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흰쥐에서 녹차의 섭취가 <sup>14</sup>C-Benzo[a]pyrene의 조직 분배 및 잔류에 미치는 영향

        김주연,노상규,Kim, Ju-Yeon,Noh, Sang-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6

        잔류성이 강하고 높은 지용성질을 가지는 식품오염물질인 benzo[a]pyrene(BaP)은 녹차 섭취에 의해서 소장에서 흡수가 억제되고 총담관으로의 배출이 증가되는 것으로 최근에 보고하였다. 이번 연구는 흰쥐를 이용해서 $^{14}C$-BaP를 복강주사한 후, 사람과 비교해서 1잔에 해당하는 녹차추출물을 4주간 매일 지속적으로 공급하였을 때, $^{14}C$-BaP의 조직분배 및 잔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7.4 kBq $^{14}C$-BaP를 복강주사한 후 표준식이와 증류수만 공급된 동물군을 대조군, 표준식이와 녹차추출물(4.7 mg catechins/day)을 공급받은 동물군을 녹차군으로 하여 4주간 사육하였다. 그리고 4주째에 심장, 간장, 뇌, 비장, 신장, 후복막지방, 고환, 부고환지방 조직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각 조직에 잔류하는 $^{14}C$-BaP의 방사선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과 녹차군 모두 연구 시작부터 종료 시까지 지속적으로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동물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장기의 무게 또한 각 조직 모두 동물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직 g당 $^{14}C$-BaP의 잔류량은 심장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뇌, 부고환지방, 비장, 신장, 간장, 후복막지방, 고환 순으로 높았으며, 조직 전체의 $^{14}C$-BaP의 잔류량은 부고환지방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간장, 후복막지방, 심장, 뇌, 신장, 고환, 비장 순으로 나타났다. 녹차 섭취에 의해서 조직 g당 $^{14}C$-BaP의 방사선 활성도와 조직 전체 당 $^{14}C$-BaP 방사선 활성도 모두 심장, 간장, 뇌, 비장, 부고환지방에서 급격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4주 동안 하루 1잔에 해당하는 녹차추출물 섭취가 BaP의 조직 분배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조직 잔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이 실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we showed that green tea extract (GTE) markedly lowers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14}C$-benzo[a]pyrene ($^{14}C$-BaP) and enhances its secretion into the biliary route, suggesting a protective role for GTE against body burde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green tea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dietary means against the toxicity of BaP. The present study, therefore, was designed to investigate if green tea intake could affect the tissue distribution and deposition of $^{14}C$-BaP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had free access to a nutritionally adequate AIN-93G diet and deionized water. At ~340 g of weight, the rats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with 27.4 kBq of [4-$^{14}C$]-BaP and 5.0 mg of BaP dissolved in $300\;{\mu}L$ of olive oil and then assigned randomly to the following two groups: one group (GTE) of rats was fed the AIN-93G diet with GTE via drinking water at approx. 4.7 mg of catechins/d, whereas the other was fed the same diet but without GTE (control). At 4 wk of dietary treatment with GTE, animals were euthanized and heart, liver, brain, spleen, kidney, retroperitoneal fat, testis, and epididymal fat were collected, weighed, and analyzed for tissue $^{14}C$-BaP. Both the control and GTE groups continuously gained weight throughout the stud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weights of heart, liver, brain, spleen, kidney, retroperitoneal fat, testis, and epididymal fat. However, the radioactivities of $^{14}C$-BaP, expressed in dpm/g,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eart, liver, brain, spleen, and epididymal fat of rats receiving GTE as compared to their respective controls. These data indicate that green tea intake markedly lowers tissue accumulation of $^{14}C$-BaP.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creased tissue levels of BaP by GTE intake may be associated with lowered intestinal absorption of BaP and its enhanced secretion into the bile.

      • SCOPUSKCI등재

        흰쥐에서 녹차의 섭취가 ¹⁴C-Benzo[a]pyrene의 조직 분배 및 잔류에 미치는 영향

        김주연(Juyeon Kim),노상규(Sang K. N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6

        잔류성이 강하고 높은 지용성질을 가지는 식품오염물질인 benzo[a]pyrene(BaP)은 녹차 섭취에 의해서 소장에서 흡수가 억제되고 총담관으로의 배출이 증가되는 것으로 최근에 보고하였다. 이번 연구는 흰쥐를 이용해서 ¹⁴C-BaP를 복강주사한 후, 사람과 비교해서 1잔에 해당하는 녹차추출물을 4주간 매일 지속적으로 공급하였을 때, ¹⁴C-BaP의 조직분배 및 잔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7.4 kBq ¹⁴CBaP를 복강주사한 후 표준식이와 증류수만 공급된 동물군을 대조군, 표준식이와 녹차추출물(4.7 ㎎ catechins/day)을 공급받은 동물군을 녹차군으로 하여 4주간 사육하였다. 그리고 4주째에 심장, 간장, 뇌, 비장, 신장, 후복막지방, 고환, 부고환지방 조직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각 조직에 잔류하는 ¹⁴C-BaP의 방사선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과 녹차군 모두 연구 시작부터 종료 시까지 지속적으로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동물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장기의 무게 또한 각 조직 모두 동물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직 g당 ¹⁴C-BaP의 잔류량은 심장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뇌, 부고환지방, 비장, 신장, 간장, 후복막지방, 고환 순으로 높았으며, 조직 전체의 ¹⁴C-BaP의 잔류량은 부고환지방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간장, 후복막지방, 심장, 뇌, 신장, 고환, 비장 순으로 나타났다. 녹차 섭취에 의해서 조직 g당 ¹⁴C-BaP의 방사선 활성도와 조직 전체 당 ¹⁴C-BaP 방사선 활성도 모두 심장, 간장, 뇌, 비장, 부고환지방에서 급격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4주 동안 하루 1잔에 해당하는 녹차추출물 섭취가 BaP의 조직 분배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조직잔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이 실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we showed that green tea extract (GTE) markedly lowers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¹⁴C-benzo[a]pyrene (¹⁴C-BaP) and enhances its secretion into the biliary route, suggesting a protective role for GTE against body burde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green tea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dietary means against the toxicity of BaP. The present study, therefore, was designed to investigate if green tea intake could affect the tissue distribution and deposition of ¹⁴C-BaP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had free access to a nutritionally adequate AIN-93G diet and deionized water. At ∼340 g of weight, the rats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with 27.4 kBq of [4-¹⁴C]-BaP and 5.0 ㎎ of BaP dissolved in 300 ㎕ of olive oil and then assigned randomly to the following two groups: one group (GTE) of rats was fed the AIN-93G diet with GTE via drinking water at approx. 4.7 ㎎ of catechins/d, whereas the other was fed the same diet but without GTE (control). At 4 wk of dietary treatment with GTE, animals were euthanized and heart, liver, brain, spleen, kidney, retroperitoneal fat, testis, and epididymal fat were collected, weighed, and analyzed for tissue ¹⁴C-BaP. Both the control and GTE groups continuously gained weight throughout the stud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weights of heart, liver, brain, spleen, kidney, retroperitoneal fat, testis, and epididymal fat. However, the radioactivities of ¹⁴C-BaP, expressed in dpm/g,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eart, liver, brain, spleen, and epididymal fat of rats receiving GTE as compared to their respective controls. These data indicate that green tea intake markedly lowers tissue accumulation of ¹⁴C-BaP.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creased tissue levels of BaP by GTE intake may be associated with lowered intestinal absorption of BaP and its enhanced secretion into the bile.

      • KCI등재

        파프리카 급여가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혈청 지질과 α-Tocopherol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재희 ( Jae Hee Park ),노상규 ( Sang K. Noh ),김창순 ( Chang Soon Kim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3 No.3

        본 연구는 추출물 형태에 따른 파프리카 첨가 식이가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혈청 지질과 α-tocopherol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prague-Dawley 수컷 25마리를 대조군(NC), 고콜레스테롤군(HC), 고콜레스테롤+동결 건조 파프리카 분말 섭취군(HC-FDP), 고콜레스테롤+파프리카 물 추출물 섭취군(HC-WEP), 고콜레스테롤+파프리카 에탄올 추출물 섭취군(HC-EEP)으로 나누어 실험 식이를 6주간 공급하였다. 6주 후 HC군과 파프리카 급여군에서 체중 증가는 각각 85.2%와 65.5~68.88%로 HC군에서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내장지방 무게는 HC군보다 파프리카 급여군에서 감소하였으며, 파프리카 급여군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과 atherogenic index 역시 HC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파프리카 급여군들 중에서는 HC-EEP 군이 혈청지질 농도 감소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α-tocopherol 농도는 HC-EEP에서 30.5±0.6μMol/ℓ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HC-WEP(30.0±0.8μMol/ℓ)>HC-FDP(29.1±0.5μMol/ℓ)>HC(27.7±0.3μMol/ℓ)이었다. 이는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혈청 α-tocopherol이 소모되는 것을 파프리카 급여로 절약 하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파프리카는 혈중 지질 농도 저하 효과를 보였고, α-tocopherol 절약 작용을 통해 체내 항산화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흰쥐에서 녹차추출물의 트랜스 지방 소장 흡수 억제 작용

        김주연(Juyeon Kim),노상규(Sang K. N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

        트랜스 지방 과다섭취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이다. 이 연구는 녹차의 섭취가 대표적인 트랜스 지방인 elaidic acid의 소장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설계하였다. 소장 지방 흡수를 in vivo 상태에서 측정하기 위해서 흰쥐의 ‘소장지방흡수모델(mesenteric lymph duct cannulated rat model)’을 이용하여 십이지장주입관(intraduodenal catether)과 림프채취관(lymph duct cannula)을 각각 십이지장과 소장 림프관에 설치하였다. 십이지장주입관으로 주입된 지질유화액은 180.0 μmol elaidic acid, 400.0 μmol triolein, 20.7 μmol cholesterol, 3.1 μmol a-tocopherol, 396μmol sodium taurocholate 그리고 24 mL PBS 용액을 기본 성분으로 했고 이 지질유화액만 공급받은 동물을 대조군(control), 녹차추출물이 추가된 지질유화액을 공급받은 동물을 녹차군으로 하였다. 지질유화액은 시간당 3 mL씩 8시간 동안 주입하였고 동시에 소장 림프관에 설치된 림프채취관으로 분비되는 림프 시료를 매시간 8시간 동안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8시간 동안 소장 림프채취관으로 분비된 림프의 양은 녹차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elaidic acid의 흡수율(분비율) 또한 녹차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콜레스테롤, 올레산, 인지질의 흡수율도 녹차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녹차가 elaidic acid 뿐만 아니라 기타 주요 식이성 지방들의 소장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연구라 판단된다. Excessive intake of trans fats is known to be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s. Previously, we have shown that green tea extract (GTE) lowers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lipids and lipid-soluble compounds in ra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possible role of GTE on the lymphatic absorption of elaidic acid, a major trans fat in the diet.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ith lymph duct cannula were infused via an intraduodenal catheter at 3.0 mL/hr for 8 hr with a lipid emulsion containing 180.0 μmol elaidic acid, 400.0 μmol triolein, 20.7 μmol cholesterol, 3.1 μmol α-tocopherol, and 396.0 μmol sodium-taurocholate with or without (control) GTE in a 24 mL PBS buffer (pH, 6.4). Simultaneously, lymph was collected hourly for 8 hr via the lymph duct cannul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ymph flow by GTE. Also, the lymphatic absorption of elaidic acid for 8 hr was significantly lower in rats infused with GTE than in those not infused with GTE. Similarly, GTE infusion decreased the lymphatic outputs of cholesterol, oleic acid, and phospholipids, compared with the controls. These findings provide clear evidence that GTE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elaidic acid and other lipids. Our work here provides the foundation for further studies to examine and evaluate dietary strategies to ameliorate dietary trans fats from the diet.

      • KCI등재
      • KCI등재

        흰쥐에서 단감발효주가 알코올성 지방간 형성에 미치는 영향

        남경숙(Kyung-Sook Nam),김주연(Juyoun Kim),노상규(Sang K. Noh),박중협(Joong-Hyeop Park),성언기(Eon-Gi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1

        본 연구에서는 흰쥐를 이용, 단감발효주의 항산화성과 알코올성 지방간 증상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ieber-DeCarli 액체 표준식이만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군, 에탄올에 의한 열량 보충으로 대조군과 동일 열량의 액체식이를 공급받은 에탄올군, 에탄올군과 동일한 양의 알코올을 함유하는 단감발효주가 혼합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단감발효주군으로 하여 7마리씩 3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시작 전, 3주째, 그리고 6주째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간은 6주 혈액 채취 직후 적출되었다. 단감발효주의 총 페놀함량은 24.59mg/100mL이었고 SOD 유사활성은 20.9 %이었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7%로 나타났다. 6주간 의 체중증가율은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에탄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에탄올군과 단감발효주간의 비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혈액의 중성지방 농도는 에탄올군과 단감발효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액의 ALT, AST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서 에탄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단감발효주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사진촬영에서와 유사하게 간조직의 총지방량은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단감 발효주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주요 지방 종류별 총지방산 비교에서도 중성지방 분획의 지방산들은 에탄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단감발효주군에 서는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을 통해 단감발효주가 알코올 섭취로 증가된 혈중 지질 수준과 간기능 지표 수준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지방간 형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간조직 지방분석을 통해 확인 하였다. 이는 전통기능성주인 단감발효주에 포함된 다양한 폴리페놀이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보호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증명한 실험결과로 판단된다. Persimmons are shown to contain high levels of phenolic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if a sweet persimmon wine (SPW) would affect the development of alcoholic fatty liver in rats. Initiall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housed singly in stainless steel wire-bottomed cages in a room of controlled temperature and lighting. The rats had free access to a nutritionally adequate AIN-93G diet and deionized water. After the acclimatization period, rats were weight-matched and assigned 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two groups were fed 6.7% ethanol or the caloric equivalent of maltose-dextrin in a Lieber-DeCarli diet and the other group was fed the isocaloric Lieber-DeCarli diet containing SPW at the same ethanol level. All three groups were fed their respective diets for 6 weeks. Serum transaminase,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measured. Liver lipids and histology were assessed at 6 weeks.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the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PW were determined. SPW significantly increased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s markers of liver injury, serum alanine and aspartate transminases were markedly lowered by SPW at 6 weeks. SPW significantly reduced the serum levels of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mpared to ethanol treatment. SPW delayed the development of an alcoholic fatty liver by reversing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as evidenced in histological observations. Taken together, SPW seems to protect the liver from becoming fatty by alleviating fatty liver symptoms and lowering hepatic and serum lipid levels. Such a protective effect of SPW appears to be in part due to its phenolics.

      • KCI등재

        흰쥐 모델에서 Capsaicin이 소장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

        서윤정(Yun-Jung Seo),김주연(Juyeoun Kim),노상규(Sang K. N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2

        본 연구는 capsaicin 투여가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지방의 소장 흡수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설계되었다. 지방의 소장 흡수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흰쥐 소장 지방 흡수율 측정모델을 이용하여, 쥐의 십이지장으로 capsaicin이 포함된 지질유화액을 8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주입하면서 8시간 동안 림프관으로 분비되는 <SUP>14</SUP>C-cholesterol, α-tocopherol, 지방산을 분석하여 capsaicin에 의한 영향을 비교하였다. 8시간 동안 분비된 림프액의 양은 대조군과 capsaicin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α-tocopherol의 흡수율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총 8시간 그리고 시간대별 <SUP>14</SUP>C-cholesterol 흡수율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capsaicin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중성지방의 흡수율의 비교에서도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돈산, DHA의 흡수율은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지방유화액을 통해 주입한 올레인산의 흡수율에서는 유의적인 감소현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capsaicin의 응용성은 비만 치료 및 지방대사 조절과 관련해 특히, 소장 지방 흡수대사에 치중한 식이적인 수단의 근거로써 활용이 기대된다. Capsaicin has been shown to affect lipid metabolism. However, it is currently not known whether capsaicin would lower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cholesterol.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duodenally infused capsaicin on the lymphatic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lipids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300~350 g were starved for 16 hr and the mesenteric lymph duct was cannulated. Each rat was infused at 3.0 mL/hr for 8 hr via the duodenal catheter with a lipid emulsion, which contained 33.3 kBq [<SUP>14</SUP>C]-cholesterol, 20.7 μ㏖ cholesterol, 452 μ㏖ triolein, 3.1 μ㏖ α-tocopherol, and 396.0 μ㏖ Na-taurocholate without (control) or with 5.0 ㎎ capsaicin in 24 mL PBS buffer (pH 6.4). Simultaneously, lymph was collected hourly for 8 h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ymph flow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lymphatic absorption of <SUP>14</SUP>C-cholesterol for 8 hr was significantly lower in rats infused with capsaicin than in those infused with no capsaicin. Also, the output of oleic acid for 8 h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capsaicin. However,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α-tocopherol did not differ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uminal infusion of capsaicin inhibits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lipids in rats.

      • KCI등재

        보리수열매주의 알코올성 지방간 형성 억제 효과

        김주연(Juyeon Kim),남경숙(Kyung-Sook Nam),노상규(Sang K. N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

        본 연구에서는 보리수 열매를 원료로 하여 만든 보리수열매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고, 흰쥐에 보리수열매주의 급여가 알코올 지방간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코올의 섭취로 지방간을 유도하기 위하여 Lieber-DeCarli 액체 식이를 공급하였으며, 액체 표준식이만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군(control), 대조군과의 열량 차이를 에탄올로 보충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에탄올군(ethanol), 에탄올 대신 보리수열매주를 혼합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보리수열매주군(cherry silverberry wine, CSW)으로 6마리씩 3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실험 시작 전, 3주째, 그리고 6주째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간은 6주 혈액 채취직후 적출하였다. 보리수주의 총 페놀함량은 37.24 mg/100mL, SOD 유사활성은 22.26%,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3.69%로 나타났다. 혈액의 주요 지방간 표지자들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보리수열매주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군의 간은 지방구가 축적되어 비대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보리수열매주군의 간은 지방구의 크기나 수가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간조직의 총지방량 농도도 보리수열매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보리수열매주가 알코올 섭취로 증가된 혈중 지질 수준과 간기능 지표 수준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간조직에 지방간 형성이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간조직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는 보리수열매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피토케미칼 성분의 항산화 효과로 인해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보호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결과로 사료된다. Cherry silverberry (Elaeagnus multiflora) contains bioactive phenolic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feeding cherry silverberry wine (CSW) to rats would alleviate the progress of alcoholic fatty liver.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by weight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Two groups of rats were fed 6.7% ethanol or the caloric equivalent Lieber-DeCarli diet containing maltose-dextrin, and the other group an isocaloric Lieber-DeCarli diet containing CSW at the same ethanol level for 6 weeks. CSW’s flavonoids, its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erum transaminases, serum and hepatic lipids, and liver histology were examined. Our results showed that CSW exerted significant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serum activities of alanine and aspartate transminases were markedly decreased by CSW at 6 weeks. Also, CSW feeding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s in bloo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he development of alcoholic fatty liver was significantly delayed by lowering fat accumula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SW may help protect the liver against alcoholic fatty liver by improving serum and hepatic lipid status. This may be associated with the protective effect of CSW on alcoholic fatty liver via bioactive phenolic compounds.

      • KCI등재

        경상남도 김해지역 고등학생의 식행동, 간식섭취 및 충치 실태조사

        윤현숙(Youn Hyun-Sook),곽혜정(Kwak Hye-Jeong),노상규(Noh Sang K) 韓國營養學會 200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1 No.8

        경남 김해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학생 626명 (남학생 333명, 여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충치 실태, 간식섭취빈도, 식행동 등에 관한 조사에서 과반수이상이 충치가 있고 특히 여학생이 충치가 많으며, 충치 예방을 위하여서는 대부분이 양치질을 올바르게 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그러나 음식섭취 후 즉시 양치를 하는 학생은 1/5 수준이었고 양치방법은 이와 혀, 잇몸을 모두 닦는 율은 1/4 수준으로 낮았고 양치질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이 많았다. 간식섭취 빈도와 식행동은 충치유무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충치가 없는 학생들은 백색우유 섭취빈도가 높은 반면 충치가 있는 학생들은 껌, 탄산음료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여학생에서 충치수가 많았는데 초콜릿, 과자류,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등의 섭취빈도가 남학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올바른 양치 법에 대한 교육과 아울러 충치유발 식품 및 충치를 억제시키는 청정식품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snack intake frequency, eating patterns and current dental caries in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626 students (333 males, 293 females) in Gimhae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rvey conducted b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January, 2008. Dental caries-related information was obtained during the students' physical examination at the designated clinical hospital in 200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ixty three point nine percent of the students were shown to have dental caries, which includes a sealant. The average number of dental caries was 3.1, which was greater in female than in male students (p < 0.001). Eighty six percent of the students were shown to maintain correct toothbrushing habits to prevent dental caries. Twenty percent of the participants brushed there teeth ‘instantly’ a meal or snack, and 27.3% of the participants brushed there teeth, gum and tongue, and 58.9% of the participants received toothbrushing education. In snack intake frequency, participants with no dental caries had preference to white milk whereas those with dental caries had preference to snacks such as chewing gums and carbonated beverages. Female students were shown to have more dental caries maybe because of their higher snack intake frequency in chocolate, cookies and chips, yoghurt and ice-cream. Dental caries did not affect eating behaviors.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education for correct toothbrushing and cariogenic and detergent foods are needed for better dental hygien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