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를 통해 본 스웨덴 기업문화의 특징

        노명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2 No.4

        Sweden is one of the “three fingers of Scandinavia," located between Norway and Finland. There are thousands of islands lining the coast, and mountains form much of the northwest. Sweden is dotted with lakes, and more than half of the country is forested. The population of Sweden is 8.8 million. At least 85% of the people are ethnic Swedes. A small, indigenous minority (approximately 15,000), the Sami, lives in the North. Sweden's lat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early 1900s contributed to its swift rise from poverty to prosperity. The country already established solid educational and transportation systems that supported industrialization. There was also money for expansion into new industries because of Sweden's valuable timber and iron that were in great demand in Europe. Sweden had discovered early that a partnership of private and public interests was the best combination for both achieving economic success and benefiting as many people as possible. The evolution into a social democratic system had started. The six fundamental values of Swedish social democracy: equality, freedom, democracy, solidarity, security, and efficiency. The form of democracy in Sweden is often called the “Swedish model" and sometimes “human capitalism," and it relies heavily on the close collaboration between business, government, and labor. The Swedish word ‘lagom' is key to understanding the rationale behind social democracy. ‘Lagom' is untranslatable but essentially means “middle way" and “reasonable." The summer home, stuga is a place to go for solitude and quiet individualism. It brings into focus most of the important values in Sweden, including equality. The Swedes' love and respect for nature is a strongly held value. Swedish companies, especially the larger ones, are able to draw on some extraordinary qualities of leadership: For example, Peter Gyllenhammer of Volvo, Ingvar Kamprad of IKEA, Percy Barnevik of Asea Brown Boveri, Bjorn Svedberg of L. M. Ericsson, Jan Carlzon of SAS, Allan Larson of the Labor Market Board, Bo Ekman of the aptly named Holen Group, Antonin Johnson of A. Johnson, Curt Nicolin, head of the Employer's Federation, and many others. Swedish leaders are extremely broad in their interests and their education. Their vital contribution of business to Swedish society is at the top of their agendas, and this contribution goes far beyond economics. One important test of leadership is readiness to delegate. For Swedes,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improving the work process is widely distributed through group. We see again how Swedes identify their work with the highest cultural institutions in the land and feel themselves part of these. ‘스웨덴 모델’로 불리는 스웨덴의 경제와 사회제도를 지탱해 온 기업문화는 어떠한 것일까? 본고에서는 스웨덴의 역사를 개괄하고 스웨덴 인들의 일상의 삶과 깊은 관계에 있는 여름 별장 스투가 (stuga)가 상징하는 바를 분석하면서 스웨덴 기업문화의 기본 전제들과 실제를 조명하고 자 한다. 스웨덴 인이 누구인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자리 잡은 ‘중용의 합리성’이라는 개념에 해당할 수 있는 라곰 (lagom)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스웨덴 기업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자유주의, 개인주의 그리고 공동체주의가 어떻게 합리적 중용을 이루며,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가 어떻게 사회민주주의로 조화로운 귀결을 이루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자본주의 체제 속에서의 대기업들의 발달과 사회민주주의에 의거한 대기업들의 사회헌신 그리고 이를 통한 광범위한 사회복지제도 지원 등은 라곰에 기초한 ‘스웨덴 모델’의 근간이다.

      • KCI등재
      • KCI등재

        A thought on the mutual Relationships of History, Culture and Area Studies in the light of Epistemology

        노명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29 No.-

        The true nature of a certain (special, individual, particular) area implies the ultimate outcome of the history unique to the area. Because, the history unique to an area is the aggregate of all past experiences of the area people. History has a stratified structure which represents the aggregate (totality) of the diachronic accumulations of the occurrences. Each period builds upon the past. In the each phase (slice) of this stratification of history live the area contemporaries. Each phase can be understood as the culture which comprises whole life fields of the area inhabitants. This culture is formed through the history of this individual area. So, without understanding the stratified structure of history of an area (that is, the total accumulations of historical occurrences), we can not recognize the culture as the aggregate lifestyle of the area accurately. Culture may be defined briefly as a community of a people who hold numerous features of belief, behavior, and overall way of life in common, including ideology, technology, social institutions, and material possessions. Without a doubt, history is the aggregate of all past experiences. But in reality, we can only realize history which comes within our spheres of cognizance. That means that history which we know, in its volume and character, also depends on our faculty of understanding. We can conclude that history stands in a strong relationship with epistemology. The central object of area studies is the human beings of the area who are in the process of the history. Area studies can be regarded as a continuous process of interaction (an unending dialogue) between the researcher of an area and the research object (and other area). From this point of view, I conclude that area studies is a science of epistemology. Because of the different history each area possesses particularity, that is individuality. The first goal of area studies lies in the recognition of this individuality. This individuality can be more obviously recognized through continuous comparisons between areas. Under this process we can also extract universality (generality) gradually. In the end we can develop a third new perspective. That is the dialectic unification between speciality and universality. 역사 과정을 통하여 한 지역의 개성적인 문화가 형성되고 그 지역인의 성격이 결성된다. 역사의 중층적 구조의 각 층은 제 단계의 문화를 보여준다. 문화란 그 지역인들의 가치관, 사고방식 그리고 행위방식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지역학 (지역연구)의 핵심 연구 대상이다. 그런데 역사란 과거에 속하는 사료와 현재에 속하는 역사가의 끊임없는 접촉 속에서 밝혀지는 인식론적 차원의 결과물이다. 인식자인 역사가의 관점이 큰 역할을 한다. 그런가 하면 한 지역의 문화라는 것도 인식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파악될 수 있는 인식론적 차원의 결과물이다. 이는 지역학의 결과가 그러함을 의미한다. 각 지역의 문화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우리는 그 특수성과 보편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지역을 연구하는 방법도 이와 유사할 수 있다. 각 지역의 역사를 과거, 현재, 미래의 끊임없는 “대화” 라는 관점에서 파악하고 각 지역간의 상호 인식의 끊임없는 “대화” 속에서 각 지역의 성격을 규명한다. 각 지역 역사는 그 지역의 개별성을 나타내 주는 것이고 그 개별성은 각 지역간 끊임없는 상호 교차 인식 속에서 그리고 비교 과정에서 더욱 선명해 진다. 각 지역의 개별성은 이 끊임없는 교차 인식 과정에서 변증법적 통일을 기하여 보편성을 추구한다. 이는 역사학과 지역학이 인식론의 바탕위에서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역사학과 지역학의 관계가 위와 같이 규명될 수 있는 것이며 역사학은 각 지역의 개별성 파악을 위해 필수적으로 투입되어야 할 학문 분과이고 그 개별성들의 끊임없는 비교과정을 통해 역사의 개별성과 보편성의 자대가 확립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지역학을 통해 역사연구는 심대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풍부한 역사학의 지평을 열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류를 위한 김대중의 기여와 미완의 김대중 사상 정책의 완성을 위한 한류의 의미와 역할: 민주주의 평화 상생 한반도의 분단극복과 세계시민주의를 위하여

        노명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22 역사문화연구 Vol.83 No.-

        Kim Dae-jung's realization of the knowledge-information age and cultural industry policy acted as an important materia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Wave, and his overcoming Korean peninsula division and world coexistence and peace polic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ublimating and radiating Korea into fashion and spirit. Kim Dae-jung's unfinished policies are now presented with such a possibility that they can be completed by the Hallyu. Hallyu stars and international fandoms are demonstrating their ability to realize global citizenship with the successful movements of Overcoming World Poverty, Ending Racial Discrimination, and Saving the Earth.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is aspect of the Korean Wave is desperately needed for its world-historical role in the future direction in which Korea and the world should go.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ogether so that the "virtual nation" caused by the Korean Wave, which is being noted by Korean Wave experts, does not repeat the hitherto nationalism, but can proceed in the direction of the completion of a global democracy, peace, and win-win community while realizing global citizenship. 김대중의 지식정보화 시대의 실현과 문화산업 정책은 한류가 발전하는데 중요한 물적 토대로 작용하였으며, 그의 분단극복과 세계 상생·평화 정책은 한을 멋과 신명으로 승화·발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현재 미완으로 남아 있는 김대중의 사상과 정책들은 이제 한류에 의해서 완성될 수 있는 그러한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한류 스타들과 국제 팬덤의 세계의 빈곤 극복과 인종차별 철폐, 지구 살리기 운동 등 초국적 활동들은 세계시민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역량을 설득력 있게 보여주고 있다. 한류에 대한 이러한 측면의 심도 있는 이해는 앞으로 한국과 세계가 가야 할 방향을 위해 한류의 세계사적 역할을 위해 절실히 필요하다. 한류 전문가들이 주목하고 있는 한류에 의한 ‘가상 국가(virtual nation)’가 지금까지의 민족주의·국가주의를 반복하지 않고, 세계시민주의를 실현하면서 글로벌 민주주의·평화·상생의 공동체 완성의 방향으로 진행해 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The Mutual Impacts between the East Asia and Europe under the Influence of the Dtente Policy of the USA in the Era of R Nixon (1969-74)

        노명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8 No.-

        The Mutual Impacts between the East Asia and Europe under the Influence of the Détente Policy of the USA in the Era of R Nixon (1969-74) - in the strong considerations of the stand and role of the divided Germany and Korea - Meung-Hoan Noh The beginning of the rapprochement between the USA and China was going to suffocate the Soviet Union. Against this circumstance the Soviet Union became to be eager to develop the stable and cooperative relations with western countries. In this context the Soviet Union and other East European countries reinforced their suggestion to create an organization for the collective security and cooperation between the East and West European states. The Soviet Union sought for cooperation especially with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t this moment the new government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the regime of Willy Brandt which came into being September 1969 was going to launch the Ostpolitik systematically. The attitude of the Soviet Union towards West Germany was beneficial to this Ostpolitik. The Ostpolitik and the idea of collective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influenced the developments of the South Korean unification policy. 닉슨 대통령 시기 미국의 데탕트 정책과 유럽과 동아시아의 상호 영향관계 노 명 환 냉전시대에 미국과 유럽의 관계 또는 미국의 유럽정책이 미국과 동아시아 관계 또는 동아시아 정책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는 거꾸로도 그 논리 맥락이 실제에서 성립되었던 것으로 대서양관계와 태평양관계의 상호 영향관계를 나타내 준다. 중국과 소련은 1969년 3월 무력 국경분쟁 속에 휘말렸다. 이러한 가운데 미국에 닉슨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중국과 화해정책이 실현되어 갔고 이러한 미국과 중국 두 나라 사이의 데탕트 관계는 소련에게 매우 위협적인 것이었다. 소련은 서유럽 국가들과의 관계개선을 꾀했으며 이는 서독 브란트 수상의 동방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동유럽과 서유럽을 아우르는 집단안보체제 수립을 소련이 제안하였는데 이는 브란트를 중심으로 한 서유럽지도자들의 호의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집단안보체제 논의는 후에 1975년 헬싱키 협약을 통해 “유럽안보협력회의 (CSCE)” 성립으로 그 결실을 맺었다. 이러한 사실은 미국과 중국의 관계, 즉 태평양 관계가 미국과 유럽의 관계, 즉 대서양 관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음을 대변해 준다. 데탕트 관계를 추구하던 미국과 중국은 한국의 남북관계에서 화해와 교류를 통해 전쟁 없는 동북아의 현상유지가 이루어지기를 바랐다. 그리하여 미국의 경우 독일의 동방정책과 같은 접근을 통한 변화의 물꼬가 한국의 남북관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기를 바라고 여러 경로를 통해 남한 정부 당국에게 이를 권고했다. 남한 정부의 남북관계 담당 공무원들과 서독의 관계자들 사이에 보다 긴밀한 교류가 일어났으며 서독의 내독관계 추진에 대해서 그리고 동방정책의 추진에 대해서 밀도 있는 정보들을 취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남한의 북한에 대한 관계개선을 추진하는 정책을 개발하는데 커다란 시사점의 원천이 되었다. 유럽의 동과 서를 아우르는 집단안보체제의 추진에 대해서도 많은 정보가 흘러 들어와 동아시아의 평화질서를 수립하는데 타산지석으로 삼는 지도자들이 늘어났다. 이러한 상황 전개는 미국과 동아시아의 관계에도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 KCI등재

        The Impacts of the “Berliner Mauerfall” and the Unification of Germany for the Tasks of Korean Unification - Focused on the Northern Policy of Roh Tae-woo and the Sunshine Policy of Kim Dae-jung -

        노명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5 No.-

        The fall of the Berlin Wall, the ensuing collapse of the eastern block in 1989‐91, and the unification of Germany in October 1990 all had a significant impact on North and South Korea, albeit in different ways. For South Koreans the event of the fall of the Berlin Wall symbolized also the collapse of apparently real‐existing socialism. Over the long‐term view it symbolized positively the unification of Germany too. These world historical – not only European – changes made Koreans on either side of the divided peninsula very conscious of the challenging task of attempting the unification of their divided country. In the South impact of the fall of the Berlin Wall and German unification was to help the success of the North Korean policy of the Roh Tae‐woo government. However, Roh aimed to monopolize the unification policy for the benefit of his own regime. He either excluded or controlled the citizens’ unification movement. In practice his policy was not realized in true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even though his “Northern Policy” had the West German Ostpolitik as its reference. But Roh’s Northern Policy aimed to put pressure on North Korea through the improvement of relations with the Soviet Union, China, and other eastern block countries. For the most part Kim Dae‐jung inherited the Northern Policy of Roh. However, Kim emphasized civil participation in the unification movement and the need to try to engage the North in constructive dialogue. He stressed that the two Koreas must avoid any rapid moves towards unification absorbed, as he was,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German and Korean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