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젠더 규범의 균열과 동성애 재현의 정치성— 추먀오진(邱妙津)의 《악어노트(鰐魚手記)》를 중심으로
남희정 한국중국소설학회 2022 中國小說論叢 Vol.68 No.-
타이완 퀴어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인 추먀오진(邱妙津)의 《악어노트(鰐魚手記)》(1994)는 성소수자로서 맞닥뜨려야 했던 내적 갈등을 진실하게 풀어놓음으로써 독자와 평단의 호응을 동시에 이끌어 냈으며, 발표와 함께 동성애 하위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타이완이 계엄해제 된 이후 1990년대 초 타이완 문단은 젠더 이슈가 급부상했으며, 특히 동성애를 주제로 한 문학 작품들이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였다. 기존의 억압적이고 경직되었던 문화 환경 속에서는 다루기 힘들었던 욕망과 금기들이 대거 문학으로 흘러들어왔으며, 동성애 문제는 그 가운데에서도 매우 급진적인 주제 중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앞서 바이셴융(白先勇)이 남성 동성애 서사로 당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면, 뒤이어 등장한 추먀오진은 그간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여성 동성애 서사를 다룸으로써 타이완 퀴어문학과 그에 관한 논의를 확장시켰다. 소설은 주인공 ‘나’를 중심으로 한 수기형태를 빌어 동성애를 둘러싼 현실사회의 문제를 다루는 동시에 ‘악어’를 중심으로 한 에피소드를 통해 이를 알레고리적으로 구조화한다. 먼저 ‘나’가 겪는 일련의 경험과 심리변화가 주된 서사를 이루는데, 이때 동성애 정체성은 개인적인 범주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동성애를 둘러싼 지배적 문화구조와도 맞닿아 있다. 이들이 겪는 깊은 고통과 방황 그리고 욕망의 세계는 이성애 중심주의에서 배제된 이들의 삶이 결코 순탄하지 않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악어’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일련의 에피소드들은 문화적 생산기제들이 특정 젠더 정체성을 어떻게 배제하고 주변화시키는지를 알레고리적으로 표현해낸다. 소설은 동성애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소수성을 우리가 어떠한 방식으로 사유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져주고 있다.
조현병 관련 주요 일간지 기사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남희정,유승형 대한조현병학회 2020 대한조현병학회지 Vol.23 No.2
OBJECTIV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current media trends on schizophrenia using text-mining methods. METHODS First, web-crawling techniques extracted text data from 575 news articles in10 major newspapers between 2018 and 2019, which were selected by searching “schizophrenia” in the Naver News. We had developed document-term matrix (DTM) and/or term-document matrix (TDM) through pre-processing techniques. Through the use of DTM and TDM, frequency analysis,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keywords such as “police,” “mental illness,” “admission,” “patient,” “crime,” “apartment,” “lethal weapon,” “treatment,” “Jinju,” and “residents” were frequently mentioned in news articles on schizophrenia. Within the article text, many of these keyword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term “schizophrenia” and were also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in the co-occurrence network.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model presented 10 topics comprising a combination of keywords: “police-Jinju,” “hospital-admission,” “research-finding,” “care-center,” “schizophrenia-symptom,” “society-issue,” “family-mind,” “woman-school,” and “disabled-facilit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highlight that in recent years, the media has been reporting violenc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reby raising an important issue of hospitalization and community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남희정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2 언어사실과 관점 Vol.55 No.-
This paper investigates how former President Trump and current President Bidenare represented through the prism of the ‘us’ and ‘them’ construction byanalyzing the Democratic Party’s official commentaries. I also draw uponKenneth Burke' Dramatism Theory in order to examine the way in which theDemocratic Party casts former President Trump as a villain and President Bidenas a hero. The analysis shows four strategies employed to realize positive-Bidenrepresentation and negative-Trump representation. This paper serves as politicaldiscourse analysis and proposes that political discourse has two characteristics. Lastly,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at a binary strategy of ‘us’ and ‘them’ inpolitical discourse may not be efficient as intended as the Democratic Party’sevaluation may come across partial and one-sided to its readers.
일부 대학생의 상태-특성 불안 정도와 식사 장애 위험 정도의 관계
남희정,김영순 한국식품영양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학회지 Vol.18 No.3
This quantitative study was investig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verity of state-trait anxiety and disordered eating patterns in some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Total 347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88 male and 259 female) among three universities. The assessment of eating disorder was conducted by Eating Attitudes Test (EAT-26), a score of >or=20 identified individuals likely to have an eating disorder, including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Scores of healthy dietary behaviors were obtained by self-assessment instrument on healthy diet scale(20-item questionnaire), and severity of state-trait anxiety was calculated b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Total 40- item questionnaire). In groups for each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there were divided between 50 percentile point of cumulatived scores of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in all subjects.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overal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etary patterns(anorexia nervosa and healthy dietary behaviors) and severity of state-trait anxiety in all sex. Our results indicated that severity of state-trait anxiety may marked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on dimensions of eating disorder prevention.
첸중수(錢鍾書) 단편소설에 나타난웃음의 역설― 단편소설집 《사람⋅짐승⋅귀신(人⋅獸⋅鬼)》을 중심으로
남희정 중국어문논역학회 2019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4
Qian Zhongshu, who is well-known as a scholar and writer, has built a wide range of thought systems based on his vast knowledge of humanities. It is faithfully reflected in the texts of Qian Zhongshu’s works - proses and novels - as well as his academic works. As researches on Qian Zhongshu become active, his texts have also been reviewed and examined in various aspects. When approached from a literary perspective, Qian Zhongshu has often been highly regarded as a master of satire and humor. This is a prominent feature in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his novel “Fortress Besieged.” But, while “Fortress Besieged” has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Qian Zhongshu researchers, there are not many studies of his short story book, “Humans, Beasts, and Ghosts.” It is true that his short novels do not reach the “Fortress Besieged” in terms of maturity and technique, but criticism on modern civilization and the way of operating comic elements has already been tried from his short stories. Those short stories are based on Qian Zhongshu’s own cynical views, which are derived from his subjectivity and critical perception as a ‘marginal man’ that are complexly formed over several levels. In this respect, the comic elements that he utilized in his novels can be regarded as a critical strategies to overthrow the authoritative and formal values or order system by ridicule. The order and values of civilization disguised as seriousness are revealed in his comic production. 첸중수는 익히 알려져 있다시피 학자와 작가로서 방대한 인문지식을 바탕으로 폭넓은 사유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는 첸중수의 학술저작뿐만 아니라 산문과 소설 등의 텍스트에 충실하게 반영되어 있다. 첸중수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그가 남긴 텍스트 역시 다양한 측면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문학적인 접근에 있어서 첸중수는 흔히 풍자, 유머의 대가로 많이 부각되어 왔다. 이는 주로 장편소설 《포위된 성》에 대한 평가 및 분석에서 눈에 띄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포위된 성》이 첸중수 연구자들 사이에서 크게 주목받은 반면 그의 단편소설집 《사람⋅짐승⋅귀신》에 대한 연구는 그간 많지 않았다. 물론 그의 단편소설은 완성도나 기교의 측면에서 《포위된 성》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사실이나, 현대문명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희극적 요소를 운용하는 방식은 이미 단편소설에서부터 시도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의 단편소설들은 첸중수 특유의 냉소적 시선이 주된 기조를 이루는데, 이는 여러 층위를 걸쳐 복잡하게 형성된 그의 경계인으로서의 주체성과 비판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그가 소설에서 운용하고 있는 희극적 요소 역시 권위적이고 공식적인 가치관이나 질서체계를 비웃음으로 전복시키려는 하나의 비판적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진지함으로 가장된 문명의 질서와 가치관은 그의 희극적 연출 속에서 그 이면을 드러내게 되는 것이다.
일부 수원지역 임신부들의 임신적 비만도에 따른 임신후반기 식행동 분석
남희정,임영숙,황의수,박혜련,정계옥 명지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1 자연과학논문집 Vol.20 No.-
이 연구는 임신전 비만도와 임신후반기의 식행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비만 임산부의 올바른 영양관리를 위한 교육자료를 수집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임신전 비만도는 임신전의 체중과 키를 이용한 BMI값으로 결정하였고 입덧이 지난 23-26주 사이에 직접면접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일식이섭취를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하여 비만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전체 조사대상 임신부들은 일일 평균 영양소 섭취량을 보면 인(mg) ㆍ 비타민A(RE) ㆍ 비타민 C(mg)는 권장량의 100% 이상 섭취하였으나 열량을 비롯하여 단백질, 칼슘, 철분,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은 권장량보다 훨씬 적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3대 영양소의 섭취 열량비율은 분석한 결과 수척군은 한국인 영양권장량에서 권장하는 3대 영양소 열량비율을 보였으나 비만군은 지질에서 얻는 열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적으로 당질 섭취가 적었다. 비만군이 수척군과 정상군보다 육류 섭취시 지방을 제거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식사속도는 비만할수록 빠른 경향과 결식율도 높았다. 또한 비만군에서 신생아 출생체중도 유의하게 높았으나 비만할수록 임신기간 중 체중증가량은 유의하게 적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콜레스테롤과 섬유소, 비타민 A 섭취량도 비만군에서 유의적으로 적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pregnancy BMI related with dietary behavior. It's propose is to find solution of dietary methods to improve the obesity of pregnanct women. All the subjects were 78 cases in the pregnant had not any diseases and were 20∼40 years. The survey method was investiga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24 hour recall method used with the Food Model. 24 hour recall method was investigated of only one day of 23-26 weeks the first visited after decreased in hyperemesis because the intake of meals is to normal in post-pregnancy. 24 hour recall data were analyzed to using the Can-Pro software. Height of pregnant women were measured in 23-26 weeks and weight of them were measured at visited in the hospital. BMI (Body Mass Index) was calculated to weight of pre-pregnancy. Dietary habits and attitudes were included overeating, Eating speed, snack, intake of animal fats, intake of carbonated beverages, preference of cooking methods, preference of sugar foods, preference of sodium foods, preference of spice foods and preference of fatty foods. Women history was included the number of total pregnancy. The questionnaire of physical and psychic stress were investigated using national health survey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As a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It was analyzed to BMI of pre-pregnancy related with intake of nutrients. There were under weight group correctly intake of calorie ratios of the three macro nutrients in Recommen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 but over weight group were the highest intake of calorie ratios of fat than other groups. Also they tend to remove animal fat than others were. Eating speed was the fastest in over weight groups, besides neonatal weights increased significantly in over weight groups. But weight gains were the lowest in over weight groups. In all the subjects, intake ratios of phosporus (mg), vitamin A (RE), vitamin C (mg) was above a hundred percent of the recommend allowances, but calorie, protein, calcium, iron, vitamin B1, vitamin B2, and niacin was very below of the recommend daily allowance.
옌거링(嚴歌苓) 소설 《죄수 루옌스(陸犯焉識)》에 나타난 실존의식 연구
남희정 한국중국소설학회 2021 中國小說論叢 Vol.64 No.-
국내에서는 장이머우(張藝謀) 감독의 영화 <5일의 마중(归来, Coming Home)>으로 더욱 알려진 옌거링의 소설 《죄수 루옌스》는 20세기 중국의 현대사를 배경으로 주인공 루옌스의 굴곡진 인생사를 다루고 있다. 엘리트 지식인인 루옌스가 겪어온 인생의 각 단계는 역사 속 개인의 생활 경험과 맞닿아 있다. 때문에 소설은 지식인 서사, 가족 서사, 성장소설, 수용소 문학 등 다양한 범주에서 다루어지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소설을 크게 관통하고 있는 일관된 주제의식은 인간의 실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루옌스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역사 속에서 한 개인의 선택과 그 선택에 따른 삶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루옌스라는 인물이 어떻게 자신의 존재 의미를 찾아가는지 그 과정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의 역사 소재, 구체적으로는 문혁 소재 작품들이 역사를 다루는 방식과 달리, 《죄수 루옌스》는 특정 역사적, 정치적 사건에 대한 직접적인 폭로와 호소가 아닌 개인의 일상과 내적 체험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 이는 집단적 기억과 서사에 가려졌던 개인의 기억을 불러오는 일인 동시에, 역사 속에서 ‘나’를 새롭게 발견하는 일에 다름 아니다. 《죄수 루옌스》가 감옥에서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었을 때, 소설의 전체 서사는 루옌스가 진정한 자기로 존재하기 위한 과정으로 집약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