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이 남·여 중학생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정민,성현란,권선영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7 No.3

        본 연구에서 남․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이 자녀의 내재화․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의 남녀 중학생 463명의 자료에 대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남․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내재화․외현화 문제 행동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애정적 양육에 따른 내재화․외현화 문제 행동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남아의 신체증상과 비행, 여아의 우울/불안에 대해서 부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 비애정적 양육 시에는 심리적 통제 집단이 심리적 비통제 집단보다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애정적 양육 시에서는 심리적 통제 집단과 심리적 비통제 집단 간에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모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전혀 유의하지 않았다. 애정적 양육은 지각된 부의 심리적 통제가 가지는 남아의 신체증상과 비행, 여아의 우울/불안에 대한 부정적 효과를 완화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ol and affective parenting on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in junior midddle schoolers. The subjects were 463 boys and girls in junior middle school in Deagu and Gyeongbuk area. Two way analysis of variance by psychological control and affective parenting was used for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psychological control had negative effect on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but the effect of affective parenting was not significant on both behaviors.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y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affective parenting on boy's physical symptom and delinquency and girl's depression/anxiety. In low affective parenting condition, high psychological control has negative effect on boy's physical symptom and delinquency and girl's depression/anxiety. However, In high affective parenting condition, negative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ol was released. Moreover there was not interaction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ol and affective parenting on any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 Improved Gas and Water Barrier Properties of Poly(vinyl alcohol)-based Composite Films with Alkylated Graphene Oxides and Crosslinkable Nanocelluloses

        남정민,곽효원,진형준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1

        Poly(vinyl alcohol) (PVA) is a representative hydrophilic synthetic polymer and has an excellent gas barrier property as it can form a dense structure by strong inter-intramolecular hydrogen bonding. However, the low moisture barrier properties exhibited by abundant hydroxyl groups have limited the application of PVA as a packaging material. In this study, we sought to develop a PVA-based coating solution with improved hydrophobicity using a combination of hydrophobic and cross-linkable nanofillers. The exfoliated graphene was modified to give hydrophobicity by making alkylated graphene oxide (AGO), and dialdehyde cellulose nanocrystals (DCNCs) were prepared through partial oxidation of cellulose nanocrystals to induce crosslinking reaction with PVA. As a result, DCNCs not only can increase the dispersibility of AGO, but also form covalent bonds with PVA to maximize the moisture barrier ability of the PVA/AGO/DCNCs coating layer.

      • Graphene and Cellulose Nanocrystal-Incorporated Poly(vinyl alcohol) Composite Films for Improving Barrier Properties

        남정민,윤주희,진형준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2

        Polyvinyl alcohol (PVA) has an excellent gas barrier property because it can form a dense structure by strong intermolecular hydrogen bonding. However, it has a poor moisture barrier property due to its abundant hydroxyl groups on its side of backbone. In this study, alkylated graphene oxide (AGO) as a hydrophobic filler and dialdehyde cellulose nanocrystal (DCNC) as a cross-linkable nanofiller were incorporated to lower the solubility in water of PVA. DCNC was prepared through partial oxidation of cellulose nanocrystals. The solution of the PVA/AGO/DCNC was bar-coated on the surfac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solution was confirmed by Turbiscan analysis. The composite barrier film reduced oxygen transmission rate by 90% and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by 15% compared to PVA barrier film. The crosslinking of PVA composite films with DCNC was also characterized through FTIR, TGA, and UV-vis spectroscopy.

      • KCI등재
      • 알도 반 아이크의 사이영역 개념을 통한 1인 주거단지의 Public&Private영역 조절

        남정민,이예원 대한건축학회 2016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6 No.2

        전통적인 가정이 해체되고 인구구조에 변화가 생기면서 자연스럽게 1인 가구가 증가하였다. 해방촌은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는 대표적인 동네이다. 서울 내에서 비교적 싼 집세, 중심가에 위치한다는 이유로 청년들과 외국인들이 몰려들기 시작한 것이다. 부분이라는 개인과, 주거단지라는 전체" 얼핏 보면 대립되어 보이는 개인과 전체를, 알도 반 아이크의 "사이 영역" 개념을 통해 공존시키며 새로운 주거단지의 모습을 제안하였다. 사이 영역을 통해 공공의 영역과 사적인 영역이 서로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부분과 전체가 동일시 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이웃과 단절된 주거공간에 다시 활기를 불어넣고자 한다. Today, the number of single-housing-family is increased because traditional family have been dissolved and population have been changed. "HaeBang-Chon" is the most famous town where the number of single-housing-family is increasing. Young People and foreigners gather to the town because the town is located center of the Seoul and has cheap monthly rent. If first hearing "Personal as one people and Whole as housing", it seems they go against each other. But I suggest new way of housing with co-existing Aldo Van Eyck"s "in-between space" concept. Through this space, the boundary of public and private area getblurred gradually and they became similar things. This suggestion would re-activate housing community that isolated each other.

      • KCI등재

        주요 국가의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 및 효과 연구: 2016년 글로벌 기업가정신 지수의 비교

        남정민,이환수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6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start-up foundations by country in order to find ways to improve the domestic entrepreneurial environment and to promote the recognition of desirable entrepreneurship practices. It also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will, and the level of opportunity-based entrepreneurships, by using data from the 2016 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eport (GETR). First, the results show the urgent need for th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In the GETR category of 'experi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Korea was ranked very low (19th place), among the 20 countries. In the 'college' and 'lifelo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tegories, it procured a mid-level ranking (15th). While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all ages is being promoted global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middle-aged individuals in Korea is relatively weak. This implies that th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lifelong education and education for employees and retirees is required. Second, the individual'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Korea was 3.8 points, implying a mid-level ranking (15th), and it ranked the lowest in terms of opportunity-based entrepreneurship (20th). In comparison to China (4.55) and the United States (4.01),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Koreans was found to be low. The level of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was also found to be very low, compared to China (4.35), Japan (4.04) and the United States (4.59). In general, the proportion of the level in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increases from the factor-driven and efficiency-driven, to the innovation-driven type. In Korea, the percentage of entrepreneurial ventures centered around involuntary entrepreneurship and small businesses is high. It is also interpreted that opportunity-based entrepreneurships are low in number because of this high proportion of involuntary start-up and small businesses. Las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ll types (factor-driven, efficiency-driven, and innovation-driven) was exceptionally high. It has been confirmed that exposure to all entrepreneurship education (elementary, junior high, university, and lifelong education) in innovation-driven countries, greatly increase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 case of Korea, which is an innovation-driven country, qualitative improvement ba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expected to be a major driving force for individuals’ entrepreneurial intention to obtain a mid-level ranking (15th). 본 연구는 국내 창업 환경 개선 및 바람직한 창업 인식 조성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016 글로벌 기업가정신 트렌드 보고서(GETR)의 데이터(20개국 40,354명)를 활용하여 주요 국가의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 및 국가별(유형별) 창업 실태, 그리고 기업가정신과 창업 의지 및 기회형 창업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먼저 한국은 기업가정신교육의 확대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초중고 기업가정신교육 경험’은 20개국 중 최하위수준(19위)이었으며, ‘대학’ 및 ‘평생교육’은 중위권(15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기업가정신교육은 연령대를 불문하고 활성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중고령자에 대한 기업가정신교육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수준이었다. 이는 향후 평생교육 차원의 교육 확대가 요구되며, 재직자 및 은퇴예정자 대상 기업가정신 교육 개발 및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로, 한국인 개인의 창업의지는 3.8점으로 중하위권(15위)이었고, 기회형 창업수준은 최하위(20위)였다. 중국(4.55) 및 미국(4.01)과 비교할 때 한국인의 개인 창업의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회형 창업 수준 또한 한국은 3.43점으로 중국(4.35), 일본(4.04), 미국(4.59)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요소주도형→효율주도형→혁신주도형으로 전환될수록 기회형 창업의 비중은 높아지는데, 한국의 경우 비자발적 창업 및 소상공 중심의 창업 비중이 높아 기회형 창업 수준이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요소주도형, 효율주도형, 혁신주도형 모든 유형에서 기업가정신교육 참여에 따른 창업의지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혁신주도형일수록 모든 기업가정신 교육(초중고, 대학, 평생교육) 참여여부에 따라 신규창업의지는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혁신주도형인 한국의 경우 기업가정신교육의 양적 확대를 기반으로 질적 제고를 이룬다면, 지금의 중하위권(15위)에 머문 국민의 창업의지를 상승시킬 주요한 원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고용조정과 종업원 이직에 관한 종단연구 : 인적자원패널조사의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남정민,이병훈 한국인사관리학회 201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인적자본기업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기업체들에서 2004년~2008년의 기간 동안 수행한 고용조정과 교육훈련이 종업원들의 이직률 및 이직의도 추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에 의거하여 종단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1차(2005년)-2차(2007년)-3차(2009년)의 패널조사에 연속적으로 참여한 252개 기업체(제조업 169개, 서비스업 83개)이다. 주요 분석결과로는, (1) 2002~2004년의 기간에 취해진 고용조정조치가 최초 측정년도(2004년)의 이직률 및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2) 4년의 경과기간에도 고용조정의 부정적인 영향은 지속되었고, (3) 2002~2004년 기간의 고용조정 이후 추가적인 고용조정(2006년)이 취해지는 경우 종업원들의 이직의도를 더욱 상승시키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4) 교육훈련 강화(2006년)가 이직의도를 완화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rawing upon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HCCP) data, this study analyzes a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to examine how corporate's downsizing action influences surviving employees’ turnover rate and turnover intention. 252 companies, which participated in a series of panel survey(2005, 2007, 2009), were selected for the sample of our analysis. This study shows that downsizing action undertaken in the years of 2002~2004 had negative effect over both rate and intention of employee turnover at the time of 2004, and that even after four years its negative effect has lasted. Our study reveals that the additional downsizing action taken in 2006 strengthens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significantly, whereas corporate HRD investment exerts a positive impact on the restoration of employee-manag***ement psychological contract relations.

      • KCI등재

        대학 창업지원제도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IPA분석: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남정민,유현경,김윤희,강은정,이현석,장경화,김수진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start-up support system focusing on D university students to grasp the perception of the start-up support system provided the university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who are real users. Through this, a plan for qualitative growth and advancement of the university start-up system was derived using the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importance of all elements of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and start-up support system i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which means that the start-up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currently implemented by universitie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but do not play a big role in terms of performance for students. In addition, the highest priority factors for improvement in the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were funding and investment support, start-up space and facilities support, management advisory, patent and intellectual property support, and entrepreneurship field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objective data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universities should focus on and establish a start-up support system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to build and operate a start-up support system that reflects the needs of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실수요자인 학생들의 입장에서 대학에서 제공하는 창업지원제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D대학 학생을 중심으로 대학 창업지원제도의 중요도 및 성취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대학 창업지원제도의 질적인 성장과 고도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의 모든 요소에 대하여 중요도가 성취도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현재 대학에서 실행하고 있는 창업 교육 및 지원프로그램이 중요하다고 인지되고 있으나, 수요자(학생)에게 성취도 측면에서 크게 작용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요도-성취도 매트릭스에서 가장 개선의 우선순위가 높은 요인은 「자금 및 투자지원」, 「창업 공간 및 시설지원」, 「경영자문」, 「특허 및 지식재산 지원」, 「창업현장실습」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이 집중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요소를 파악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창업지원제도를 수립하여 공급자 중심에서 벗어나 학생(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시스템을 구축·운영하는데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