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소비자의 한국식품에 대한 소비가치와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구매의도 연구 : 국가이미지의 조절효과 검증

        류미현(Ryu, Mi Hyun),이영희(Lee, Younghee) 한국소비문화학회 2020 소비문화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경제발전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식품 구매력의 증대와 함께 수입식품에 대한 선호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중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식품의 구매의도를 살펴보았다.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였으며, 계획행동이론 변수들간의 관계 및 국가이미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한국식품 구매태도와 소비가치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쾌락적 소비가치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식품 구매관련 계획행동이론 변수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주관적 규범이 구매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식품 구매의도에 대한 계획행동이론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 구매태도가 구매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국소비자가 갖고 있는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주관적 규범과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한국식품 구매태도를 고취시키기 위하여 실제 식품의 소비 경험을 통한 즐거움, 행복감 등 쾌락적 소비가치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소비자 측면에서도 한국식품과 관련된 소비문화가 품질의 향상과 안전을 기본으로 하여 한국 고유의 특성을 겸비한 글로벌한 소비문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 주체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observed the purchase intentions of consumers regarding Korean food in China. The study was conducted on adult consumers in China and applications were made of the consumption values of consumers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verify the influential factors of purchase intentions along with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national ima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food purchasing behavior and consumption values, hedonic consumption valu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ttitude. Second, observations of relationships amo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variables related to showed that subjective norms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attitudes. Third, observations of the influential power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variables regarding Korean food purchase intentions showed that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purchasing attitudes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s. Lastly,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 image i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norms and purchase intentions with regard to Korean food purchasing. In order to enhance Korean food purchasing attitudes through research result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not only the practical consumption value of food, but also the hedonistic consumption value such as pleasure and happiness can be formed through actual consumption experience. In addition, consumers will need to make independent efforts to form a safe and ethical domestic food-related consumption culture.

      • KCI등재

        대학생소비자의 즉석섭취식품 안전만족도에 따른 재구매의도 및 추천의도

        류미현(Ryu, Mi Hyun),이승신(Lee, Seung Si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소비자들의 즉석섭취식품 안전만족도와 재구매의도 및 추천의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또한 제변수들이 안전만족도를 매개로 재구매의도 및 추천의도간에 어떠한 인과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소비자들의 즉석섭취식품 안전만족도가 낮은 부분의 만족도를 높이고 아울러 소비자들이 무분별하게 재구매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정확한 판단아래 본인의 재구매의도나 다른 소비자에게 추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즉석섭취식품의 안전한 선택과 이용을 위한 소비자교육의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즉석섭취식품 생산자, 판매자들의 경우에는 소비자만족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경쟁력 향상을 위한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조사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11월 20일 부터 12월 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448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대학생소비자들의 즉석섭취식품 안전만족도 수준은 평균 3.17(5점만점)로 절대적 수준으로 볼 때 낮음을 볼 수 있다. 이 중 유통기한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반면 성분표시와 식품의 신선도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소비자들의 즉석섭취식품 재구매의도 수준은 평균 3.30이고 추천의도는 평균 2.61로서 재구매의도에 비해 추천의도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총 인과적 효과는 즉석섭취식품 안전추구 구매행동이 가장 크고 그 다음은 구매횟수, 즉석섭취식품 안전만족도, 구매비용, 학교식당·매점, 학년, 즉석섭취식품 안전관련 지각된위험, 즉석섭취식품 안전중요도, 남학생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총 인과적 효과는 즉석섭취식품 정보탐색이 가장 크고 그 다음은 즉석식품전문점, 즉석섭취식품안전관련 지각된 위험, 학교식당·매점, 월평균용돈액, 즉석섭취 식품안전만족도, 통학, 구매비용, 즉석섭취식품 안전중요도, 구매횟수, 남학생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specifically examine the re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mong college students depending on their safety satisfaction with ready-to-eat foods, and to analyze the causal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safety satisfaction on the re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is study involves a survey conducted from November 20 to December 5, 2012. Total 44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one-way ANOVA, DMR test and t-test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dex of safety satisfaction with ready-to-eat foods among college student consumers is 3.17(highest score: 5) on average, which is low compared the absolute standard. In particular, the index of satisfaction with the shelf life was 3.26 on average, which was the highest, and that with the ingredient indication 2.96, and then that with the degree of freshness 3.10 respectively. Second, the index of repurchase intention of read-to-eat foods among college student consumers was 3.30 on average and that of recommendation intention was 2.61 on average. Third, as for the total causal effect of variables that affect repurchase intentions, the aspects affected include behaviors of purchasing safe readyto-eat foods, number of purchases, safety satisfaction with ready-to-eat foods, purchasing expenses, school cafeteria, school year, perceived risk related to safety of ready-to-eat foods, safety importance of ready-to-eat foods, and male students in the order. Fourth, As for the total causal effect of variables that affect recommendation intentions, the aspects affected include information search for ready-to-eat foods, instant food store, perceived risk related to safety of ready-to-eat foods, school cafeteria, monthly allowance, safety satisfaction with ready-to-eat foods, attending school, purchasing expenses, safety importance of ready-to-eat foods, number of purchases, and male colleges in the order.

      • KCI등재

        가치기반수용모델을 적용한 중국소비자의 온라인 HMR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류미현 ( Ryu Mi Hyun ),이영희 ( Lee Younghee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5

        본 연구는 HMR이 세계적인 트렌드로 비중이 높아지는 시점에서 중국 소비자들의 온라인 HMR 구매에 대한 소비행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가치기반수용모델 및 HMR 안전인식과 만족도를 통하여 온라인 HMR 재구매의도에 대한 영향력을 구조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치기반수용모델을 통하여 온라인 HMR 구매의 지각된 가치에 대한 지각된 혜택과 지각된 희생의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지각된 혜택 관련 변수인 유용성과 즐거움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희생 관련 변수 중 품질 위험이 온라인 HMR 구매의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온라인 HMR 구매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HMR에 대한 안전인식과 온라인 HMR 구매의 지각된 가치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HMR 재구매의도에 대하여 만족도의 유의한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지각된 가치는 만족도를 통하여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온라인을 통하여 HMR을 구매하는 중국소비자들의 소비행동에 대한 이해를 고취시키고, 소비자들의 이용 향상을 위한 관련 HMR 기업의 제품개발 및 마케팅 전략 구축에 활용되어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소비자들의 식생활 질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더불어 소비자들의 온라인을 통한 HMR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HMR 제품의 전반적 정보제공과 소비자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HMR has been heightened as a global trend, the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s on online HMR has been confirmed structurally through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safety awareness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behavior of Chinese consumers regarding the online HMR purchase. As a result, first, through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satisfaction regarding the perceived value of online HMR purchase has been confirmed, and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the usefulness and entertainment as the perceived benefit-related variables, is shown to be a noticeable factor for the perceived value, and the quality risk from the perceived sacrifice-related variables would be a noticeable factor for the perceived value of the online HMR purchase.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fluence on satisfaction of the online HMR purchase, the safety awareness on HMR and perceived value of the online HMR purchase have been confirmed as the noticeable factors. And, lastly, regarding the repurchase intentions of the online HMR, the noticeable influence of satisfaction has been confirmed, and the perceived value was shown to influence on the repurchase intention through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consumption behavior of Chinese consumers that purchased HMR through online, facilitate as the base data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as utilized in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y for pertinent HMR companies for improving the use of consumers, and it is intended to striv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ood lives of consumers. Furthermore, for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HMR through online of consumers, it would be helpful for providing overall information of HMR products and consumer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소비자의 편의점 PB식품 구매의도에 따른 정보요구

        류미현 ( Mi Hyun Ryu ) 대한가정학회 201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1 No.6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of information needs regarding convenience store private brand (PB) foods and variables affecting information needs for convenience store PB foods.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based on determining the information content and information sources needed by undergraduate consumers for convenience store PB foods.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by frequency, mean (SD), reliability 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version 19.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dergraduat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 convenience store PB foods is comparatively high, and they say they will buy the products if the PB foods` quality-related areas like taste, nutrition, or safety are favorable. Second, the general level of information needs for convenience store PB foods is comparatively high, and among general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needs for convenience store PB food quality’ are the greatest, while in the area of comparative information needs, ‘comparative information on PB food and NB food quality’ is needed the most. In addition, undergraduate consumers most often want to obtain convenience store PB food information from convenience stores themselves. Third, as purchase intention and information acceptance of convenience store PB foods increase, information needs also increase. However, as quality perception of convenience store PB foods is more positive, information needs reduce.

      • KCI등재

        대학생소비자의 즉석섭취식품 구매시 안전추구행동

        류미현(Mi Hyun Ryu)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4

        최근 간편성이나 편의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즉석섭취식품이 유통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소비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즉석섭취식품은 더 이상의 열처리 과정 없이 바로 섭취하는 특성때문에 안전이 더욱 중요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즉석섭취식품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 대학생소비자를 대상으로 즉석섭취식품 구매시 안전추구행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먼저 대학생소비자들의 안전관련 특성과 즉석섭취식품의 안전추구행동은 어느 정도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대학생소비자들의 실천이 낮은 안전추구행동영역을 파악하여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안전추구행동에 영향을 미친 변수들을 파악하여 각 대상별로 즉석섭취식품 안전추구행동 유도에 필요한 소비자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즉석섭취식품 구매시 안전추구행동은 전반적으로 보통을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수준을 보이고 있었으며, 하위 영역별로 볼 때 표시 확인행동보다는 식품신선 및 위생상태 확인행동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문항별로 볼 때는 유통기한 확인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면 원산지표시 확인행동 등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즉석섭취식품 구매시 안전추구행동에 영향을 미친 변수로는 즉석섭취식품 안전중요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식품안전정보탐색, 식품안전지식, 즉석섭취식품 안전관련 지각된 위험순으로 나타났다. 즉 즉석섭취식품 안전중요도를 높이 인식하고 식품안전정보를 적극적으로 탐색할수록, 즉석섭취식품 안전관련 지각된 위험을 높게 인식할수록, 식품안전지식이 높을수록 안전추구행동을 적극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대학생소비자들은 즉석섭취식품 선택시 안전한 구매선택을 할 수 있도록 표시확인 등에 대한 소비자교육과 또한 식품안전관련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정책적으로는 국내외 식품안전정보 및 위해정보를 적극적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기관 확대 및 기관에 대한 홍보가 확대되어야 한다.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seeking simplicity and ease, a variety of ready-to-eat food circulate and consumers' consumption is also increasing in the meantime. However, safety is becoming more important since ready-to-eat food without further heat treatment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college students', who consuming more ready-to-eat foods, safety seeking behavior when they purchasing.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college student consumers' safety pursuit behavior at the purchase of ready-to-eat food. First of all, the article examines college student consumers' safety-related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safety pursuit behavior regarding ready-to-eat food in detail and suggests how to enhance it by figuring out safety pursuit behavior areas showing low practice by college student consumers. Also, after figuring out variables affecting their safety pursuit behavior, this study intends to use it as foundational data for consumer education needed to induce their ready-to-eat food safety pursuit behavior for each area.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ir safety pursuit behavior at the purchase of ready-to-eat food showed an average level, but the level of label-checking behavior was rather lower than that of food freshness and hygiene-checking behavior. Seen from the items separately, expiration date-checking behavior was the highest level, however, place of origin label-checking behavior and so on indicated the lowest level of all. Second, regard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ir safety pursuit behavior at the purchase of ready-to-eat food, the importance of ready-to-eat food safety exerted the greatest effect, and the next were search for food safety information, food safety knowledge, and ready-to-eat food safety-related perceived risk in order. In other words, they showed more positive safety pursuit behavior when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ready-to-eat food safety more, searched for food safety information more actively, showed higher recognition on ready-to-eat food safety-related risks, and had more food safety knowledge. According to the results, we need the consumer education which ensure college student consumers to check food labels when they purchase ready-to-eat food, also to increase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food safety. In order to provide food safety and injury information to consumers actively, political countermeasures should be needed through expanding agencies and public relations for the center.

      • KCI등재

        국가이미지가 수입식품안전인식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류미현(Ryu, Mi Hyun),이승신(Lee, Seung Si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4

        수입자유화 이후 국내 시장의 개방으로 많은 나라의 제품들이 수입되어 소비자들의 소비생활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그 중 수입식품의 경우 지속적으로 식탁점유율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안전인식과 구매의도를 파악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청소년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청소년소비자들의 경우 향후 식품 구매확대와 더불어 수입식품에 대한 구매도 증가될 것이므로 안전한 식생활을 위해서 본 연구는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조사는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6월 24일 부터 7월 1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438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중회귀분석 그리고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청소년소비자들의 중국과 미국 국가이미지 인식 차이 분석 결과 중국보다 미국에 대해 국가이미지 전체와 하위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하위 유형 중 중국, 미국 모두 국민이미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소비자들의 중국과 미국 수입식품 안전인식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수입식품 재료 안전’, ‘수입식품 위생’, ‘수입식품 성분표시 정확’, ‘수입식품 유통기한 표시 정확’ 등의 하위 문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국보다는 미국 수입식품에 대한 인식 수준이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수입식품보다는 미국 수입식품의 경우 구매의도가 높았다. 하지만 미국의 경우도 절대적 수준으로 볼 때 낮은 수준임을 볼 수 있다. 넷째, 중국 수입식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총인과적 효과의 크기를 비교하면 수입식품 안전인식이 가장 크고 그 다음은 수입식품 섭취경험, 국가관계이미지, 국민이미지, 학년, 남학생, 어머니연령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 수입식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총인과적 효과의 크기를 비교하면 수입식품 섭취경험이 가장 크고 그 다음은 수입식품 안전인식, 국민이미지, 경제이미지, 어머니연령, 학년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가이미지나 수입식품에 대한 섭취경험으로 친숙함이 이루어져 안전인식을 높이 평가하고 이로 인해 구매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청소년소비자들의 안전한 식생활에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수입식품의 안전을 올바로 인식하고 정확한 판단아래 식품의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보제공 및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fter the import liberalization, our domestic market has been opened and imported goods from a lot of countries, and consumers have been using them for their consuming life in diverse ways. In particular, as imported food’s table occupation has been constantly increasing, it will be meaningful to figure out safety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regarding it. Especially about adolescent consumers, when they become an adult in no distant future, their own food purchase will increase and also their imported food purchase will be more frequent. Thu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crucial in enhancing adolescent consumers’ safety perception and helping them lead a safe dietary life. This study involves a survey conducted from Jun 24 to July 15, 2013. Total 43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path analysis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adolescent consumers’ perception on the country image of China and America, they regard America more positively than China in terms of the overall country image and also the subareas. Moreover, both China and America show the lowest people image. Seco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dolescent consumers’ safety perception regarding the food imported from China and America. However, the level of their perception on the imported food is more positive about America than China. Third, purchase intention is higher about the food imported from America than China. In terms of the absolute level, however, America indicates a low level. Fourth, when the size of total causal effect of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 to purchase food imported from China, safety perception on the food imported from China is the greatest, and the next are imported food intake experience, image related with national relations, people image, grades, male students, and mother’s age in order. Also, when the size of total causal effect affecting the intention to purchase food imported from America, intake experience of the food imported from America is the biggest, and the next are safety perception on the food imported from America, people image, economic image, mother's age, and grades in order. In other words, regarding the level of purchase intention about China and America, America is relatively higher; however, about total causal effect affecting purchase intention, imported food safety perception and imported food familiarity are the highest in China, and regarding purchase intention on the food imported from America, familiarity of the food imported from America and safety perception of the food imported from America are found to be high. On national image and imported food intake consists of familiar experience appreciate the safety awareness This increases the degree of buying a safe diet can be a problem because it is recognized correctly, the safety of imported food products under the correct judgment information to be made available for purchase, and consumer education will be made.

      • 소비자들의 직ㆍ간접 문제에 대한 불매운동의도에 관한 연구

        류미현(Mi Hyun Ryu)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5 商經硏究 Vol.40 No.2

        최근 소비자들은 자신과 직접적인 문제와 관련된 개인적 문제에 대한 불매운동도 참여하지만 사회적인 문제나 정치적 문제 등 현재 자신과의 직접적인 문제가 아닌 경우에도 불매운동에 참여한다. 소비자들은 직접 문제와 간접 문제 발생시 불매운동의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분을 통해 각각에 대한 비교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소비자불매운동과 관련하여 직접 문제에 대한 불매운동의도와 간접 문제에 대한 불매운동의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 것이며, 직ㆍ간접 문제에 대한 불매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각각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직접 문제와 간접 문제에 대한 불매운동의도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자신이 직접 경험한 문제에 대해서는 불매운동에 대한 의도가 높으며 사회적인 문제로 인한 간접적인 불매운동의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개인적인 직접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정확한 정보 하에 불매운동의도를 높임으로써 불매운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불매운동관련 소비자교육이 요구된다. 또한 소비자들의 이타주의성향은 불매운동태도를 높이는 가장 영향력 있는 요소이며, 직ㆍ간접 문제에 대한 불매운동의도의 총인과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타주의는 소비자자신 뿐 아니라 사회나 세계를 생각하는 윤리적인 부분을 기초로 형성되므로 소비자들의 이타주의 형성에 대한 윤리적 소비자교육이 요구된다. Recently, consumers are engaged in boycotting not only their personal problems directly related with them but those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with them such as either social or political problems. As consumers’ boycott intention for either direct or indirect problems may differ, it is needed to conduct comparative research on each based on distinction between them. Accordingly, regarding consumer boycotting, this author has studied how their boycott intention differs between direct and indirect problems and also the difference of variables influencing their boycotting for direct and indirect problems. According to the findings, consumers show difference in their boycott intention for direct and indirect problems. They tend to show high intention of boycott for problems they have experienced directly but relatively lower boycott intention for social problems indirectly affecting th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sumer education about boycotting so that consumers can have elevated boycott intention for not only their personal, directly related problems but social problems, too, as informed accurately and practice boycott actively. Also, it has been foun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increase consumers’ boycott attitude is their altruistic disposition, and it indicates the greatest total causal effect on their boycott intention for both direct and indirect problems. Since altruism is formed through ethical aspects that consumers have for themselves and also for the society and the world, it is needed to provide consumer education of ethics to cultivate consumers’ altru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