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행임尹行恁(1762~1801)의 정치 활동과 학문 성향

        노대환(盧大煥)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9

        윤행임은 조선의 대표적인 충절 가문 출신으로 정조의 돈독한 신임을 받았던 인물이다. 정조는 윤행임 가문의 충절을 높이 평가하였으며, 윤행임의 학문적 잠재력을 인정하여 그를 근신으로 양성하였다. 윤행임은 정조의 관심과 지도를 받으며 관료로서의 자질을 갖추고 학문을 연마하였다. 윤행임은 자신의 가문과 학문을 인정했던 정조에게 충성을 다하였다. 정조가 세상을 떠난 후 윤행임은 정조의 유지를 실천하는 것을 정치적 목표로 삼았다. 자파 중심으로 정치 구도를 재편하려던 벽파에게 이러한 윤행임의 태도는 위험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벽파가 본격적으로 권력 장악에 나서면서 양측의 갈등은 증폭되었고 윤행임은 결국 정조의 유지를 빙자하여 권력을 농단한 역신으로 몰려 40세의 나이에 비참한 최후를 맞고 말았다. 윤행임을 제거했던 벽파 정권은 순조 초반에 무너졌지만 그의 관작은 쉽게 복구되지 못하였다. 복관 반대론자들은 윤행임이 벽파를 도와 일을 꾸민 자라고 지목하면서 복관을 강력히 반대하였다. 그로 인해 복관은 그가 세상을 떠난 지 26년이 지난 1835년(헌종 1)나서야 이루어질 수 있었다. 벽파로부터는 자파 세력을 위협하는 인물로 배척받아 목숨을 잃고 벽 파가 무너지자 이번에는 거꾸로 벽파에 동조한 인물이라는 비난을 받아야 했던 윤행임의 정치적 행보는 여전히 안개에 싸여 있다. 그의 학문적 성향 역시 해명되지 못한 부분이 적지 않다. 그는 기본적으로 호론을 지지하였지만 정책 추진 과정에서는 서얼 허통 주장처럼 낙론과 연결되는 부분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차후 새로운 자료의 발굴과 관련 연구의 진척에 따라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Yoon Haeng-im’s family was well known for being allegiant to the country and he gained King Jeongjo’s sincere trust. The King highly appreciated Yoon Haeng-im’s family for its royalty and also recognized his academic potential. Therefore the King trained Yoon Haeng-im to be his entourage. Under the guidance and concern of the King, Yoon Haeng-im devoted himself to his studies and became well qualified as a government official. Yoon Haeng-im was loyal to the King Jeongjo who recognized his family and academic ability. After the King’s death, his political goal was to realize the later king’s will. To the Byeokpa(벽파) faction, however, a group of politicians who tried to re-organized political structure centering on them, such political attitude of Yoon Haeng-im was threatening. As the Byeokpa faction started to take power, the conflict between this faction and Yoon Haeng-im’s party became amplified. And as a result of this power struggle, Yoon Haeng-im fell under suspicion of exercising authority in the name of the later king and was accused of treason. He was finally executed at the age of forty. Even though the Byeokpa faction, which purged Yoon Haeng-im from the government, was crumbled away in the early part of King Soonjo’s era, his reinstatement was far from realization. A group of people accused him of being an assistor of the Byeokpa faction and strongly opposed against his reinstatement. Thus, it was the first year of King Heonjong(1835), 26 years after his death, when he was finally reinstated. Yoon Haeng-im was ostracized by the Byeokpa faction for he was a threat to them. But when the Byeokpa faction was collapsed, he was ironically criticized for being a helper of the failed faction. For such reason, his political course is still remained indefinite and his academic views have not been completely elucidated. He basically supported the doctrine of hau, but his politics also had some resemblance with the doctrine of lak such as the claim of abrogation of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child of a concubine. These unsolved issues will be elucidated as a new historical material is continuously discovered and relevant researches continue. I hope there will be more studies on Yoon Haeng-im and they will broaden the understanding about the history of politics and thoughts of the 19th century.

      • KCI등재

        19세기 후반 申箕善의 현실 인식과 사상적 변화

        노대환 동국사학회 2012 동국사학 Vol.53 No.-

        동도서기론은 개방론과 척사론이 첨예하게 대립되던 1880년대 초반에 등장한 사상적 조류였다. 동도서기론을 처음으로 주장한 인물은 申箕善이다. 본고에서는 1890년대 이후 신기선의 행적을 보충하여 신기선의 생애 전반을 재검토하면서 그의 사고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신기선은 산림 문하에서 수업을 받다가 1880년대 초반 동도서기론자로 전신하였다. 1880년대 초반 신기선의 동도서기론은 보수적 유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논리로 제기된 것이었다. 신기선은 개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활동했지만 갑신정변에 연루되면서 삶에 큰 변화를 맞았다. 정변파와 친분이 깊었던 탓에 그는 유배에 처해졌으며 이를 계기로 점차 보수적인 면모를 띠게 되었다. 1880년대 후반 그의 사상적 면모는 ?儒學經緯?를 통해 확인되는데 1880년대 초반과는 달리 儒道의 가치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목도하면서 그의 보수적 색채는 더욱 짙어졌다. 그는 개혁이 자주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개혁 내용이 급진적이라는점 때문에 당시의 개혁에 비판적이었다. 이제 그의 관심은 급진적인 문명 개화론자들로부터 유도를 보위하는 데 있었다. 그로 인해 신기선은 독립협회로 대표되는 문명개화론 계열로부터 신랄한 비판을 받았다. 신기선은 1900년대 후반에는 新?舊學折衷論을 제시하였다. 그의 신?구학절충론은 신학으로부터 구학을 보호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신기선의 주장은 별다른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하였고 그 보수적 성격 때문에 신학 계열의 비판을 받았다. 대동학회 활동시 일본의 지원을 받은 탓에 만년에는 일본의 三忠奴가운데 한 사람으로 지목을 받기까지 하였다. 신기선은 한때 진보 계열에 속해 전통 유자들에게 비판을 받았지만 1890년대 중반 이후 문명개화 계열로부터 수구로 지목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신기선이 보여준 행보는 동도서기론의 시대적 추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

        1905~1910년 문명론(文明論)의 전개(展開)와 새로운 문명관(文明觀) 모색(摸索)

        盧大煥 ( Noh Daehwan ) 한국유교학회 201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9 No.-

        문명화를 조선이 추구해야 할 목표로 설정했던 지식층에 을사조약의 체결은 큰 충격이었다. 그간의 문명화 작업이 별다른 성과가 없는 것임이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문명 달성을 위한 시도를 멈출 수는 없었다. 약육강식의 경쟁이 가속화되는 시기에 문명에서 뒤처지는 것은 곧 멸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문명화 작업은 보다 조직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한국이 더 강해져야 한다고 본 자강론자들은 단체 결성을 통해 문명화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한 분위기를 타고 대한자강회를 비롯한 많은 학회들이 결성되었으며 이들 단체를 중심으로 문명 담론이 전개되었다. 『황성신문』이나 『대한매일신보』역시 많은 문명 관련 논설들을 게재하였다. 1900년대 후반 시기 문명론에는 두 가지 경향이 나타나고 있었다. 하나는 일제의 문명화 논리에 동조하여 일본의 지원을 용인하는 태도이다. 이러한 모습은 대한자강회에서도 일부 드러났고 대한자강회를 계승한 대한협회에서 본격화되었다. 다른 하나는 문명을 정신 문명과 물질 문명으로 구분한 후 서양 문명의 핵심을 물질 문명으로 설정하여 물질 문명을 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것을 주장하는 경향이다. 두 경향 모두 문명에 대한 과도한 집착으로 인해 나타난 것이었다. 한편에서는 이러한 문명화 경향에 문제를 제기하고 문명화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하는 움직임도 등장하였다. 그러한 움직임을 주도한 것은 일본 유학생들이었다. 이들은 新學家들의 이중적인 행태를 비판하며 물질 중심적 문명론에 문제를 제기하고 정신 문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들의 주장은 기존의 문명 개념을 반성하고 문명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한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국내에서도 신학가들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문명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舊學의 장점인 도덕을 문명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자리매김하려는 시도가 그것이다. 한국 사회는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줄기차게 문명화 작업을 추진하였다. 주로 부강과 동일시되었던 문명은 달성해야 할 분명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에 반해 추구하고 있는 문명화의 방향이 올바른 것인지에 대해서는 고민이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뒤늦게나마 문명화의 방향성을 놓고 진지한 고민이 이루어진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이었다. The intellectuals of Chosŏun, who set a goal of Chosŏn's civilization, sank into the deep shock of Eulsa Treaty as the treaty seemed to prove that the civilization works so far were fruitless. However, they could not stop their efforts for civilization in the country, believing that lagging behind in civilization would ultimately lead to total collapse in the accelerating competitions in the jungle-like world. The civilization works needed to be more organized and efficient. Claiming more strength for Korea, the Jagangron believers thought the civilization efforts should be promoted by forming new groups. Under such an atmosphere, many societies were formed and civilization discourse was developed vigorously. The Theory of Civilization in that period had two trends; one was to tolerate Japanese supports, agreeing with the logic of civilization presented by Japan, and the other was to take active interest in material civilization. Both the trends were the results of excessive obsession with civiliz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movement to raise questions with those trends of civilization and search for new directions in civilization. It was those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that led the movement. Criticizing the double acts of people who stydy mordern studies(Shinhakgas : 新學家), they raised questions with material-centric Theory of Civilization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piritual civilization. In Korea, there were criticisms about Shinhakgas and attempt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ivilization anew. Korean society continuously implemented civilization works since the Gabo Reforms(甲午改革) of 1894. Being judged to have the same value as wealth and power, civilization was understood to possess the clear values to attain. However, there were few attempts to think about whether the directions of civilization were right or not. Thus it was considerably meaningful that there were serious thoughts about the directionality of civilization even though they came rather late.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西學中國源流說'의 전개와 그 성격

        盧大煥(Roh Dae-Hwan) 역사학회 2003 역사학보 Vol.178 No.-

        The "Chinese Origin" theorem was originated in the end Ming when Seohak(西學) was actively transmitted to China. It insisted that Western science was actually the result of Chinese science that was passed on to the Western world. The theorem was systemized by the Chinese scholar Mei Wending(梅文鼎). Since it was adopted as a logic to receive the Western mechanical first by Seo Myong-Ung(徐命膺)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Chinese Origin" theorem played important roles in Chosun too until the end of 19th century, concerning the reception of Sohak. While it was used as a logic to receive Seohak in China, it had another role to work as a logic against Seohak in Chosun. Regardless this difference, however, the "Chinese Origin" theorem was basically adopted as a logic to receive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But on the whole, the theorem was a far-fetched opinion and had to receive lots of criticism in its beginning. Among the criticism, though, it did play a positive role to give one the chance to look back on one's own tradition before receiving Western science and thus to prepare the public for the foreignness of the foreign civilization. The theorem was usually used as a logic in favor of reception of Western civilization until the middle 19th century when Chosun opened its ports to world powers. Since then it started to lose its base in the country. One of the few traces left of it was an argument made by Kim Yun-Sik(金允植) saying that the knowledge of the previous king and the new Western knowledge were based on the same principle. It was only natural that the persuasive power of the "Chinese Origin" theorem grew weaker as more and more of Western science was understood in Chosun. The rate of its losing power was rather quick compared to the situation of China of the times where the theorem enjoyed its prosperity. The different trend of Chosun to that of China seems to have been related to the way theorists of combining the Eastern ways of morality and the Western mechanical spared little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ToGi(道器) and thus had little chance to realize the logical inconsistency of the theorem of combining the Eastern ways of morality and the Western mechanical techniques(東道西器論). As a result, the "Chinese Origin" theorem declined But it's influence wasn't lost completely.

      • KCI등재

        「병인양난녹」 속 1866년 양요(洋擾)의 기억

        노대환 ( Noh Dae Hw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7

        「병인양난녹」은 강화부에 살던 양반가의 여성 羅州 林氏가 1866년 당시 경험한 양요 사실을 기록한 것으로, 병인년 양요 때 가장 피해가 컸던 강화도 주민이 쓴 것으로 확인되는 유일한 자료다. 본고에서는 「병인양난녹」에 이양선 출현이 어떻게 기록되어 있고 그것은 역사적 사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또 프랑스군 점령 당시의 상황에 대해 어떻게 묘사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병인양난녹」은 병인양요 당시 강화도의 상황을 잘 보여준다. 임씨는 프랑스군이 강화도에서 벌였던 약탈과 여성에 대한 성폭행 행위를 고발하였다. 동시에 프랑스군 점령 하에서 벌여졌던 조선인들의 부역 행위도 지적하였다. 이를 통해 강화도 주민이 이중의 고통에 시달리고 있었음을 드러냈다. 임씨는 평온했던 강화도가 왜 이런 상황에 빠지게 되었는가 하는 문제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녀는 시종일관 무기력했던 조선군과 무책임한 지방관의 모습을 포착하였다. 거의 한달 간 프랑스군이 강화도를 점령하였던 것도 조선군에 문제가 있기 때문으로 보았다. 임씨의 시각이 폭이 넓거나 예리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병인양난녹」은 병인양요 당시 강화도의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여성의 몸으로 병인년의 양요를 돌아보고 여러 문제를 고민했던 것은 여성사의 측면에서도 주목된다. 본고가 양요의 실상을 확인하고, 「병인양난녹」라는 텍스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Byeonginyanglanrok」 is an essay written by Naju Imssi, a noblewoman who lived in Ganghwa Island, that she saw and heard in 1866. This is the only data that is confirmed to have been written by residents of Ganghwa Island, which was severely damaged by the invasion of Western powers in 1866. In this paper, we looked at how the emergence of Western forces was recorded in 「Byeonginyanglanrock」 and how it differed from historical facts and and how the situation on Ganghwado Island during the French occupation was described. 「Byeonginyanglanrok」 illustrates the situation on Ganghwado Island at the time of Byenginyangyo(丙寅洋擾). Naju Imssi accused the French military of looting and sexual assault on women on Ganghwa Island. At the same time, he pointed out the Koreans’ indecency under the French occupation. This showed that Ganghwa Island residents were suffering from double pain. NajuImssi wanted to find out why Ganghwado, which was peaceful, fell into this situation. She attributed the reason to the lethargic military and irresponsible local government. The French army occupied Ganghwa Island for almost a month because of problems with the Korean military. Although NajuImssi’s perspective is not wide or sharp, the 「Byeonginyanglanrock」 helps him understand the situation on Ganghwado Island at the time of the illness. The essay is both a historical material and a literary work. Lim’s record was made to heal the trauma of an invasion by Western powers Of course, the biggest remedy is to avoid being invaded by Western powers again. The fact that the body of a woman looked back on the yangyo of a sick man and thought about various problems is also drawing att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s history. We hope that this will help us to confirm the reality of the yangyo and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text 「Byeongyanlokl」.

      • KCI등재

        18세기 후반~19세기 조선 지식인의 베트남 인식

        노대환 조선시대사학회 2011 朝鮮時代史學報 Vol.58 No.-

        Although Vietnam belonged to the cultural sphere of Chinese characters and was part of the China-centric tributes-installations system just like Chosŏn, it felt like such a distant country to Chosŏn people. Some Chosŏn people had interest in Vietnam personally, but it was not easy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country since there was no direct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only route for Chosŏn people to get some information about Vietnam was China. However, the information from China was primarily arranged in the position of Qing Dynasty, which meant that Chosŏn had a difficult time obtaining objective information about Vietnam. One good example is that most of Chosŏn's intellectuals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Nguyễn Văn Huệ(阮文惠) coming into power. Thus they missed such important issues as Vietnam's strong independence against China and the causes of its political changes. Such a situation lasted for years. In the 1870s, the absence of information and confusion still prevailed as Vietnam was absorbed by Western powers even though it gave an impression that it well defended itself against the West ten years earlier. Once it was understood that Vietnam was in a crisis, an argument came out that connected its situation to the position that Chosŏn should take. Such an argument, however, could have some persuasive power only when there was accurate knowledge about the situations of Vietnam. The problem was Chosŏn had little accumulated knowledge about it. Chosŏn's full-scale and serious interest in Vietnam happened after a discourse titled ‘Tok Wŏllam mangguksa’(讀越南亡國史) was published in Hwangsŏng sinmun(皇城新聞) seven times in 1906 and the translated version of <Wŏllam mangguksa>(越南亡國史) was published by Hyeon Chae(玄采). Chosŏn's intellectuals solidified their determination of getting out of a crisis of collapse as a nation, reading <Wŏllam mangguksa>, only to follow the footsteps of Vietnam years later. 베트남은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과는 단 한 차례도 공식적인 교섭이 없던 국가였다. 공식적인 교섭은 없었지만 양국 모두 중국과 조공-책봉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중국에서 사신 간의 교류는 있었다. 李晬光이 1597년(선조 30) 鎭慰使로 북경에 갔다가 베트남 사신 馮克寬과 교류한 일은 잘 알려져 있다. 개인적인 접촉은 있었다고 해서 조선 지식인들 사이에 베트남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것은 아니다. 베트남에서 중요한 정변이 발생하면 잠시 관심을갖고 중국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정도였다. 베트남은 조선의 관심권 밖에 있었다고 할 수 있지만 조선에서 베트남에 대해 어떤 정보를 수집하고 베트남을 어떻게 인식하였는가는 반드시 고찰해야 할 문제이다. 다양한 국가에 대한 인식이 종합적으로 정리될 때 조선의 대외 인식 수준이 올바로 가늠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조선에서 베트남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후반 베트남에서 정변이 발생하면서부터였다. 조선 사신들은 청을 통해 관련 정보를 입수했는데 그러한 정보는 일차적으로 청의 입장에서 정리된 것이었기 때문에 조선으로서는 베트남의 정세를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청의 시각을 그대로 받아들인 결과 베트남이 중국에 보였던 강고한 주체 의식이나 정치적 변동을 초래한 원인과 같은 중요한 문제는 놓칠 수밖에 없었다. 19세기에 들어서는 그나마 베트남에 대한 관심은 약화되어 갔다. 1840년대에 들어 『해국도지』 등을 통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나 정보 자체가 정확한 것은 아니어서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키기도 하였다. 1870년대에 들어 베트남이 위기에 처한 것으로 파악되었지만 베트남이 어떤 곤란을 당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는 없었다. 베트남에 대한 본격적이고 진지한 관심은 1906년 『皇城新聞』에 7회에 걸쳐 「讀越南亡國史」라는 논설이 게재되고, 곧 이어 玄采에 의해 <월남망국사>번역본이 출간되면서부터 나타났다. 지식인들은 『월남망국사』를 읽으며 대한은 망국의 위기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결의를 다졌지만 몇 년 후 대한 역시 월남의 전철을 밟고 말았다.

      • KCI등재

        신촌(愼村) 황필수(黃泌秀)(1842~1914)의 사상적 행보

        노대환 ( Noh Dae-hw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7

        황필수는 19세기 후반에 주로 활동했던 학자이다. 그는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면서 자신의 방식으로 지식인으로서의 책무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20대 시절 황필수의 관심은 斥邪에 있었다. 그는 천주교의 확산을 막기 위해 『斥邪說』을 저술하여 천주교를 비판하였는데 『척사설』은 19세기 중반의 대표적인 척사서 가운데 하나로 손꼽힌다. 젊은 시절 황필수는 전통적인 유학자의 길을 걸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동도서기적인 사고를 지니게 되었다. 50대 이후에는 다양한 유학서의 출판 작업에 관여하는 한편 학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면서 新舊學折衷을 주창하였다. 구학을 중심으로 하면서 신학을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입장이었다. 19세기 후반 당시에 황필수처럼 정통 유학에서 출발하여 동도서기론을 거쳐 신구학절충론으로 인식을 전환해갔던 지식인들이 당시에 적지 않았다. 만년에 교유하였던 陸用鼎, 그와 교분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金允植, 안면은 없었지만 그를 높이 평가했던 申箕善이 모두 그러한 경우였다. 황필수를 비롯한 이들 지식들의 모습을 통해 19세기 후반 사상계의 한 흐름을 상정해 볼 수 있다. 황필수의 생애를 자세하게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여 정치하게 구성할 수 없는 것이 아쉽지만 황필수는 19세기 후반 사상계의 동향을 살피는 데 도움을 준다. 앞으로 좀 더 다양한 인물들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 19세기 후반 사상사의 이해 기반이 확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Hwang Pil Su is a scholar from the late 19<sup>th</sup> century Joseon Korea. He lived a time of great tumult and he tried to carry out his responsibility as an intellectual of the society in his own way. In his 20s, Hwang concerned mainly about the expulsion of Catholicism. He wrote Cheoksaseol (斥邪說, An Account of the Expulsion of Wickedness) to criticize Catholicism and prevent its popularization. His writing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representative books with relevant themes at the time. He lived his early years as a conventional Confucian scholar, but in the later part of his life, he adopted Western ideas on the basis of Eastern thought. Since his 50s, he published various Confucian books while actively advocated the needs of compromising the old and new studies. He argued that the Western learning could be transplanted into soil of Eastern study. There were numbers of intellectuals who shared Hwang’s idea at the time. His friend in his latter years Yuk Yong Jeong, Kim Yun Sik who is assumed to be his acquaintance, and Sin Gi Seon who thought highly of Hwang are such scholars. By examining these intellects, one could elucidate the trend of the late 19<sup>th</sup> century realm of ideas. Even though the insufficient materials about Hwang prevent ones from gaining profound understandings of his life, it is still possible to say that he is a figure with an important historical significance. Future studies of various intellects from his time would widen our perspective of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late 19<sup>th</sup> century.

      • KCI등재

        18세기 후반~19세기 중반 노론 척사론의 전개

        노대환 조선시대사학회 2008 朝鮮時代史學報 Vol.46 No.-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Cheoksaron was dominated by the Giho Namins, but there were criticisms on Christianity among the Noron members. The Cheoksaron of Noron was developed by the Sanrim and Bukhak faction, both of which were critical of Christianity. While the latter maintained an approach of education in terms of measures against the religion, the former insisted on thorough punishments. Entering the 19th century, the Noron Byeokpa seized the power, took in full-scale suppression operations against Christians, and expelled the Namins. As a result, the Noron Sanrim faction of Noron led the Cheoksaron instead of the Namins. The Sanrim faction was afraid that Christian Namins might invade Chosun in combination with the western powers and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ideological causes of the Namins belief in Christianity. It was under the goal that they ferociously highlighted the connections between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and Christianity. The Sanrim faction was also critical of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being concerned with the Bukhakron members of Noron. Entering the latter half of the 1830s, the Cheoksaron of Noron took another turn as Lee Hang-ro and Lee Jeong-gwan wrote books about Cheoksa. While Lee Hang-ro inherited and reinforced the positions of the Sanrim faction, Lee Jeong-gwan suggested an eclectic Cheoksaron between the Sanrim and Bukhakron faction. Their books triggered the activation of Cheoksa discussions among the Norons. In the middle of the activation of Noron's Cheoksaron, Kim Pyeong-muk and Lee Hang-ro reinforced the positions of the Sanrim faction and Yun Jong-ui and Park Gyu-su took different positions from the Sanrim faction.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them. The focal point of controversy was how to evaluate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demonstrated the reinforced aspects of Cheoksaron and predicted the differentiation of Wuijeongcheoksaron and Dongdoseogiron. 18세기 후반의 척사론은 기호 남인계가 주도하였지만 노론 내부에서도 천주교 비판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노론의 척사론은 크게 산림 계열과 북학론 계열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산림 계열이나 북학론 계열 모두 천주교에 비판적이었지만 대책에 대해서는 북학론자가 교화주의적 태도를 견지하였던 데 반해 산림계는 철저한 처벌을 주장하여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19세기에 들어 노론 벽파가 집권하여 천주교도에 대해 대대적인 탄압과 함께 남인을 축출하면서 남인을 대신하여 노론 산림계가 척사론을 주도하게 되었다. 한편 북학론자들의 경우는 서양 과학기술의 수용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척사 문제에는 그리 큰 비중을 두지 않았다. 이 시기 산림계의 척사론은 남인을 주 공격 대상으로 삼고 있었던 점에 특징이 있다. 천주교도 남인이 서양 세력과 결탁하여 조선을 침입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느꼈던 산림계는 남인이 천주교를 신봉하게 된 사상적 원인을 탐색하는 데 집중하였다. 양명학과 천주교의 관련성에 대한 집중적인 부각은 그러한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산림계는 서양 과학기술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는데 이는 노론 내부 북학론자들을 의식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노론의 척사론은 1830년대 후반에 들어 이항로와 이정관이 각각 「論洋敎之禍」와 「闢邪辨證」을 저술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이항로가 산림계의 입장을 계승하여 심화시켰던 반면 이정관은 산림계와 북학론계의 입장을 절충한 척사론을 제기하였다. 이항로와 이정관의 척사서 저술을 계기로 노론 내부의 척사 논의는 크게 활성화되었다. 김평묵은 「벽사변증」을 검토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붙인 「闢邪辨證記疑」를 저술하였고, 이정관과 친밀했던 윤종의는 『闢衛新編』을 펴냈다. 한편 윤종의의 벗 박규수는 「闢衛新編評語」를 통해 척사의 논리를 한층 심화시켰으며 박규수의 친우 남병철이 자신의 주장을 펴고, 또 이항로가 나서서 정통 성리학계의 입장을 강조하는 등 연속적인 움직임이 이어졌다. 노론의 척사론이 활성화되는 가운데 김평묵과 이항로가 산림계의 입장을 강화한 반면 윤종의와 박규수 등은 산림계와는 다른 입장을 취하는 등 인식의 차이가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었다. 논란의 초점은 주로 서양 과학기술에 대한 평가 문제였는데 이는 척사론이 심화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었고 위정척사론과 동도서기론의 분화를 예고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명물학(名物學)의 전개와 성격

        노대환 ( Noh Dae-hw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0 No.31

        명물학의 유행은 조선 후기 문화계의 특기할 만한 현상의 하나이다. 명물학은 명물도수학 혹은 명물고증학 등으로 불리며 18세기 후반에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그간 별다른 관심이 없었던 외부 사물의 정보를 수집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취합한 정보를 정리한 저술이 나타났다. 명물학 자체가 反성리학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명물학은 성리학적인 토대를 흔들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명물학의 그러한 위험성을 간파하였던 정조는 학술 정책을 통해 명물학의 성격을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19세기에 들어서는 세도가들이 경세와는 거리가 먼 명물고증학에 심취한 가운데 일부 지식인들은 정조의 정책을 계승하여 명물고증학의 확산에 대응하였다. 명물학에 관심을 갖고 본격적으로 연구하려는 움직임과 그것을 견제하려는 시도가 교차하면서 명물학은 전개되었다. 명물학의 유행은 중요한 의미가 있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이와 관련한 연구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명물학은 조선 후기의 사상사 내지 문화사를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검토해보아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8~19세기에 명물학이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이 조선 후기 사상사 내지 문화사를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appearance of Myeongmulhak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henomenons in the cultural community of the late Joseon Korea. Myeongmulhak, also known as Myeongmuldosuhak or Myeongmulgojeunghak, became a significant object of an academic interest in the late 18th century. At that time, scholars started to give more attention on the external affairs which had always been neglected by then, and tried to collect relevant information. Knowledge gathered in this way was arranged in various publications. The nature of Myeongmulhak is not anti-Neo Confucianism, but the new trend of science was recognized as a fundamental threat to the dominant philosophy of the time. King Jeongjo of Joseon Korea looked at the possible danger and, therefore he tried to change the nature of Myeongmulhak by an academic policy. In 19th century, while a group of renowned scholars were fascinated by Myeongmulgojeunghak which was not relevant to governing philosophy at all, some others supported and inherited the King’s policy and tried to stop the wide spread of the new scholarship. Thus it can be said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trends in the surroundings of the development of Myeongmulhak; the one actively studying on Myeongmulhak, and the other restraining it. This new academic trend of Myeongmulhak has an important significant, but it has not been profoundly discussed. To properly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late Joseon Korea and culture and ideas of the modern Korea, it is essential to gain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Myeongmulhak.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historical surroundings of the development of Myeongmulhak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Profoundly defining the concept of Myeongmulhak itself is an important task to conduct, but this study does not deal with that matter too deeply. It will just use the term Myeongmulhak as an academic trend concerning the external affairs of the world. This study will hopefully help to shed a brighter light on the accounts of cultural or ideological histories of the late Joseon Korea.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