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전해수와 구연산을 이용한 양상치의 품질 향상 및 미생물 저감화 효과

        김영국(Yongguo Jin),김태웅(Tae-Woong Kim),딩티안(Tian Ding),오덕환(Deog-Hwan Oh) 한국식품과학회 200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1 No.5

        본 연구는 전해수, 구연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단독 또는 병용 처리에 의한 양상치에 오염된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는 물론, 인위적으로 접종한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저감화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살균효능은 침지 시간(3, 5, and 10분)과 침지 온도(1, RT, 40, and 50℃)의 변화에 따른 각 처리구의 살균력을 조사하였다. 또한, 알칼리전해수와 구연산의 병용처리에 의한 양상치의 저장 중 갈변저해효과를 탐색하였다. 침지 시간에 따른 각 처리구의 미생물 살균력은 전해수(산성전해수와 알칼리 전해수)가 동일 조건에서 100 ppm 차아염소산나트륨보다 높았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3분보다는 5분이상 침지 시 현저하게 살균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지 온도에 의한 각 처리구의 살균력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40℃ 이상에서는 온도증가에 의한 살균력의 차이가 없었다. 반면, 알칼리 전해수나 구연산 단독 처리구에 비하여 병용 처리시 양상치에 오염된 총균수와 효모 및 곰팡이에 대한 살균력은 모든 침지 온도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40℃ 이상에서는 완전하게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L. monocytogenes와 E.coli O157:H7는 같은 조건에서 처리구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였다. 한편, 양상치를 상온이나 40℃에서 알칼리 전해수와 구연산 병용 처리구로 침지하여 4℃에서 15일간 저장하였을 때 단독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갈변저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병용처리구는 양상치의 품질향상은 물론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는데 좋은 항균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lkaline electrolyzed water (AIEW), acidic electrolyzed water (AcEW), 1% citric acid, and 100 ppm sodium hypochlorite,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citric acid, in reducing the populations of spoilage bacteria and foodborne pathogens (Listeria monocytogene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on lettuce at various exposure times (3, 5, and 10 min) with different dipping temperatures (1, 20, 40, and 50℃). In addition, the inhibitory effect of alkaline electrolyzed water combined with citric acid on the browning reaction during storage at 4℃ for 15 days was investigated.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electrolyzed water more effectively reduced the number of total bacteria, mold, and yeast than 100 ppm sodium hypochlorite under the same treatment conditions. All treatments exposed for 5 min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s of total bacteria, yeast, and mold on head lettuce. The inactivation effect of each treatment on head lettuce was enhanced as the dipping temperature increased from 1 to 50℃, bu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at temperatures greater than 40℃ (p<0.05). The total counts of yeast and mold in head lettuce were completely eliminated when a combination of 1% citric acid and AlEW treatment was used at temperatures greater than 40℃. However, decreased reduction in L. monocytogenes (2.81 log CFU/g), and E. coli O157:H7 (2.93 log CFU/g) on head lettuce was observed under these treatment conditions. In addition, enhanced antibrowning effect was observed when the samples were subjected to both 1% citric acid and AlEW treatment at temperatures greater than 40℃ compared to when single treatments alone were used. Thus, this combined treatment might be considered a potentially beneficial sanitizing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safety of head lettuce.

      • SCOPUSKCI등재

        포장돈육 중 Salmonella Typhimurium과 Salmonella spp.에 오염된 돈육으로부터 식품과 식품접촉면으로의 오염 부착율

        김성조(Seong-Jo Kim),박경진(Gyung-Jin Bahk),딩티안(Tian Ding),오덕환(Deog-Hwan Oh),김태웅(Tae-Woong Kim)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3

        표준균주 S. Typhimurium과 분리균주 Salmonella spp.에 오염된 돈육을 10oC에서 다른 돈육(삼겹살, 안심), 컨베이어벨트와 스테인리스 스틸, 도마에 일정시간(2, 4, 24시간)동안 접촉시킨 후 부착율을 조사하였다. Salmonella 표준균주와 분리균주에 오염된 돈육으로부터 삼겹살에 6시간 접촉 시 부착율은 4.21%, 26.87%를 나타내었고, 안심부위에 16.40%, 27.48%를 각각 나타내었지만, 24시간 후에는 두균 모두 삼결살과 안심부위에 100%의 부착율을 보였다. S. Typhimurium에 오염된 돈육으로부터 컨베이어벨트로의 부착율은 접촉시간 2시간 후에는 1.34%을 증가율을 나타냈으나, 6시간 후에는 0.60%로 감소하였고 분리균주 Salmonella spp. 는 접촉 6시간에 부착율이 5.14%의 부착율을 보였다. 스테인리스 스틸의 경우, 표준균주는 6시간 접촉 후에도 부착율이 전혀 없었으며, 분리균주는 접촉 6시간 후에 5.01%의 부착율을 보였다. 그러나 항균도마에는 표준균주와 분리균주 모두 전혀 부착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S. Typhimurium과 Salmonella spp.에 오염된 돈육에서 다른 돈육 또는 식품접촉면으로의 부착율은 접촉 시간에 따라 영향이 컸으며 분리균주가 표준균주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부착율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dherence rates of standard type Salmonella Typhimurium (ST) and wild type Salmonella spp.(WT) in pork after the following contact types and times at 10oC: pork meat (2, 6, 24 hr), conveyer belt (2, 6 hr), stainless steel (2, 6 hr), and cutting board (2, 6 hr). After 6 hr of pork meat to meat fat contact, the adherence rates for ST and WT were approximately 4.21 and 26.87%, respectively, and after 6 hrs of pork meat to red meat contact they were 16.40 and 27.48%, respectively. However, after 24 hr of both types of contact, ST and WT showed 100% adherence rates. The adherence rates for ST after 2 hr and 6 hr of pork meat to conveyer belt contact were 1.34 and 0.60%, respectively, while the adherence rate for WT was 5.14% after 6 hr of contact. After pork meat to stainless steel contact, ST showed adherence rates of zero and 1.59% after 6 and 24 hr of contact, respectively, while the adherence rates for WT ranged from 0.17% after 2 hr to 5.01% after 6 hr. On the other hand, neither ST nor WT offered adherence data following pork meat to cutting board cont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herence rates of ST and WT after pork meat to pork meat contact or pork meat to processing surface contact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ontact time and WT presented much higher adherence rates for both types of transmission than ST.

      • KCI등재

        삼지구엽초로부터 분리한 Icariin의 생리활성

        김서진(Seo Jin Kim),박명수(Myoung Su Park),딩티안(Tian Ding),왕준(Jun Wang),오덕환(Deog Hwan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0

        본 연구는 삼지구엽초의 기능성 식품학적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써 우리나라 산야에서 존재하며 예로부터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삼지구엽초의 주요성분인 icariin을 분리하여 생리활성을 검토하였다. 에탄올로 추출한 삼지구엽초를 극성이 다른 용매인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헥산, 물, 클로로포름 층으로 분리하여, icarii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27.9, 2.5, 1.7, 1.4, 1.3 μg/g이었고, icariin 수율이 가장 많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정제한 icariin 수율은 295.5 μg/g이었으며 대부분 에틸아세테이트에서 용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용매별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서 49.0 μg/mL로 가장 높았으며, 부탄올(59.2 μg/mL), 헥산(119.8 μg/mL), 물(122.0 μg/mL), 클로로포름(138.5 μg/mL) 층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제된 icariin(15.3 μg/mL)은 대조구인 ascorbic acid(19.5 μg/mL), α-tocopherol(18.2 μg/mL)보다 다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almonella Typhimurium을 이용한 돌연변이 및 항돌연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삼지구엽초에서 분리한 icariin은 TA98과 TA100세포 모두에서 돌연변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인간면역세포인 B세포와 T세포에서의 면역활성시험을 측정한 결과, icariin은 대조구보다 B세포에서 1.27배, T세포에서 1.28배의 비교적 높은 면역증강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삼지구엽초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및 식품재료로서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pimedium koreanum Nakai is a wild medicinal plant commonly consumed in South Korea due to its health beneficial effects.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immunological activities of E. koreanum Nakai extract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use in food. The yields of icariin compounds from the ethanol extract as well as the ethyl acetate, butanol, hexane, water, and chloroform fractions of E. koreanum were 27.9, 2.5, 1.7, 1.4, and 1.3 μg/g, respectively. The icariin components (295.5 μg/g) were collec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and analyzed vi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ach fraction were as follows: ethyl acetate (49.0 μg/mL), butanol (59.2 μg/mL), hexane (119.8 μg/mL), water (122.0 μg/mL), and chloroform (138.5 μg/mL), based on RC<sub>50</sub> μg/mL. Icariin, isolated and identified as the main component,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with a RC<sub>50</sub> value of 15.3 μg/mL, which was higher than those of ascorbic acid (19.5 μg/mL) and α-tocopherol (18.2 μg/mL). In an Ames test, none of the fractions produced mutagenic effects o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In an immunomodulating activity test, the effects of E. koreanum Nakai on B cells (Rhamos) and T cells (Jurkat) were investigat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growth and viability of B and T cells were increased by isolated icariin components for 1.27 and 1.28 fold, respectively. These results als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 koreanum Nakai as an edible food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