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계 고등학생의 등교거부 원인에 대한 Q방법론적 분석

        류남애,유순화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12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생의 등교거부 원인을 Q방법론을 통해 이해하고자 한 연구이다. 먼저 문헌 연구와 학생, 학교상담자, 교육학 교수와의 면담을 통해 고등학생 등교거부의 원인을 나타낸다고 생각되는 문항을 추출한 후 논의와 자문을 거쳐 최종 47개의 Q진술문을 채택하였다. 이 진술문은 카드로 만들어 연구대상자로 하여금 11점 척도의 Q분류 분포도 상에 강제 배분하도록 하였으며, 개별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면서 1학기 동안 5일 이상 무단결석을 한 남녀 학생 45명(남29명, 여16명)이었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등교거부 원인은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학교 밖이 즐거운 재미추구형으로 명명하였고, 제2유형은 규칙과 제도적응이 힘든 교사 갈등형, 제3유형은 의욕이 부족한 무기력형, 제4유형은 가정적 어려움을 지닌 가족 문제형, 제5유형은 학업 문제를 가진 제도권 교육 불만형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대상자들이 가장 동의하거나 가장 부정하는 진술문과, 다른 유형과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식별문항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각 유형별로 등교거부를 예방하고 개입할 수 있는 접근 방법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auses of school refusal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using Q methodology. Forty-seven Q statements representing the causes of school refusal were drawn by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students, school counselors, and professors majoring in education. The sample consisted of 45 students from several vocational high schools who had been absent from school without leave at least five days during the first semester. Students were asked to rank-order Q statements on the 11-point continuum and to place them on the distribution provided. Individual follow-up interviews followed the Q-sort. The result of Q analysis produced five types of school dropout: 1) fun-seeking at the outside of school, 2) having conflicts with teachers and adjustment difficulty to rules and systems, 3) feeling helplessness with demotivation, 4) experiencing family problems, and 5) having complaints against educational system. The five types were interpreted focusing on the most agreed and most disagreed statements and distinguishing statements. Discussions on preventing and intervening methods for each type of school dropout were also provided.

      • KCI등재

        청소년 자살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 조사

        류남애,유순화,윤경미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eachers on suicide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 which is necessary to educate suicide prevention to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53 teachers who are working at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Busan. Questionnaire which consists of 3 parts such as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knowledge on suicide and attitude for suicide was used as the means of surve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collected data in accordance with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eachers were generally low in the areas of general knowledge on suicide, adolescents' suicide and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It was particularly low in general knowledge area. Second, the result of teachers' attitude on suicide by the personal right area, possibility on prediction area, social seriousness area, danger area and religious or moral area showed that teachers tended to taboo suicide, and they considered it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many of them understood it with the view of religion or morality. Third, when the result was inspected by teachers' backgrounds(sex, school level, career length and religion),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achers' knowledge and attitude on adolescent' suicide. 본 연구는 교사들의 자살관련 지식과 태도를 알아봄으로써 교사를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향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부산지역의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553명이 참여하였으며, 참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자살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알아보고, 성, 학교급, 교육경력, 종교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초중고 교사의 자살에 관한 지식과 이해 정도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일반적 지식에서 가장 낮았다. 둘째, 자살 관련 지식에 대한 배경변인별 차이에서는 청소년 자살영역에서는 학교급별과 종교유무에 따라서, 편견 및 오류 영역에서는 성별과 교육경력에 따라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중고 교사의 자살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자살을 금기시 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사회적으로 심각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고 종교나 도덕적 관점으로 자살을 이해하는 견해가 많았다. 넷째, 배경변인 별로는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초등학교 교사일수록 고정관념이 많고 종교․도덕적 관점으로 자살을 이해하는 경향이 있었다.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심리적 독립의 관계

        류남애,유순화,송현아,최지현,정애리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trength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51 high school students sampled from 4 high schools in B city. To analyze the data, t-test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Because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male students in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mother,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male and female data separ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perceived family strength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of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t about middle. Seco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family strength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was show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he higher the students perceived family strength, the higher the functional, attitudinal and emotional separation. However, in female students, the higher they perceived family strength, the lower the conflictual separation. In addition,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trength and separation from father was higher than that from mother in male students, the correlations between family strength and separation from both parents were similar in female students.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하고 있는 가족건강성과 부모와의 심리적 독립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특히 심리적 독립과 가족건강성의 하위변인들이 각각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B시 소재 2개 일반계 고등학교와 2개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 4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은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가족건강성을 지각하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연구대상 고등학생들의 심리적 독립 수준은 중간 정도로 볼 수 있으며, 여학생의 심리적 독립수준이 남학생에 비해서 더 높게 나타났다. 가족건강성 총점과 심리적 독립 총점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남녀학생 모두의 자료에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심리적 독립의 하위변인인 갈등적 독립은 가족건강성과 부적상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족을 건강하게 인식할수록 갈등적 독립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남학생과 여학생을 나누어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가족건강성을 높게 지각하면 부모로부터의 기능적, 태도적, 정서적 독립이 높아졌다. 여학생의 경우, 가족건강성을 높게 지각하면 부모로부터의 기능적, 태도적, 정서적 독립이 높아지는 반면, 갈등적 독립은 낮아졌다. 남학생의 경우에는 아버지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에 비하여 가족건강성과 더 높은 상관을 보이는 데 반해, 여학생의 경우에는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아버지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가족건강성과 비슷한 정도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 학업중도 탈락 예방을 위한 학교상담자의 개입 프로그램 - 등교거부 학생을 중심으로

        류남애 한국카운슬러협회 2014 相談과 指導 Vol.49 No.-

        우리나라의 최근 3년간 공식적인 학업 중단율은 2010년 0.86%, 2011년 1.21%, 2012년 1.01%로 1% 전후 수준이다(교육부, 2013). 그러나 이러한 교육부의 학업 중단율은 이미 학교 밖으로 나간 학생들을 계산하지 않고 있어 이를 고려하면 2013년 현재 누적된 학 교 밖 청소년은 약 28만명으로 전체 학령기 청소년의 4% 정도에 해당된다고 한다. 이 들은 대부분 낮은 학력에 머무르며, 비행에 노출되는 등 건강한 사회인과는 거리가 먼 생활을 지속하게 된다. 이들을 위해 우리 사회가 부담해야 할 비용이 총 26조3508억원 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하니 청소년의 학업 중단이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얼마나 큰 손실인지 짐작해 볼 수 있다(김수혜, 2013). 일단 학업 중단이 일어나면 정상적 생활 이나 학교로의 복교는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사전에 개입하여 학업 중단을 예방하는 것 이 중요하다. 학업 중단은 특정한 사건을 계기로 갑자기 일어나기도 하지만 그 이전에 여러 징후 들이 나타난다. 어떠한 이유로 학교에 오기 힘들어질 때, 학생들은 다양한 학교부적응 행동을 보인다. 교칙을 어기거나 일탈행동을 보이기도 하고 교사에게 반항을 한다. 또 무단으로 결석이나 조퇴, 결과를 반복하며 교실과 학교를 이탈하는 등교거부 행동을 하 기도 한다. 이러한 부적응 행동은 처음 몇 번은 크게 문제시 되지 않아 소홀히 관리될 수 있지만 반복될 경우 결국 학업 중단과 연결된다. 특히 법정 수업일수 등 출결과 관 련된 등교거부는 학업 중단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애리,유순화,류남애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ollege adjustment of junior college students.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with regard to gender and grade? Second, do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ollege adjustment?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49 freshmen and sophomores in junior college in Busan and Yangsan.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t of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two-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career barriers (male<femal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ale>female) and college adjustment (male>fema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reshmen and sophomore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reshmen<sophomores) and college adjustment (freshmen<sophomore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grade on career barriers. Second, career barrier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college adjustment. Howev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rved as a mediation variable reducing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college adjustment.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생의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성별 및 학년에 따라 진로장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진로장애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서 부산광역시와 양산시에 소재한 4개의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1,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고, 총 64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대학생 진로결정 장애검사,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단축형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고 이원변량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진로장애(남<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남>여), 대학생활적응(남>여)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학년에 따라서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1학년<2학년)과 대학생활적응(1학년<2학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진로장애의 경우 성별과 학년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진로장애와 대학생활적응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지만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장애와 대학생활적응 사이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진로장애가 대학생의 진로발달과정을 방해하여 결과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킴으로써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