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부적응 학생에 대한 교사의 역할 지지를 위한 코칭기법 적용 사례

        도미라,김준경 한국코칭학회 2010 코칭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변화로 인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학교 부적응 학생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학교 부적응 학생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학교 부적응 학생들에게 코칭기법을 적용해보고, 코칭기법이 학교 부적응 학생들의 역할지지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학교 부적응 학생의 지지를 위한 이론적 접근으로 학교 부적응 학생의 문제와지지 기반, 코칭 환경, 코칭 접근법 및 학교 부적응 학생의 코칭을 위한 한국코칭학회 코칭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에 입각하여 2명의 학생에게 코칭을 실시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 부적응 학생을 지지하기위한 코칭 영역으로 지각 사례, 시설거주학생의 두 사례로 나누어, 각 사례 별로 유용한 코칭 질문들을 도출해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질문과 코칭 사례를 통해 앞으로 학교 부적응 학생의 학교 내에서의 일률적이고 통제 및 지시 전달 위주의 교사의 학교 부적응 학생에 대한 선도 방향을 제시하고 나아가 학생들과의 갈등과 학생 상담 및 지도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교사와 학생간의 갈등 완화에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대화기법으로 교사의 역할 지지의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나아가 학교의 역량을 발휘하고, 학생 개인의 성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한 가지 리더십 의사소통 방안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coaching techniques to poorly-adapted students tonsupport them and to explore how coaching techniques could be applied to support the rolesnfor the students.nThe problems for poorly-adapted students and their support base, coaching environment,nand coaching techniques are suggested in terms of a coaching approach. The model ofncoaching conversation and the examples of coaching for poorly-adapted students arenintroduced. For this purpose the coaching area is subdivided, and coaching questions arenderived.nThis paper shows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thenprogram for poorly-adapted students. The details are the theoretical approach of coachingnfor the students, coaching method for them, and coaching education for them to developnthemselves.

      • KCI등재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영어교육연구의 통시적 분석

        도미나(Do, Mee-na),김정렬(Kim, Jeong-r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영어 교육에서 테크놀로지가 활용되고 있는 방법과 그 변천을 모색하기 위하여 분석 준거에 따라 대상 논문들을 분석해 보고 앞으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영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논문은 1996년부터 2018년도까지 발표된 총 80편의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시기, 방법, 주제에 따라 분류했으며 테크놀로지의 역할에 따라 수업 전, 중, 후의 시기별, 수업 활용에 따른 유형별로 분류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1996년부터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논문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으며 가장 많은 연구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50%이상의 연구들이 실험연구를 하였 으며 연구 주제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이후로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연구의 증가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테크놀로지는 수업 전반에서 활용되었는데 멀티미디어와 ICT를 주제로 한 연구에서는 테크놀로지를 수업 중에 주로 활용되었고 블렌디드 러닝은 수업 전․후반에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 서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영어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trends and role of technology in English education. To this end, 80 journal articles from 1996 to 2018 are collected in areas of technology, multimedia, ICT, blended learning, and flipped learning, and analyzed based on the following perspectives: 1)the historical trends of technology-related English education 2) research participants 3) research methodologies 4) research subjects 5) role of the techno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e findings are: The articles on English education using technology has continuously increased during this period, and researches targeting college students has notably increased. 50% of researches belong to the experimental design. Multimedia and ICT tend to dominate the technology enhanced English education researches until the beginning of 2000s, but after mid-2000s the research topics have dramatically expanded into applications of diverse technology and teaching-learning models. The findings also include that technology is dominantly hir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for blended learning and flipped learning classes. The findings suggest that periodic researches on the topic should be conducted to catch up with new technologies in education and constantly changing hybrid of combinations between technology and language teaching-learning in classrooms.

      • 인터넷중독에 따른 청소년의 문제와 개선방안

        도미 남서울대학교 2005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1 No.1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problems of internet addiction of youth and suggests effective information to find corrective measures to address and resolve the problem of internet addiction. So this study suggests a counter-measure against internet addiction by conceptualizing the symptom of internet addiction, identifying the causes and its patterns as well as examining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solutions to prevent and correct Internet addiction disorder among youth - by identifying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Internet addiction and offering psychological treatment service and perhaps the most important things to do is to build family value and communication as a preventive and corrective means to help those who are addicted. Schools and educational authorities must develop and implement a welfare program within school and disciplined IT education. And assisted by the government, a watchdog from private-sector must work actively and ISPs (Internet Service Provider) are required to strengthen self-imposed regulation.

      • 영국의 아동보육제도 연구

        도미,이용복 남서울대학교 2001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7 No.-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lies in examining the problems and seeking the solutions of child care in Korea through the study of the UK day care system. The UK introduced the concept of education or care for two-to-seven year children in the 19th century. Robert Owen established day care center for the first time in 1816, and made foundation for social adaptaion of children in poverty. But the child care system in the UK was in a primitive development stage until 1870, when the debate on the school age began. Even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conditions for child did not improve much. Most married working women were paid by the hour, and children were looked after by their father, relatives, or private childminder. In 1990s the shortage of labor force grew worse, increasing the number of working women who had little infants. This situation put the child care to top priority of all the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Nonetheless, public care service was provided limitedly children and families with special welfare needs. As a result, the public financial support for child care continued to be at a standstill. In this way the governmental intervention has been minimized, letting the employers and private markets provide the greater par of care services for working women whose percentage of employment ascending steadily. At the background of such passive governmental policy is the philosophy that the best place for a child is his or her home and that child care is primarily a personal problem which can be solved effectively by the market mechanism.

      • 보육시설에서의 영유아 안전에 관한 연구

        도미 남서울대학교 2004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0 No.-

        The importance of the safety in the Child-care center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 to the other living environment, Although making saf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 is so much important, the reality is different The safety of the child care center has been ignored no matter how big it i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look at the appearance of the safety, and related Acts of the child safety and welfare policy on the safety.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current status and need of the safety, welfare policy on the safety accidents. This research was suggested several ways on the child care Act and welfare policy for eliminating the safe accidents. It suggested the amendment of child care law and safety education by law obligation, and importing of institution of attestation certification. And there were emphasized on the need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education and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

      • KCI등재

        아동의 코칭역량 척도 개발

        도미,한민아 한국코칭학회 2019 코칭연구 Vol.1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a coaching capacity for children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coaching capacity scale and to develop scale questions based on it. A prior study and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to construct the components and preliminary questions of a coaching capacity scale for children.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4th to 6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to define the concept of a coaching competence for children and to draw the components to form the preliminary questions. The Delphi survey of experts was conducted twice as a preliminary question and the concept of components was modified according to the expert's agreed opinion. In order to check the composition of the 60 question scale factors and questions, the preliminary measures, which were finalized through Delphi survey, were analyzed with 169 data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mponents of the coaching capacity scale for children were extracted into 20 statements, of four factors: empathy, support, self-management, listening and communication. The coaching competency scale for children developed in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ollecting objective data on coaching education results for children, and is meaningful in presenting basic data on coaching competency studies for children and coaching competency measures for children. 본 연구는 아동의 코칭역량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아동의 코칭역량의 구성요인을 살펴보고이를 바탕으로 척도문항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동의 코칭역량 척도의 구성요인과 예비문항을 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초등 4-6학년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아동의 코칭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전문가의2차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전문가의 합의된 의견에 따라 구성요인의 개념을 수정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 정리된 예비척도 60문항의 척도 요인 및 문항 구성을 확인하기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 169명의 자료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아동의 코칭역량척도의 구성요인은 자기관리, 공감과 지지, 경청과 소통, 긍정적 관계, 4개요인 20문항으로 추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아동의 코칭역량 척도는 아동의 코칭교육 결과의 객관적 자료를 수집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아동의 코칭역량 연구와 아동의 코칭역량 척도에 대한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위한 코칭접근

        도미,이소희,강경자,김주아 한국코칭학회 2012 코칭연구 Vol.5 No.1

        최근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였다.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교육기관이라는 하나의 상황에서 이루어지게 되면서 보육교사나 유아의 특성 혹은 교육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또한 일련의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보육교사의 언어적 관여수준과 보육교사의 민감한 반응은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빈도를 증가시킨다. 이처럼 보육교사는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개별 유아에 관한 많은 정보를 얻어 유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있다. 이러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많은 연구결과들에 의해 알 수 있다.이러한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부분을 기존의 코칭관련 서적과 연구를 통해 어떻게 이론적으로 접근할 것인지와 교사-유아상호작용 코칭의 실천적 접근 방법 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바람직한 교사-유아 간 의사소통을 형성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 개선을 위한 교사교육, 교사-유아상호작용코칭이론 정립 및 교사-유아코칭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교육에 관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At this moment that childcare is moving from family to daycare center for infants duento the entry of women in public affairs and free childcare services, it is urgent for us tonimprove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young children. Especially,n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Therefore, many programs are being developed forn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young children because the interaction takesnmuch parts in the indicators of childcare center’s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Althoughnthere is research showing that coaching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nchildcare teachers and children’s self-esteem, there isn’t interaction including coachingnprograms at all. For the improvements of quality of childcare and the inner developmentnof childcare teachers and young children through coaching program, the purpose of thisnstudy seeks to coaching approach in teacher-child interac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