

        류민정 한국체육학회 2011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movement science Vol.5 No.1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s of body image, focusing on gender, school year, BMI, and perceived weight differences in Korean adolescents. In addition,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gender, school year, BMI, and perceived weight) on body image were examined. Methods: Participants were 848 students (472 males and 376 females) in middle schools. The multidimensional ody-Self Relation Questionnaire (MBSRQ) was used to investigate students’ body image (appearance evaluation, appearance orientation, and weight preoccupation). Also, BMI and perceived weight were calculated. Chi-square analysis, MANOVA with the Duncan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and Conclusions: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body image differed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these differences must be viewed in light of interaction effects. Als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lso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prediction of body image.

      • KCI등재

        지방재정압박의 원인과 개선과제: 정부간 재정관계를 중심으로

        류민정 한국지방재정학회 2015 한국지방재정논집 Vol.20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of fiscal stress of local government and to discuss ways to improve intergovernmental fiscal relations. Local fiscal stress on the causes of intergovernmental fiscal relation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fiscal imbalance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giving a burden on local government financial expenditure. Despite the increase in local government spending and secure funding through local taxes is a difficult situation. Eventually the local government is growing more dependent on the central government. Second, the tax policy -acquisition,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of the central government-led and social expenditure policy was contributed to decreased tax revenues for local governments. While there have been made despite the financial burden on local governments without policy does not reflect the views of the local governments has limitations in that it promoted. Third, the central government is strengthening the financial control of the local government through grants. The national disbursement fund is operating in the form of matching funds. Accordingly, the more national disbursement fund to be weighted financial burden of the local government. To recover financial situ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redesign the financial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Therefore, the local tax reform to expand the own revenue of local government, and by adjusting the affairs of state aid projects should readjust the resources sharing between governments.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압박 원인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정부간 재정관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앙과 지방자치단체 재정관계 속에서 살펴본 지방재정압박 발생원인은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중앙과 지방자치단체간 비대칭적인 조세・재정관계는 자치단체의 재정지출에 부담을 주고 있다. 자치단체의 의무지출은 증가하는 반면 지방세를 통한 재원확보는 요원하여 결국 중앙정부에의 의존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둘째, 중앙정부 주도의 감세정책(취득세, 종합부동산세)과 복지지출정책은 지방자치단체의 세수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부담이 수반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치단체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채 정책이 추진되었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셋째, 중앙정부는 국고보조금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재정적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국고보조사업은 매칭펀드 형태로 운영되기 때문에 보조사업을 많이 할수록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부담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 지방재정압박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자체세입으로 자치사무를 집행할 수 있도록 중앙-지방간 재정관계를 재설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방세 개편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자체재원을 확충하고, 국고보조사업의 사무를 조정하여 중앙-지방간 재원분담을 재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목적세입의 평가와 개선방안: 교육재원을 중심으로

        류민정 한국지방재정학회 2011 한국지방재정논집 Vol.16 No.1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optimality of earmarked educational revenues and to present improvement proposal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optimality evaluation of earmarked educational revenues will be made through two steps of analysis. At the first level of analysis,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is made with two criteria of the necessity of local earmarked programs and the scope of educational programs. At the second level of analysis, the evaluation of financial resources is undertaken with two criteria of the linkag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and financial resources, and the linkages between expenditure and financial burdens. The results of evaluation and improve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scope of educational programs is too broad and ill-defined to make a specific earmarked revenues. Therefore, this paper is recommending for redefining the purpose of earmarked educational revenues. Secondly, earmarked educational revenues are to seek some or all of the collections from a specific tax for a specific expenditure. Therefore, the recommendation is made for earmarked educational revenues to be replaced for income tax base and land tax b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