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업용 씨앵커 본체 천의 성능에 관한 연구

        류경진,김남구,이유원,Kyung-Jin RYU,Namgu KIM,Yoo-Won LEE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23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9 No.2

        In this study, samples of sea anchor canopy cloth mainly used in Korean jigging fishing vessels were collected and test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The canopy cloth of sea anchor is a basic element of form composition that is known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anchor performance.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ea anchor canopy cloth, five types of samples were tested for new metric count, tensile strength, water vapour transmission rate and drying speed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ndard (KS), and some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test, the new metric count of cloths was 335.5-443.4 denier in warp and 217-447.6 denier in weft, and the minimum tensile strength was 860 N in warp direction and 430 N in weft direction. The apparent number and tensile strength of cloth were proportional, the water vapour transmission rate of the sample was 206.8 g/m<sup>2</sup>h, and the drying speed was 90-100 min. This study partially confirmed the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speculation by the standard test method,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clear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results and the performance of the sea anchor.

      • KCI등재

        통발어선의 작업안전 재해 분석

        류경진,유광민,김형석,김성훈,이유원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구 한국어업기술학회) 2022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8 No.2

        Fisheries is known as a high-risk industry in Korea, and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occupational accidents. Trap fisheries represent crustacean production, accounting for 4.7% of total fisheries production and 10.7% of its production value, which is classified as a relatively high-risk industry. With the disaster insurance payment data of the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NFFC) from 2016 to 2020, the accident rate of the entire fishery, the accident rate of trap fisheries, and the type of disasters in the past five year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average fishery accident rate for the past five years was 5.31%, but it was high at 6.15% for coastal trap fisheries and 5.59% for offshore trap fisheries. Slips and trips, struck by objects and contact with machinery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the accid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nd hand injuries were analyzed the most. Additional efforts, including education for accident prevention, development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are needed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repeated types of disasters.

      • KCI등재

        연근해어선 안전관리체제 도입에 관한 기초 연구

        류경진,김형석,이유원,안영수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18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4 No.1

        This study analyzed the condition of marine accident and disaster rate of crew of Korean fishing vessels by vessel type, and checked the Australian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relevant regulation in Korea to suggest measures to build coastal/offshore fishing vessel safety management system in Korean coastal/offshore fishery. As a result, the power and production amount of Korean coastal/offshore fishing vessel is consistently decreasing while marine accident is increasing. Disaster rate of crew was higher than land industry, especially, the disaster rate of coastal/offshore fishing vessel was very high (100.0‰). Australia applies safety management system differed by vessel type and operation waters which full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pertinent vessel. The average accident rate of fishing vessels with gross tonnage over 20 tons among the Korean coastal/offshore fishing vessel was 13.6%,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ishing vessels with gross tonnage below 20 tons (1.4%). Such result indicates it is urgent to implement safety management system to fishing vessel with gross tonnage over 20 tons and introduce fishing vessel safety supervisor. Establishing safety management system of coastal/offshore fishing vessel will contribute to consistent industrial development by achieving the general goal of reducing marine accident and spreading safety culture.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선의 해양사고의 현황과 선종별 선원 재해율을 분석하였고, 호주의 안전관리체제와 우리나라 관련 규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연근해어업 환경에서 시행 가능한 연근해어선 안전관리체제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최근 우리나라 연근해어선 세력과 생산량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고, 어선의 해양사고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였다. 선원의 재해율은 육상산업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연근해어선의 재해율은 100.0‰이상으로 대단히 높게 나타났다. 호주는 선종별, 운항해역별로 다른 수준의 안전관리시스템을 적용하여, 해당선박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시행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연근해어선 중 총톤수 20톤 이상 선박에서의 사고율은 평균 13.6%로 20톤 미만 어선 1.4%보다 대단히 높게 나타났으므로, 우선적으로 총톤수 20톤 이상의 어선에 안전관리체제를 시행하고, 어선안전관리자를 도입하여 시행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근해어선의 안전관리체제 구축은 해양사고를 줄이는 대승적인 목표 달성과 안전문화 확산으로 지속적인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오징어 채낚기 낚시의 야광이 어획에 미치는 영향

        류경진,김형석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19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5 No.4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squid jig in korea waters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olor and luminous performance of squid jig on the catch of squid and experimenting the result of jig according to green jig or white jig, and whether using luminous or not were tested in the sea to improve the jig of squid jigging.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3 sea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T/S No. 2 Galmaegi. As a result, 341 squids were caught. Among them, 221 squids were caught by green jig (64.8%), 64 squids were caught by white jig (18.8%), 41 squids were caught by green luminous jig (13.8%), and nine squids were caught by white luminous jig (2.6%). The green jig commonly used in jigging vessel was most effective, and luminous jig was less effective than that non-luminous jig. The squids caught were Japanese flying squid (Todarodes pacificus), swordtip squid (Loligo edulis) and spear squid (Loligo bleekeri), and no significant characteristic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olor of jig and the presence of luminous. 본 연구는 오징어 낚시의 색상과 야광 성능이 오징어 어획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녹색 낚시, 흰식 낚시, 그리고 야광 유무에 따른 어획 결과를 해상 실험하여 오징어 채낚기 낚시의 개선과 우리나라 해역의 오징어류 어획 특성을 파악하였다. T/S No.2 Galmaegi호를 이용하여 총 13회의 해상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총 341마리의 오징어가 어획되었고, 녹색 낚시 221마리(64.8%), 흰색 낚시 64마리(18.8%), 녹색 야광 낚시 41마리(13.8%), 흰색 야광 낚시 9마리(2.6%)가 어획되어, 채낚기 어선에서 주로 사용하는 녹색 낚시의 어획이 가장 많았고, 야광 낚시는 무광 낚시에 비하여 적게 나왔다. 어획된 어종은 Japanese flying squid(Todarodes pacificus), Swordtip squid(Loligo edulis), Spear squid(Loligo bleekeri)가 어획되었고, 어종별 낚시의 색상과 야광 유무에 따른 의미있는 특징은 발견되지 않았다.

      • KCI등재

        우리나라 원양어선의 케이프 타운 협정 비준 영향에 관한 연구

        류경진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5

        Deep-sea fisheries in Korea play an essential role in supplying popular seafood and providing food security. Countries, as well as the 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have attempted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ly harmonized safety standard for fishing vessels. However, starting with the adoption of ‘The Torremolinos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Fishing Vessel 1977’, the ‘2012 Cape Town Agreement’ was adopted, but the requirements for enforcement were not met. However, with the 2019 Torremolinos Declaration, the effect of the agreement became visible. Korea is also about to ratify the agreement, and deep-sea fishing vessels are subject to the agreement. The length of the hull or the gross tonnage can be selected as the criteria for applying the 2012 Cape Town Agreement, and this is also partially applied to the existing vessels. Analyzing 188 deep-sea fishing vessels registered as members of the Korea Overseas Fisheries Association to confirm the effect on the existing vessel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gross tonnage had little impact on the ratification of the agreement. In addition, laws must be revised for the compulsorization of GMDSS facilities such as two-way VHF and radar transponders and for the safety familiarization of fishermen. In the industry, the facilities required by the agreement must be provided, and the fishermen must be familiarized with safety. 우리나라 원양산업은 대중성 수산물 공급 및 식량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IMO를 비롯한 각국에서는 어선의 국제적으로 통일된 안전 기준 마련을 위하여 노력하였고, ‘1977년 어선안전 토레몰리노스 협약’ 채택을 시작으로 ‘2012 케이프 타운 협정’ 채택을 하였으나 발효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2019 토레몰리노스 선언으로 협정의 발효가 가시화되었고, 우리나라도 협정 비준을 앞두고 있으며 원양어선이 협정의 적용 대상이 된다. 2012 케이프 타운 협정은 적용 대상 기준을 선체의 길이 또는 총톤수를 선택할 수 있고, 현존선에 대해서도 일부 적용이 된다. 현존선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원양산업협회 회원으로 등록된 원양어선 188척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총톤수 적용이 협정 비준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wo-way VHF, Radar transponder 등 GMDSS설비의 강제화 및 선원들의 안전 친숙화 등의 대한 법령 개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었다. 산업계에서는 협정에서 요구하는 설비의 비치와 어선원의 안전 친숙화가 필요하다.

      • 물체 인식을 위한 레이더 센서 데이터의 그룹핑

        류경진,박성근,황재필,김은태,강형진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7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7 No.1

        본 논문은 레이더를 통해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같은 물체에 관한 데이터를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큰 영역을 감시하는 레이더에 비해 영역이 좁을 때 레이더는 한 물체에 대해서 물체 형태에 따라 데이터가 들어오게 된다. 이 데이터들은 같은 물체인지 아닌지 구분이 없어서 응용된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힘들다. 따라서 응용된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전 하나의 물체에 대한 데이터의 그룹핑 작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그룹핑 방법을 제시하며 실제 도로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가지고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 KCI등재

        다목적 어업실습선 개발과 내항성능 시험 결과

        류경진,박태선,김창우,박태건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19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5 No.1

        According to the recent presentation by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about 70% of marine accident occurs from fishing vessel, and 90% of cause of entire marine accidents attributes to human error. As fishing vessels require basic operations, fishing operations, other additional operations and techniques such as fish handling, cultivating excellent marine officer to prevent marine accident and develop industry is very important. A fisheries training ship is still very difficult to satisfy the demand for diversity of fishery training and sense of realism of the industry. As the result of employment expectation by category of business survey targeting 266 marine industry high school graduates who hope to board fishing vessels for the last four years, tuna purse seine was the highest with 132 cadets (49.6%), followed by offshore large purse seine (65 cadets, 22.4%), and tuna long line (35 cadets, 13.2%).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 (KIMFT) has replaced old jigging and fish pot fishery training ships and proceeded developing and building multi-purpose fisheries training ships considering the demand of industry and the promotion of employment; however, the basic fishing method was set for a tuna purse seine. As a result of seakeeping model test, it can conduct the satisfiable operation at sea state 5, and survive at sea state 8. 최근 해양안전심판원 발표에 따르면, 해양사고의 약 70%가 어선에서 발생하고 있고, 전체 해양사고 원인의 90%가 인적 과실에 의한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어선에서는 기본적인 선박 운항 이외에 어로작업, 어획물 처리 작업 등의 추가적인 작업과 기술이 필요하므로 해양사고 저감 및 산업 발전을 위해서 우수한 해기사 양성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 수산계 해기사 양성 지정교육기관에서는 총 10척의 어업실습선이 운항되고 있다. 그러나 실습 어법이 트롤 어법에 편중되어 있고, 2척의 선박만 다른 어법(채낚기, 통발) 시연이 가능하여, 어업 훈련의 다양성과 업계의 현장성이 강화 요구를 충족하기에는 어려운 여건이다. 최근 4년간 수산계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중 어선 승선 희망자 266명의 취업희망 업종 조사 결과, 다랑어선망이 132명(49.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근해대형선망 65명(22.4%), 다랑어연승 35명(13.2%)로 나타났다. 따라서 선망과 연승 어법에 대한 실습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졌고, 해당 어법의 실습선 건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기본 선형은 다랑어 선망 어법을 주 어법으로 결정하고, 트롤, 채낚기, 연승 어법 등이 시현되는 다목적 어로실습이 가능하도록 검토하였으나, 어법의 고유 특성을 고려하고, 국내외 사례를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선망, 채낚기, 연승 어법 시현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설계 결과 총톤수 1,520톤, 전장 70m, 선폭 14m, 깊이 8m, 승무정원 83명으로 설계되었고, 내항성능시험 결과, 해상상태 5에서 업무 수행이 가능하고, 해상상태 8에서 생존이 가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