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노진아 ( Noh Jina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0 No.3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각 지역에 있는 총 94명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술통계, 대응표본 t 검증, IPA 분석을 통하여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대행동 정의하기, 기대행동 교수하기, 적절한 행동과 문제행동에 대해 반응하기, 조직적이고 예측 가능한 환경 구성하기 범주는 1사분면에 위치하였고, 점검하기 및 의사결정하기, 관리, 지원 범주는 3사분면에 위치하였으며, 가족참여 범주는 4사분면에 위치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유치원 현장에서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을 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classroom-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Method: A total of 94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t test, and IPA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categories in the first quadrant were expectations defined, expectations taught, responses to behaviors, and organized and predictable environment. Categories in the third quadrant were monitoring and decision making, management, and support. Category in the fourth quadrant was family involvem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discussed how to activate classroom-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in kindergarten.

      • KCI등재후보

        SNS 상호피드백 활동을 활용한 현장관찰수업에 관한 예비특수교사의 경험과 교사효능감에서의 변화에 관한 연구

        노진아(Noh, Jina)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3

        이 연구에서는 SNS 상호피드백 활동을 적용한 현장관찰수업에 관한 예비특수교사의 경험과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1명의 예비특수교사에게 SNS 상호피드백 활동을 적용한 현장관찰수업을 실시하였고, 관찰수업일지, 개별 면담을 통해서 예비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 대응표본 t 검증을 통해서 교사효능감에서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SNS 상호피드백 활동을 적용한 현장관찰 수업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경험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효능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예비특수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원양성기관에서의 다양한 수업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1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and changes of teacher efficacy in field observation of SNS mutual feedback activities. The teachers’ experiences were gathered via field journal and individual interview. In addition, teacher efficacy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field observation and analyzed by a paired t-test. The field observation of a class using SNS mutual feedback activities improved their perception toward practic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way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유아특수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노진아(Noh Jina),이윤숙(Lee Yun Suk),강미애(Kang Mi Ae),박동환(Park Dong Hwan),이유리(Lee Yu Ri)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1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과 관련된 국내 전문학술지 논문의 질적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유아특수교육 분야에 나타난 질적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유아특수교육 관련 학술지 10편에 발표된 2000년부터 2010년 6월까지의 유아특수교육 관련 논문 총 52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들은 연도별ㆍ학회지별, 연구주제별, 연구방법별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국내의 유아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는 유아특수교육연구 학술지를 중심으로 확장되었으며, 통합교육과 관련한 주제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면담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방법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면서 질적 연구의 질을 높이려는 노력도 증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조사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의 유아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의 미래 방향성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trends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future qualitative research in early intervention/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I/ECSE) in Korea. A total of 52 qualitative research papers in 10 peer-reviewed journals from 2000 to 2010 yea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se papers were analyzed in terms the year of publication, published journal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 Results indicated that qualitative research had increased especially in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clusive education topics had been explored mostly, interviews with teachers and/or parents had been conducted mostly. In addition,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had been made with the increased interest in reliability and valid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and explore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on qualitative research of early intervention/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증거기반의 행동중재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노진아 ( Jina N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각 지역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설문지 211부를 바탕으로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인식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들은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지식과 자신감이 보통 정도로 나타났고, 문제행동 중재 전략의 실행에 가장 큰 걸림돌로 업무의 과중을 들었으며, 학교 단위로 문제행동 지원팀을 구축하는 것을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대부분의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을 다소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거나 반대로 증거에 기반을 두지 않은 전략들을 중요하게 생각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인식 수준은 교사 변인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특수교사의 연령과 근무하는 기관의 유형에 따라서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인식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연령이 어리고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을 현장에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and to explore several variable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these strategi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out South Korea. 211 of thos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nd perception of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As a result, the knowledge and confidence level of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found to be at the medium level. Also, it was found that a heavy workload was a determining factor for not using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while building a behavioral support team at each school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need. In addition, participants identified most evidence-based behavioral strategies as being important. But some of the strategies were identified as somewhat insignificant or conversely nonevidence-based strategies were identified important. The level of perception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ased on certain variables. Specifically, perceptions of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different based on ages and type of institution. That is, younger teachers who worked at special schools were more likely to use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these results, ways to facilitate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에 대한 장애통합어린이집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곽은혜 ( Gwark Eunhye ),노진아 ( Noh Jina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2 No.1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발달지체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를 담당한 경험이 있는 장애 영유아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전이지원에 대한 경험과 요구에 대해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장애영유아 보육교사 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하였고, 개방 코딩을 통해 면담 전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문제와 관련된 2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 및 관련 내용이 도출되었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영유아 보육교사들은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초등학교 전이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지만, 관련 교육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였고, 특히 전문가와의 협력, 가족지원, 사회·정서적 지원, 추수지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영유아 보육교사들은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초등학교 전이지원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인적·물적 자원 지원,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연수 및 컨설팅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 실행과정 상의 경험과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전이지원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ransition support to elementary school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even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and interview transcription data were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Results: Two topics and 12 subtopics related to research questions were deriv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said that elementary transition support was necessary, but they thought that there was a lack of related education. In particular,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cooperation with experts, family support,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and guidance in follow-up. Second, the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presented their opinions on the supports for teacher empowerme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 development,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training and consulting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elementary transition support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n effective support plan for transition support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ransition support from the daycare center to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통합유치원에서 협력적 자문을 통한 교사의 놀이개입이 중도중복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민경원 ( Min Kyungwon ),노진아 ( Noh Jina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적 자문을 통한 놀이개입이 통합 상황에 있는 중도중복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유치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유아 1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시작행동, 반응행동, 상호작용 행동에서의 변화를 단일대상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이 증가하였다. 중재 전에는 또래의 목소리와 장난감 소리에 반응행동을 주로 보였으나, 중재 후에는 또래에게 놀이를 제안하거나 긍정적인 신체 접촉을 시도하는 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반응행동이 증가하였다. 중재가 지속되면서 또래들이 연구 대상 유아에게 보이는 시작행동이 증가하였고, 동시에 연구 대상 유아 역시 또래에게 보이는 행동이 증가하면서, 연구 대상 유아의 더 많은 사회적 반응행동이 유도된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하였는데, 이 증가율은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에 비해 더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연구에서 실시한 협력적 자문을 통한 교사의 놀이개입이 연구 대상 유아와 또래 간에 집중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했기 때문일 것으로 짐작된다. 이 연구는 한 교실에서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통합유치원에서 중도중복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lay intervention, facilitated through collaborative consulta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a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kindergarten. The child’s social initiation, response, and interaction behaviors were observed using a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s social initiation behaviors increased. Before the intervention, the child mainly reacted to peers’ voices and toy sounds. However, post-intervention, the child began to suggest play and initiate positive physical contact with peers. Second, the child’s social response behaviors also increased. As the intervention progressed, the initiation behaviors displayed by peers toward the child increased, which in turn led to an increase in the child’s response behaviors towards peers. Third, the child’s social interaction behaviors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potentially due to the teacher-led intervention, which encouraged intensive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 and pe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concrete strategies for enhancing interaction between a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where education is implemented in one classroo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장애이해 동극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수용태도와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은정(Eunjeong Yu),류명옥(Myungok Ryu),노진아(Jina Noh)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논집 Vol.20 No.1

        이 연구는 장애이해 동극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 수용태도와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만 4세의 5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장애 유아를 직접 경험한 적이 없는 유아들로 25명의 유아들을 실험집단으로 그리고 25명의 유아들을 통제집단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기간은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총 10주간 진행되었고, 연구방법은 여섯 분야의 장애영역(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 자폐성장애, 정신지체, 의사소통장애)과 관련된 어린이 동화책 두 권씩을 선정하여 총 12권의 책으로 12회기의 동극활동을 수행하였다. 자료 처리는 사후 검사 후 유아의 응답을 점수화 한 후 SPSS 16.0을 활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또한 장애이해 동극활동을 한 집단과 하지 않은 집단 간의 장애수용태도와 공감능력의 차이가 유의한지 분석하기 위해 종속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장애이해 동극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장애수용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t =21.92, P = .000), 또한 장애이해 동극활동이 일반유아의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공감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 = 5.09, p = .000)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ildren’s dramatizing activities with a theme of disability on the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and the empathic ability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y. This study was targeted to 50 kids on Four-year-old. Subjects were an experimental group of 25 children a control and group of 25 children who had never experience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 period was a total of 10 weeks from a preliminary test through pre-test and experimental treatment to post-test.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total of 12 books, two volumes of children’s fairy tale books related to six areas of disabilities (Visual, aural, physical disability, autistic disorder, mental retardation, communication disorders) were selected and 12 sessions of children’s dramatiz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data treatment, after the post-test, scoring the responses of the young children, a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16.0, and to analyze whether the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and empathic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would be significant, a 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acts of children’s dramatizing activities with a theme of disability on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y (t = 21.92, p = .000),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acts of children’s dramatizing activities with a theme of disability on the empathic ability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y (t = 5.09, p = .000)

      • KCI등재

        자폐 스펙트럼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향상에 관한 단일대상 연구의 문헌분석

        김귀연 ( Kuiyoun Kim ),이원희 ( Weonhee Lee ),곽승철 ( Seungchul Kwak ),노진아 ( Jina Noh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3

        이 연구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이루어진 자폐 스펙트럼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한 연구들을 조사하여, 일반적인 특징과 동향을 알아보고, 단일대상 연구 증거기반 실제의 기준이되는 Horner 등(2005)이 제안한 질적 지표를 기초로 질적 지표의 충족률에 대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자폐 스펙트럼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한 단일 대상연구들의 일반적인 특징을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 측면에서는 3명 이상으로 실시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령은 취학 전과 초등 학령기에서 이루어졌으며, 장애 정도를 기술하지 않은 연구와 경증-중간 자폐에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 환경은 학교 내에서 이루어진 경우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실험 설계는 주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와 중다 기초선설계를 많이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으로는 인지 전략과 또래 개입에 관련 된 논문이 많았다. 종속변인으로는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의 효과를 본 연구들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둘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한 단일대상 연구들의 증거기반 실제의 기준이 되는 질적 지표 충족 정도를 살펴본 결과, 질적 지표의 영역별 평균 충족률은 대상자 및 환경 영역 79.5%, 종속변인 영역 96.9%, 독립변인 영역 73.1%, 기초선 영역 88.5%, 실험 통제 및 내적 타당도 91.0%, 외적 타당도 88.5%, 사회적 타당도 78.9% 순으로 나타났다. 각 논문별로 질적 지표를 살펴본 결과, 21가지 전체 질적 지표 중 19가지 이상 (90% 이상)의 질적 지표를 모두 충족시키는 경우는 14편(53.8%)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ses written from 2005 to 2013 in order to look at the general features and trends of the single subject researches on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SD. It is also to examine th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evidence-based criteria in international papers written based on quality indicator, a standard for evidence-based practice(EBP) suggested by Horner et al. (2005).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participants of the studies were more than three preschoolers or elementary students. The severities of their disability based on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CARS) did not provided and mild-severe autism. More than a half of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in schools as a setting for the researchers.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behaviors design and multiple baseline design were used in the most. Independent variables were usually related to cognitive strategies and peer intervention. More than a half of the studies chose the effectiveness of improvement in social interaction as dependent variables. Second, the researches were analyzed by using quality indicator which was a standard of the evidence-based practice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level of area satisfaction were description of participants and settings(79.5%), dependent variable(96.9%), independent variable(73.1%), baseline(88.5%), experimental control and internal validity(91.0%), external validity(88.5%), social validity (78.9%). 14 literatures(53.8%) fulfilled the requirements more than 19 requirements in total of 21 quality indicators.

      • KCI등재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일반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진화 ( Jin Hwa Choi ),류명옥 ( Myung Ok Ryu ),노진아 ( Jina Noh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2

        이 연구는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일반학급에서 교육받는 만만3-4 3-4세 세 유아 16 16명명((남77명명, 여 99명명))에게 적용하여 문제행동발생 빈도와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 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연구자는 긍정적 행동지원 팀 구성 및 교육 33회를 회를 실시하였고 실시하였고, 관찰을 통해 문제행동이 자주발생하는 이야기 나누기 시간 시간, 미술활동시간 미술활동시간, 자유선택활동 총 33개의 개의 활동 시간을 선정하였다다. 이후 문제행동의 발생빈도를 줄이기 위해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을 수립하여 학급규칙에 대한 교수 교수, 학급규칙 게시 게시, 기대행동 수행에 대한 경력 및 사전 교정 교정, 학급 환경의 구조화와 같은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하였다 실행하였다. 그리고 해당시간 모든 학생들의 문제행동 발생빈도를 측정하여 사전 사전·사후로 발생빈도를 비교 하였다 하였다. 또 긍정적 행동지원이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검사를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실시하였다. 검사결과는 SPSS 21.0 21.0을 을 사용하여 평균 평균(M), (표준편차 표준편차(SD) (를산출하고 산출하고, 종속표본 tt검정을 검정을 실시하여 효과크기 효과크기(Cohen``s (d) 와 함께 제시하였다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첫째째,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학급의 모든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감소시켰다 감소시켰다. 둘째 둘째,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사회적 유능감 향상에 효과적이었고 그 효과 크기도 컸다 컸다. 이와같은 결과를 통해서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학급 내 모든 유아들의 문제 행동을 감소시킴으로써 활동참여를 높이고 높이고, 사회적 유능감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examine the effects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problem behaviors and social competences of 16 3-4 year old children (7 males, 9 females) in an inclusive daycare classroo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made a positive behavior support team and carried out training three times. In addition, story time, art activities, and free choice activities were selected for observation of problem behaviors. To reduce the incidence of behavioral problems,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planned and conducted. For example, establishing and teaching classroom rules, acknowledging appropriate behaviors, and structuring classroom environments were implemented. The frequency of problem behaviors of all children was recorded and counted both before and after the study.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how intervention influences social competences, this study modified one social competence tool for young children. The test results were examined by SPSS 21.0, and M, SD, paired t-test, and Cohen``s d were calcul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roblem behaviors declined and social competence scores increased after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reduce problem behavior and to improve social competences of all children in a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