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cent advances in pharmacological research on the manage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남윤진,민영실,손의동 대한약학회 2018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41 No.10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a common gastrointestinal (GI) disorder, is associated with various factors, including lifestyle, infection, stress, intestinal flora, and related diseases. The pharmacotherapeutic stimulation of receptors and downstream signaling pathways is effective in reducing IBS symptoms; however, it is still associated with adverse effects. Various receptors related to GI motility and visceral hypersensitivity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the benefit/risk ratio of IBS treatments. This review discusses recent pharmacological advances in IBS management. Several receptors related to GI motility and abdominal pain are investigated in various angles. 5-Hydroxytryptamine (5-HT) is an important neurotransmitter that activates the colonic mucosal 5-HT4 receptor without causing severe cardiovascular adverse effects. The clinical potential of ramosetron for diarrhea-predominant IBS has been suggested because of a lower risk of ischemic colitis than conventional 5-HT3 receptor antagonists. Toll-like receptors (TLRs), especially TLR2 and TLR4,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t-infection symptoms and lipopolysaccharide-mediated regulation of GI motility. Histamine is a well-known nitrogenous compound that regulates inflammatory responses and visceral hypersensitivity. Histamine 1 receptor-mediated sensitization of the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is associated with IBS. Pharmacological approaches based on these signaling pathways could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novel IBS treatments.

      • 국어 조사의 문법적 위치

        남윤진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1996 울산어문논집 Vol.11 No.-

        지금까지 문법 기술의 한 단위로서 조사가 가지는 이중성 처리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존의 논의에서 그것이 어떻게 다루어졌는지, 다른 해결방안은 없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는 음운론적 자립성이 없이 선행어와 더불어 음운론적 단어를 이루기 때문에 접사로 정의될 수 있다는 이중성을 보인다. (2) 형태소 즉 접사의 특성과 단어의 특성을 모두 가지는 조사의 정체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하나는 전통적으로 ‘형태소<단어<구>문장’으로 정의된 언어 단위의 위계구조를 수용하되 단어의 개념을 수정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 위계구조를 수정함으로써 조사의 위치를 새롭게 정의하는 것이다. (3) 단어 개념의 수정을 통해 조사의 성격을 밝히려는 시도의 하나로 시정곤(1994)를 들 수 있다. 여기서는 단어형성과 접사의 개념을 통사부까지 확대하여 조사의 이중성을 바탕으로 조사를 ‘통사적 접사’로 정의한다. 또, 조사 결합 현상을 통사적 접사화 및 핵이동을 통한 통사적 파생을 통해 설명한다. 이러한 시정곤(1994)의 논의는 통사적 접사 설정의 타당성, 통사적 접사화와 통사적 파생의 분리에 따르는 논리적 문제와 더불어 국어의 조사가 명사구 이외의 범주와 결합하는 현상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지닌다.

      • 소설자료를 통해 본 20세기 한국어의 부정문 사용양상

        남윤진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1 한국어와 문화 Vol.9 No.-

        190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소설 텍스트에 나타난 부정문 사용의 양상에 대하여 (1) 형태 및 표기적 관점에서 본 부정서술어의 사용, (2)부정문의 유형과 텍스트의 성격을 양축으로 살펴본 부정문 사용(3)``못`` 부정문과 ``-ㄹ 수 없다`` 구문의 사용 빈도의 추이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파악하였다. 1)부정 서술어의 표기는 ``아니하-, 아니-, 안하-, 않-``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아니하-``와 ``않-``의 사용율이 1920년대에 급격한 역전을 보이는 것을 시작으로 ``아니하-``의 사용율이 감소되어 1970년대 이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된다. 19세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밝혀진 ``않-``의 재구조화가 1920년대 이후 부정서술어로서 안정화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안`` 부정의 선행부정은 회화문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사용율을 보이는데 1920년대 텍스트에서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안`` 부정서술어 사용과 더불어 1920년대가 이전시기와 이후의 부정문 사용 변화의 한 지표가 되는 시점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못`` 부정은 부정문 전체에서 후행부정이 선행부정보다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과 달리 선행부정과 후행부정의 사용율이 연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4)``못`` 부정을 취하는 용언의 품사, 조어법상의 특성에 따른 선행부정의 제약은 형용사, 보조용언, 파생용언 및 합성용언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약은 개별 어휘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인다. 5)``못`` 부정과 의미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ㄹ 수 없-``은 1920년대에 들어서 그 사용율이 높아져 ``못`` 후행부정을 상회하게 되었으며 이후 ``-ㄹ 수 없-`` 구문은 ``못`` 후행부정에 대한 우위를 유지하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율의 추이에 있어서는 ``못`` 후행부정과 같은 패턴을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use of Korean negation, especially in fiction texts of between 1900``s and 1990``s. The issues are as follows: 1) The use of negative predicate``aniha-``especially from the viewpoint of spelling and word-form. 2)The use of negation types with regard to the text types 3)The 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mos-negation and that of``-l-su-eops-``expression, which is semantically very near to the other.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like these : 1) The negative predicate has four word forms of ``aniha-, ani-, anha-, anh-``. By contrast to the rapid increase of the ``anh-``, ``aniha-``started to decrease rapidly in the 1920``s. By the 1970``s, the word form``aniha-``had not been used any more. These all shows the procedure of the establishment of ``anh-``as a negative predicate. 2) The backward an negation shows a relatively high frequency in conversational contexts, starting from 1920``s. It could be told that 1920``s is a critical period of the change in the use of negation. 3) Some restrictions on backward mos negation is observed in adjectives, auxiliary verbs, derived verbs and compounded verbs. But there are also some lexical idiosyncrasies. 4)There seems to be some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mos-negation and ``-l-su-eops-``expression, which is semantically very near to the other. Since 1920``s, ``-l-su-eops-``surpassed mos forward negation in the usage rate.

      • KCI등재

        Protective effect of ultrasonication-processed ginseng berry extract on the D-galactosamine/lipopolysaccharide-induced liver injury model in rats

        남윤진,배진형,Ji Hoon JEONG,Sung Kwon Ko,Uy Dong Sohn 고려인삼학회 2018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42 No.4

        Background: Acute hepatic failure is a life-threatening critical condition associated with rapid deterioration of liver function and liver transplantation.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Panax ginseng Mayer has antidiabetic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However,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ginseng berry is still unveiled.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ultrasonication-processed ginseng berry extract (UGBE) on acute hepatic failure model in rats. Methods: Ginseng berry extract (GBE) was ultrasonically processed. The GBE, silymarin, and UGBE were orally administered to male Sprague-Dawley rats for 4 wk. Twenty-four h after the last administration, rats were challenged with D-galactosamine (D-GalN)/lipopolysaccharide (LPS). Results: After ultrasonication, the component ratio of ginsenosides Rg2, Rg3, Rh1, Rh4, Rk1, Rk3, and F4 in GBE had been elevated. Administration of UGB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urvival rate of D-GalN/ LPS-challenged rats. Pretreatment with UGBE significantly decreased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total bilirubin levels in D-GalN/LPS-challenged rat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levels of enzymatic markers for oxidative stress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catalase, and glutathione) were increased by UGBE treatm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Tumor necrosis factor alphalevel,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ctiviti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s were reduced by UGBE treatment. In addition, hemeoxygenase-1 levels in liver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UGBE-treated group. The protein expression of toll-like receptor 4 was decreased by UGBE administration.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results also suppor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ing normal appearance of liver histopathology in the UGBE-treated group. Conclusion: UGBE showed a great hepatoprotective effect on D-GalN/LPS-challenged rats via the toll-like receptor 4 signaling pathway.

      • KCI등재

        한일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문법학습의 과제와 코퍼스의 활용 가능성

        남윤진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2 국어교육연구 Vol.30 No.-

        Most of Korean texts in Japan contain contrastive information of Korean and Japanese. They are knowledge oriented and seem to have no guideline for the selection of grammatical items. There are some contrastive linguistic problem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hat should be carefully dealt with: 1) in the course of Korean-Japanese pairing, different ways of grouping Korean grammatical items has been suggested. From the monolingual perspective, the items are hardly grouped together. 2)Because of their own ways of grasping situations, there are some mismatchings of grammatical items of Korean and Japanese that have the same functions. 3) Not only the grammaticality, but also the naturalness is very important as a criterion for the corresponding relation. As a source of informations that are necessary for working out the problems above, I suggest the availability of corpora. There are several types of corpora and each of them has their own roles in Korean language learning. 일본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한국어 교재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지적할 수 있다. 즉,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응관계를 중시하며 문법 지식의 ‘이해’에 중점이 놓이고 문법 항목 선정의 명시적인 기준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응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이 드러난다. 한국어 내의 체계만을 생각하면 하나로 묶이기 어려운 항목들이 일본어와의 대응관계에서 하나로 묶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항목을 가려내는 것은 한국어 모어화자의 직관만으로는 어려운 일이다. 기능과 의미에 있어서 일대일 대응을 보이는 항목들이 그 사용에 있어서 다른 양상을 보임으로써 결과적으로 대응에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비대응은 한-일 간의 상황을 파악하는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문법성/비문법성의 문제와 더불어 자연스러움/부자연스러움의 판단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보원으로서 코퍼스의 이용가능성을 살펴 보았다.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코퍼스로서는 범용 코퍼스, 표준 코퍼스, 학습자 코퍼스 그리고 한일/일한 병렬 코퍼스와 일본어 코퍼스가 있으며 이들 각각은 특성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살펴 보았다.

      • KCI등재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교과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수행 실태

        남윤진,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2

        The method used in this descriptive study is the surve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performance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teachers regarding the HE subject.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177 HE teachers. Questionnaires from HE teachers were collected through e-mails. With the operation of the SPSS/Win (ver10.1) program, the analyse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ies, percents, t-test and ANOVA are done to see the relations between the related variables.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middle school HE teachers performed well above the standards in terms of planning, execution, and evaluation about self supervision related to HE. Second, the HE teachers collected materials for instruction by using literary (books) survey, Internet and mass media. They mainly focused on improving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deepening the studies related to contents of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교과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수행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앞으로의 가정과수업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이메일을 통하여 전국의 가정과교사에게 발송하였고 총 177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Win (ver10.1)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t-test, ANOVA 분석을 시행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실제 자기장학에 대한 계획실행평가를 모두 보통 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문헌(서적) 조사나 인터넷 및 대중매체를 활용하여 수업 자료를 수집하거나 제작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과 교과내용학의 심화에 치중하고 있었다. 셋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가정교과관련 자기장학을 위하여 대중매체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다음으로 문헌(서적) 조사, 연구회 및 모임 참여, 각종 연수 참여, 현장 견학의 순으로 하고 있었다.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절반 이상은 대학원에 진학하였고, 연구회 및 모임에 가입하였으며, 사교육기관의 강의를 수강한 경험이 있었다. 또한 1년에 1~2회 정도 현장견학을 실시하였고, 대중매체 중에서는 일반 TV프로그램과 교육방송을 많이 활용하였으며, 동료 교사와의 정보 공유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수업 분석 및 평가와 자원인사의 활용은 매우 미비하였다. 비록 가정과교사들이 교과관련 자기장학을 어느 정도 수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이는 응답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그 영역이 주로 교수-학습 방법이나 교과내용학 영역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자기장학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기 위하여 연구회 및 모임이 활성화되고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자기장학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한 책자 발간이나 지원센터연구소 등을 통한 행정적제도적 지원이 모색되어야겠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패션에 나타난 헤드 오너먼트에 관한 연구

        남윤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2

        Changes in culture, society, and economy in the post corona era have had a great impact on fashion, and in particular, cases of head ornaments in fashion collections have increased rapidly since the pandemic.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ead ornaments in fash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changes in the post corona era.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keywords from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articles to analyze changes and fashion in the post corona era, and analyz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ead ornaments by collecting examples of post-pandemic collection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presentative keywords in the post corona era are ‘untact’ and ‘ontact’ related to culture, ‘coronaphobia’ and ‘Homo Maskus’ related to society, and ‘homeconomy' and ‘spendemic’ related to economy. They have heightened interest in ‘digital’, ‘virtual’, ‘genderless’, ‘home wear’, ‘athleisure’, ‘mask’, ‘sustainability’, ‘sharing’, and ‘luxury’ fashion. Second, the types of head ornaments that appeared frequently were analyzed as masks, balaclavas, helmets, brimmers, and objet hats, and these mainly expanded the expression area of ​​the human body through exaggerated form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head ornaments in the post corona era appeared as protection from the environment, cultural symbolism, gender deconstruction, and surreal and virtual reality. They are deeply related to social and cultural changes such as ‘coronaphobia’, ‘Homo Maskus’, ‘genderless’, ‘digital’, and ‘virtual’. The fundamental protective characteristics of head ornaments are re-emerged, and the mask itself has become a symbolic medium of the pandemic. Head ornaments play a role in deconstructing gender, and as the expression of surreal and virtual reality is emphasized, experimental attempts such as NFTs are expected to expand. This research is a study on head ornaments, which has been insufficient, and it is particularly meaningful to identify the influence on fashion caused by the pandemic through the trend of head ornaments.

      • KCI등재

        사진 매체를 융합한 패션디자인의 유형 및 특성

        남윤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다양한 영역에서 융합의 가치가 점차 강조되면서 디자인 분야에서도 융합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논제가 되고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이라는 관점에서 현대 패션과 사진 매체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융합디자인의 개념과 사진 매체와 패션 간의 관계를 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사진 매체를 융합한 패션디자인의10년간의 사례를 컬렉션북과 디자인 및 사진 관련 웹사이트를 통해 수집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특성을 도출하였다. 사진 매체를 융합한 패션디자인의 유형은 사진 모티프의 융합, 사진 표현 기법의 융합, 사진 촬영 기술의 융합으로 나타났다. 사진 모티프와 사진 표현 기법의 융합은 컬렉션을 통해 주로 포토 프린트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사진 촬영 기술의 융합은 보다 적극적인 융합의 유형으로 실험적인 사진작가들을 중심으로전개되고 있다. 특히 SNS의 일상적 사진 모티프, 상호작용적 경험을 발생하는 포토 인터랙션, 실험적 형태 창출이 가능했던 사진 촬영 기술의 융합은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사진 매체를 융합한 패션디자인의 특성은 시간의 흔적, 초현실적 표현, 우연적 발견과 재발견으로 분석되었다. 사진 매체를 융합한 패션에는과거와 현재의 결정적 순간과 연속적인 시간의 흐름이 담겨 있으며,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초현실적 표현 가능성이 점차 확대되고, 융합의 시너지를 통해 우연적 형태의 발견과 사진의 가치와 조형의 재발견을 이뤄내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패션과 사진의 관계를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융합의 관점에서 조명함으로써 패션과 사진매체 간의 발전적 융합의 방향을 모색하고, 패션 분야의 다양한 융합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As the value of convergence has been emphasized in various areas, a research on convergence becomes an important topic in the design fiel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fashion and photography media in terms of convergence. This study searched the concept of convergence desig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y and fashion through literature. Also it derived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by convergence of photography from collecting cases in 10 years through collection books and websites related to design and photography. The types of fashion design by convergence of photography were categorized as convergence of photographic motifs, convergence of photographic expression techniques, and convergence of photographic shooting technology. The convergence of photographic motifs and photographic expressions has been developed mainly in the direction of utilizing photo prints through collections, and the convergence of photographic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by experimental photographers as a more active type of convergence. In particular, daily life photography motifs of SNS, photo interactions that generate interactive experiences, and the convergence of photographic technology that could create experimental form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new attempts.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by convergence of photography were analyzed as traces of time, surreal expression, and coincidental discovery and rediscovery. Fashion by convergence of photography contains the decisive moment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the flow of time continuously. The possibility of surreal expression of the fashion gradually expan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fashion are being achieved the discovery of coincidental forms and the rediscovery of the value of photography and formative art through synergy of convergence. Such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convergence between fashion and photography and contributes to the activation of various convergence researches in the fashion field by illumin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photography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gence, which has become an issue recently.

      • KCI등재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과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한 요구

        남윤진,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n self supervision related to HE subject matter, Using the methods of survey and interview, 177 samples were collected. For collected surveys,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e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an SPSS/Win (ver10.1)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iddle school HE teachers recognized that self supervision related to HE subject matter was absolutely needed to expand the improvement of techniques for teaching instructions and the width of knowledge on the studies on textbook. Second, the middle school HE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ary parts of self supervision related to HE subject matter as HE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studies on textbook contents, and HE education philosophy in order. Third, the middle school HE teachers recognized that it would be helpful in improving their HE class and expertise in order of field survey, participation in various training programs, utilization of mass media, participation in societies for researches and meetings and information sharing with co-teachers among the types of self supervision. Fourth, the middle school HE teachers needed the reduction in miscellaneous duties, less pressure for time, restoration of teachers' desire, support of physical resources (improvement of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classrooms and special rooms), economic support and various support programs (expanding th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raining and society and establishment of a database for relevant materials, etc.) to facilitate self supervision. As such, the middle school HE teachers' overall recognition on HE-related self supervision became significantly higher. To enhance the HE-related expertise, however,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concrete and active support for HE education, philosophical area and the studies on textbook contents as well as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HE in which teachers' demand was high. In addition, the HE teachers wanted to have an easy and quick access to various HE-related data; therefore, it would be urgent to summarize scattered relevant data and support the HE teachers more systema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